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방 효과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apacity Modulation of a Ground Source Multi-Heat Pump in the Part Load Condtions (축열형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의 단기 성능 특성 연구)

  • Kim, Namtae;Cho, Chanyong;Choi, Jong 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19-119
    • /
    • 2010
  • 무한 지속 가능한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공조시스템인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은 기존의 공조 시스템보다 열원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높은 효율과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기후변화협약 대응의 주요수단으로서 기술개발과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하절기 냉방 성능을 분석하였다. 대수층 축열 냉난방 시스템은 주입정과 양수정의 2개의 우물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겨울 난방 운전 중에 한 개의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한 후 낮은 온도의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축열하고, 하절기에 겨울에 저온으로 축열된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하여 온도가 증가된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주입한다. 즉, 계절별로 열펌프에서 생성된 냉수와 온수의 대수층 축열을 위하여 계절별로 주입정과 양수정이 바뀌게 된다. 본 연구의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2009년 8월의 주요일자별 시스템 운전 중의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각각 4.7과 3.4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모든 일자에 대하여 외기온도가 $31.6^{\circ}C$$22^{\circ}C$까지 변화가 크게 나타났지만 열펌프 유닛 COP와 시스템 COP의 변화는 미소하였다. 이는 양수정으로부터의 지중 순환수가 운전기간 중에 $17.5^{\circ}C$로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에 5개의 관측공을 설치하였으며, 양수정 측에 인접한 관측공의 온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단기간이지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직밀폐형 시스템과 달리 지속적인 냉방운전 중의 양수 온도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냈다. 주입정에 인접한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심도가 깊은 곳의 온도가 낮은 곳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냉방 운전 시 열펌프 유닛의 실외열교환기에서 지중 순환수가 냉매로부터 열을 취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서 주입정측에 온열이 축열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하절기의 냉방 운전 시간이 증가할 경우 축열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수정과 주입정 중간의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2009년 8월 가동 중에 온도변화는 없었는데, 이는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의 열간섭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자별로 운전 중의 열펌프 유닛 COP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전 및 정지 시간을 모두 포함한 시스템 소비전력과 냉방용량을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 일일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일자별로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각 일자별로 열펌프 유닛 가동율의 차이로 인하여 열펌프 유닛 가동 전에 먼저 작동되는 지중순환펌프의 운전 소비전력의 차이와 열펌프의 단속운전 시의 열손실과 추거 소비전력의 차이 때문이다.

  • PDF

Cooling Efficiency and Growth of Tomato as Affected by Root Zone Cooling Methods in Summer Season (고온기 근권냉방방식에 따른 냉방효과와 토마토 생육)

  • 이재한;권준국;권오근;최영하;박동금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1 no.2
    • /
    • pp.81-8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oling efficiency and growth of tomatoes by root zone cooling device using a pad-box and cultivated system. The structure of the root zone cooling system using a pad-box was four piece of pads bonded an the side and a fan set at the bottom. Cool wind was generated by the outside air which was punched at intervals of 10 cm along three rows. Cold wind flowed to the root zone in the culture medium. The root zone cooling efficiency of cold wind generation by using a pad-box flowing through a wet-pad was determined. Major characteristic of this cuttural system consist of bed filled with a perlite medium and a ventilation pipe using PVC. The cold wind generation by a pad box (CWP) was compared to that of cold wind generation by a radiator (CWR), cold water circulation using a XL-pipe (CWX) and the control (non-cooling). When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was 16.2-18.4$^{\circ}C$, temperatures in the medium were 20.5~23.2$^{\circ}C$ for CWP 22.7~24.2$^{\circ}C$ for CWR, 22.8~24.27$^{\circ}C$ for CWX and 23.1~-29.6$^{\circ}C$ for the control. The results show that the cold wind temperature using the pad-box was lower by 1~2$^{\circ}C$ than that of cold water circulation in the XL-pipe and lower by 5~6$^{\circ}C$ than that of the control. Growth such as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as greater in three root zone cooling methods than in the control. Root activity was higher in the rat zone cooling methods than in the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oot zone cooling methods.

Planting Guidelines for Home Energy Savings (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식재계획 지침)

  • 조현길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4
    • /
    • pp.63-7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의 냉방 및 난방에너지 절약을 위한 적절한 식재계획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국 중동부 내륙의 한 도시인 쉬카고(Chicago)의 북서쪽에 위치한 주거지였다. 쉬카고 는 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도시로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역의 주택들에 있어서 식재를 통해 냉방 및 난방에너지를 절약하고, 또한 그 에너지 절약 으로부터 대기오염물의 배출을 저감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주택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주택주변 현존 식생 의 차양(Shading), 증발산 및 방풍의 효과를 모델링하였다. 식재로부터 절 약된 에너지의 총비용은 식생피도가 58.9%인 주거블럭에서 1993년 한해동 안 한 가구당 46.3달러였다. 그 중, 증발산효과가 53.7%, 방풍효과가 26.1%, 차양효과가 20.2%를 각각 차지하였다. 한편, 피도가 36.3%인 주거블럭에서 의 연간 총 에너지 절약은 가구당 8.6달러였다. 식생피도가 높은 주거지에 서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절약의 효과는 더욱 증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존 수목은 부적지에 위치되어 겨출철에 주택내로의 광선의 입자를 차단 함으로써 난방에너지의 요구를 증가시켰다(수목 한 개체당 최대 6달러). 차 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건물의 남쪽가까이에서는 교목의 식재 를 가급적 회피하고, 수관이 가능한 한 넓은 교목을 주택건물의 서쪽과 동 쪽가까이에 식재하여야만 한다. 증발산과 방풍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건 물의 북쪽, 북동쪽 및 북서쪽에서의 고밀도 식재가 요구된다.

  • PDF

Cut Flower Yields and Qualities of Rosa hybrid Affected by Night Cooling in High Temperature Season (고온기 야간 냉방이 절화 장미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Se Jin Kim;Won Hee Kim;Young Ran Lee;Hyun Hwan J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2 no.1
    • /
    • pp.15-22
    • /
    • 2023
  • Roses are one of the most produced flower species in the world, and cut roses are produced in the greenhouses all year round.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in the greenhouses in summer, the quality of cut roses is seriously deteriorated, such as shortening the stem leng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wing seasons on the qualities of cut roses and also to test the effect of cooling at night in high temperature season on the cut flower qualities of roses. Comparing the qualities and yields of cut roses for each season, the major cut flower qualities such as flower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roses ('Pink Beauty' and 'Pink Shine') produced in summer. The yields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cultivars. Investigating the cut flower qualities, the flower stem length increased by 15% for 'Pink Beauty', 11% for 'Ararat', and 12% for 'Pink Shine' when treated with cooling at night in warm season than the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when treated with cooling at night in warm season, the fresh weight of all three cultivars increased by 20-30%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control. It is expected that cooling at night in warm season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cut flower quality deterioration in summer.

The Shading Effect and Wind Velocity Variation of Greenhouse with Fan & Pad System (FAN & PAD시스템 온실의 풍속변화 및 차광효과)

  • 이석건;이종원;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0.10b
    • /
    • pp.36-39
    • /
    • 2000
  • 온실용 FAN & PAD 시스템의 설계, 시공 및 운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FAN & PAD 온실의 내부풍속변화와 차광에 따른 냉방성능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AN & PAD 시스템 온실의 내부풍속은 지면높이 80cm에서는 0.35㎧-1.25㎧ 범위에서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으며, 지면높이 210cm에서는 0.63㎧-1.06㎧ 범위에서 다소 규칙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PAD측 풍속은 지면높이 80cm에서는 평균 0.2㎧, 지면높이 210cm에서는 평균 1.16㎧로 규칙적인 변화를 보였다. 2. 주간(10:00-18:00)에 외기온이 28.2$^{\circ}C$-35.1$^{\circ}C$(평균 31.5$^{\circ}C$)범위에서 변화할 때 FAN & PAD 온실의 내부온도는 외기온보다 평균 2.4$^{\circ}C$-2.7$^{\circ}C$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무차광시 냉방효과가 최고 3.2$^{\circ}C$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Natural Cooling Effect by Ventilation Control Mode of Window at School Classroom (학교 교실의 창호 환기 조절 모드에 따른 자연형 냉방효과 연구)

  • Lee, Hyo-Seok;Kim, Soon-Ho;Choi,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8 no.4
    • /
    • pp.67-76
    • /
    • 2018
  • Cooling the building by natural ventilation is one of the passive methods widely used from ancient times.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especially in case of cooling load during the intermediate season of the yea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4 cases of window ventilation control mode which are 'Always Close', 'Temperature', 'Enthalpy' and 'Always Open' is simulated by Energyplus program and analyzed to improve the comfort of occupants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the school classroom.

태양광발전기술 현황 및 향후 방향성

  • Yu, Gwon-Jong
    • ICROS
    • /
    • v.15 no.4
    • /
    • pp.19-27
    • /
    • 2009
  • 최근에는 여름철 냉방부하가 현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사량 특성공선과 부하특성곡선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여름철에 상호보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태양광발전방식의 보급 활성화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Analysis on Cooling Effects of the Vertic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stalled in a Greenhouse for Raising Seedling (수직형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의 육묘 온실 냉방 효과 분석)

  • Kang, Youn Ku;Ryou, Young Sun;Kim, Jong Goo;Kim, Young Hwa;Jang, Jae Kyo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2 no.1
    • /
    • pp.19-25
    • /
    • 2013
  • In this study, the cool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1,650m^2$ area of the seedling greenhouse from June 6, 2011 to september 18, 2011 with the vertic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of 350 kW scale (175 kW ${\times}$ 2 units) installed in the greenhouse, cooling effects were analyzed and we tried to find more effective operation methods of th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 case of one unit heat pump (175 kW) operation, when evaporator inlet water temperature changed from $13.0^{\circ}C$ to $15.5^{\circ}C$, cooling COP of the system was in 1.1~1.8 range and in case of two unit heat pump (350 kW) operation, when evaporator inlet water temperature changed from 13.0 to 15.5, cooling COP of the system was in 2.0~2.7 range. The accumulated cooling heat quantity of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was 14,718.6, 26,765.1, 28,437.2 and 10,065.0 kWh, respectively.

Dehumidification and Evaporative Cooling Efficiency by Water Pipes in Greenhouse (냉수파이프에 의한 온실의 제습 및 증발냉각효율)

  • 김문기;남상운;윤남규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7 no.3
    • /
    • pp.237-245
    • /
    • 1998
  • Greenhouse crop production under critical summer climate In Korea has considerable difficulties because of high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is study, some water pipes were tested as a means of the dehumidification and increment of evaporative cooling efficiency. As a result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analysis,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copper pipe was larger than steel pipe, and estimated values were smaller than measured values. The condensed quantities of vap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pper pipe and steel pipe, however dehumidifying effect by the water pipes was significantly large. It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evaporative cooling system by the water pipe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evaporative cooling efficiency of about 48%, and decrease the temperature of about 1.3$^{\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