• Title/Summary/Keyword: 넙다리네갈래근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의 탄성정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 비교 (A Comparison of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on Convergent Kinesio Taping with Elasticity)

  • 강지혜;이수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1-8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의 탄성정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을 비교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정상성인 28명이 4그룹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으며, 그룹은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군, 테이프 탄성 0% 군, 테이프 탄성 25% 군, 테이프 탄성 50% 군으로 구성되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은 CSMI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테이프 탄성이 클수록 근력이 증가되었다(p<.001). 그러나 근 지구력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신체 활동 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향상을 위해 탄성 25%와 50%로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pe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조상희;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자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 있는 20명의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무릎관절 굽힘 각도 $45^{\circ}$, $60^{\circ}$, $90^{\circ}$ 자세에서 정적인 스쿼트 융합운동을 30초 동안 총 5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넙다리네갈래근 각(Q 각)과 넙다리 둘레이며, 무릎관절 자세에 따라 스쿼트 운동 전후로 측정되었으며 그 변화률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무릎관절 각도별 MVIC 변화율은 $90^{\circ}$ 무릎관절 굽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Q 각과 넙다리 둘레의 변화율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무릎통증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를 위해서 무릎관절 $90^{\circ}$ 굽힘된 스쿼트 자세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러시안 전류 자극이 하지 골절 후 회복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육의 근수행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ussian Current Stimulation on Muscular Performance and Muscle Activity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of Convalescent Patient after Leg Fracture)

  • 정병옥;방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65-3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지 골절 후 회복기 환자에게 러시안전류 자극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수행력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 9일에서 2013년 3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하지 골절 후 회복기에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러시아 전류자극기의 큰 도자를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위부에 위치하고, 작은 도자는 원위부에 부착시키고 한 주에 세 번, 6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가 이용되었고, 근수행력을 측정하기 위해 등속성기기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기간별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수행력 차이는 러시안전류 치료 전과 비교하여 4주 후와 6주 후에서 유의한 근수행력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는 치료 전과 비교하여 4주 후와 6주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러시안 전류가 하지 골절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해 약화된 하지 근육의 근력 강화를 위해 선택될 수 있는 효과적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복부근육 및 넙다리네갈래근과 균형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alance and thickness of abdominal and quadriceps muscles)

  • 김석현;김재홍;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서 있는 자세에서 측정된 정적균형과 근육두께(배근육, 넙다리네갈래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29명의 건강한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근육두께와 정적균형을 측정하였다. 넙다리곧은근의 근육 두께는 정적균형체중분포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다른 근육과의 유의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른 연령대에 일반화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근력과 시각이 측정되지 않아 연구의 정확성을 표현하고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단위의 피험자 수를 대상으로 근력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긴장도, 근경직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improvement of knee pain, isokinetic strength,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in an elite volleyball player with knee injury)

  • 왕중산;안호정;김용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26-333
    • /
    • 2016
  • 본 연구는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근력, 근긴장도, 근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자는 왼쪽 무릎관절에 연골결손과 수술경험이 있고 평소 지속적인 통증과 운동 시 통증을 호소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8월 5일부터 12월 24일이며, 왼쪽 무릎관절에 관절가동술을 1일 1회 15분씩 총 8회 적용하였다.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사상척도를 이용하여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측정장비를 사용하여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 근긴장도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손상쪽에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긴장도와 근경직을 중재 전과 중재 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간 관절가동운동이 손상 쪽 무릎통증 감소, 양쪽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증가,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근경직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경우 관절가동운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동심성 최대회전력이 크게 증가되어 손상 쪽과 정상 쪽 다리의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차이가 크게 감소되었다. 하지만 손상 쪽 넙다리뒤근육/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비율의 개선에는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엘리트 배구선수에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경직 개선을 위해 단기간에 관절가동운동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지만 적절한 근력비율을 위해 트레이닝을 함께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 아동의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개별실험연구 (Effect of Aquatic Ramp Exercise on Gai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Child With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I: Single Subject Research)

  • 성윤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2
    • /
    • 2016
  • 본 연구는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I) 아동의 넙다리네갈래근 활성화와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5세의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으로 진단받은 아동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자 반전 연구 설계(A-B-A)를 이용하여 일주일에 3번 12회기 실행하였고 기초선 설정기간(A), 실험 적용기간(B), 관찰기간(A)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기초선 설정기간, 관찰기간에서는 일반적인 수중 치료가 적용되었고 실험 적용기간에는 일반적인 수중 치료와 수중 경사로 보행훈련(60m 경사로 걷기)이 추가되었다. 제2형 척수성근위축증 환자의 보행에 큰 영향을 끼치는 넙다리네갈래근 활성화 측정을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가 실시되었고, 동적인 기능평가를 위해 일어나 걷기 검사와 일상생활 기능평가(ACTIVLIM)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초선 설정기간에 비해 실험 적용기간에서 넙다리네갈래근의 활성화가 감소하였고 보행 시간도 감소하였다. 일상생활 기능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관찰기간동안 다시 넙다리네갈래근의 활성화 증가, 보행시간 증가, 일상생활 기능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중 경사로 보행 훈련이 본 아동에게 기능적으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건강한 성인의 몸통과 하지의 근 활성도 비교분석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wearing/not-wearing and forms of backpack)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몸통 하지 근 활성도 변인들의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6명의 건강한 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백팩의 무게 10%로 부하된 상태에서, 백팩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 일반적인 백팩을 착용한 상태,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 분석을 위해 무선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그리고 장딴지근의 보행 구간에서 RVC에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백팩을 주로 사용하는 성인들에게 가방끈 조절을 적용하는 방법은 몸통과 다리근육의 활성에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 가방의 디자인과 착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가방융합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필라테스 동작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근과 하지근의 근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am Roller Application and Movement on EMG responses of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in Pilates)

  • 정서현;조상우;정상훈;김기홍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05-913
    • /
    • 2018
  •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속도변화에 따른 후방보행 훈련이 하지 근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ending on Variations of Speed in Backward Walking on Lower Extremities Muscle)

  • 조성현;김신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99-2205
    • /
    • 2012
  • 본 논문은 속도변화에 따른 후방보행 훈련이 하지의 넙다리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30명의 대상자를 무작위로 세 집단; 실험군I(전방보행 5km/h: 10명), 실험군II(후방보행 5km/h: 10명), 실험군III(후방보행 2.5km/h: 10명)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은 4주간 주 4회 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과 실험 4주 후에 각 실험군의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와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는 전방 보행 군보다 후방보행 군에서 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으며 실험군III보다 실험군II에서 더 의미 있는 변화를 나타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또한 전방보행 군보다 후방보행 군에서 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으며 실험군III보다 실험군II에서 더 의미 있는 변화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후방보행이 전방보행에 비해 넙다리 근육의 근 활성도와 근력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초기 재활에서 느린 속도의 후방보행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위한 복합호흡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의 효과 (Effects of Combined Breathing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Patients with Severe COPD)

  • 강정일;박준수;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39-548
    • /
    • 2019
  •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 치료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0~80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을, 대조군은 복합호흡운동만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중재는 6주 간, 주 4일, 1일 1회, 30분씩 각 집단에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폐기능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1초간 노력성 날숨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p<.05), 집단 간 폐기능 변화 비교에서 1초간 노력성 날숨량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대뇌겉질의 영역 별 알파파 변화 비교에서는 Fp1, Fp2, F3, F4 영역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p<.05). 따라서 6주 동안의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들의 폐기능을 향상시키고, 대뇌겉질 활성도에서 앞이마부 영역의 알파파가 증가되어 긍정적인 호흡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증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에게 복합호흡운동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넙다리네갈래근에 신경근전기자극을 병행하면 보다 좋은 치료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