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방 및 제습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태양열을 이용한 제습/냉방시스템 개발

  • Choe, Gwang-Hwan;Kim, Jong-Yeol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9 no.1
    • /
    • pp.63-70
    • /
    • 2010
  • 최근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제습/냉방시스템 중 태양열을 이용하는 제습/냉방방식의 원리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 지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Heat and Mass Transfer with the Different Flows in a Solar Desiccant Cooling System (태양열제습냉방시스템에서의 유량에 따른 열전달 및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

  • Eflita, Yohana;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5
    • /
    • pp.17-24
    • /
    • 2010
  • 태양열 제습냉방은 액체흡수제를 이용한 냉각효과로 기존의 전기에너지를 가능케 하는 해결책중 하나이다. 따라서 태양열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여름에 가열온수를 열원으로 활용하여 쾌적조건을 구현하는 본 연구의 대상인 태양열냉방시스템은 제습기와 재생기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은 제습기의 유량 변화에 따른 열전달 및 물질전달의 변화를 실험과 이론적 해석으로 규명하고 있는데, 흐름의 양상은 병렬형과 대향류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실험결과와 이론해석이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대향류형이 병렬형보다도 물질전달 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으며, 입 출구의 엔탈피 차이에서도 크서 열전달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차이를 본 논문에서는 나타내었으며, 일정한 높이나 길이 이상에서는 항상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들은 제습기의 유동흐름을 통한 태양열냉방시스템 중 제습기의 설계 및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Analysis of Cooling Effect for Cooling System with Dehumidifier in Greenhouse by CFD simulation (CFD 시뮬레이션에 의한 온실포그냉방 시스템과 제습장치의 냉방효과 분석)

  • 김문기;권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59-62
    • /
    • 2001
  • 여름철 온실내 고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연환기형 포그냉방은 환기가 충분치 못할 경우 온실 내부의 습도가 증가하여 증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습장치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를 낮추면 증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습장치를 이용한 포그냉방 온실에 대한 CFD 모델을 개발하여 온실의 열환경 및 수분 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증발냉방 및 제습냉방 기술 및 동향

  • 송찬호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4 no.2
    • /
    • pp.18-22
    • /
    • 2005
  • 증발냉방 및 Desiccant를 적용한 냉방시스템의 기술 및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rmoeconomic Analysis of Hybrid Desiccant Cooling System Driven by District Heating (지역난방에 연계된 하이브리드 제습냉방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 Ahn, Joon;Kim, Jaeyool;Kang, Byung Ha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9
    • /
    • pp.721-729
    • /
    • 2014
  • A hybrid desiccant cooling system (HDCS) that uses a heat pump driven by district heating instead of a sensible rotor can provide an increased energy efficiency in summer. In this paper, the summer operation costs and initial costs of both the HDCS and traditional systems are analyzed using annual equal payments, and national benefits are found from using the HDCS instead of traditional systems. In the analysis results, the HDCS reduces the operation cost by 30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ystems, and each HDCS unit has 0.079 TOE per year of primary energy savings and 0.835 $TCO_2$ per year of $CO_2$ emission reduction more than the traditional systems. If HDCSs were to be installed in 680,000 households by 2020, this would produce a replacement power effect of 463 MW. Despite this savings effect, HDCSs require a government subsidy before they can be supplied because the initial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systems. Thus, this paper calculates suitable subsidies and suggests a supply method for HDCSs considering the national benefits.

Development Cooling and Dehumidifying System for Greenhouse using Hygroscopic properties of Lithium Bromide Solution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흡습성질을 이용한 온실 냉방 및 제습 시스템 개발)

  • Cho, La Hoon;Oh, Kwang Cheol;Lee, Sang Yeol;Joo, Sang Yeon;Park, Sun Yong;Lee, Seo Hyeon;Jeong, In Seon;Lee, Chung Geon;Kim, D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9-79
    • /
    • 2017
  • 국내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기후환경으로 인하여 온실 내부의 냉방 및 제습이 필수적인데, 온실 냉방 방식 중 증발냉각 시스템이 가장 효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증발냉각 시스템은 건조한 기후 지역에서 발달한 방식으로, 작물의 증산작용으로 인한 온실 내부 습도 상승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어 다습한 여름철 국내 기후에는 반드시 냉각과 제습이 동시에 필요하다. 따라서 증발냉각 방식 중 Fan and Pad 방식과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온실 냉방 및 제습을 위한 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현재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 제습 시 발생되는 발열량과 수용액의 무게변화와 같은 수용액의 흡습성질 대한 정확한 지표가 나타나 있지 않다. 이에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리튬브로마이드 흡습성질에 관한 데이터 자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기초실험을 진행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Pilot Scale의 재생 순환시스템을 통해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흡습성질을 이용한 재사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시스템 내에서 외부투입공기와 작동유체의 흡습성질에 의한 반응 전후 온도변화 예측 모델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흡습성질을 분석하고, 이를 이 용한 재생 순환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PDF

R&D Trend in desiccant based dehumidification and hybrid cooling system (건조제(desiccant)를 이용한 제습 및 복합냉방 시스템의 기술개발동향)

  • 박문수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7 no.6
    • /
    • pp.533-540
    • /
    • 1998
  • 최근에 국내외 에너지 이용 효율성 증대 문제, CFCs등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문제, $CO_2$ 등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실내공기질(IAQ)과 관련된 건물 환기량 증대요구로 인한 건물용 공조시스템(HVAC)의 설계변경 문제 등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대체 냉방기기가 연구되어 오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ASHRAE Standard 62-1989에 의해 실내거주자의 필요한 IAQ와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해 환기량을 기존의 경우보다 약 3배 이상이 되도록 권장하고 있고 또한 대다수의 미국 주 정부에서 건물설계에 관련된 조례로 ASHRAE Standard 62-1989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빌딩공조 설비관계자들은 늘어난 환기 요구량에 따라 잠열냉방용량이 크게 증대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냉방공조기기 시스템기술에 대해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조제를 x이용한 냉방 및 제습 시스템이 대체 냉방시스템 또는 기존의 냉방 시스템과 더불어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복합 시스템으로 최근에 다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A Study on Cooling Performance and Exergy Analysis of Desiccant Cooling System in Various Regeneration Temperature and Outdoor Air Conditions (재생온도와 외기조건 변화에 따른 제습 냉방시스템의 냉방 성능 및 엑서지 해석에 관한 연구)

  • Lee, Jang Il;Hong, Seok Min;Byun, Jae Ki;Choi, Young Don;Lee, Dae 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5
    • /
    • pp.413-421
    • /
    • 2014
  • Desiccant cooling system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uses evaporative cooler to cool air and it can perform cooling by using heat energy only without electrically charged cooler. Thus, it can solve many problems of present cooling system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due to the use of CFC[chloro fluoro carbon] affiliated refrigerants and increase of peak power during summer season. In this study, cooling performance and exerg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desiccant cooling system. Especially, using exergy analysis based on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can resolve the issue related to system efficiency in a more fundamental way by analyzing the cause of exergy destruction both in whole system and each compon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 cooling capacity and exergy performance of desiccant cooling system incorporating a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in various regeneration temperature and outdoor air conditions.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Desiccant Chiller Based on Field Test (실증 실험을 통한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시스템의 성능 분석)

  • Ahn, Joon;Yun, Changho;Kang, Byung Ha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7
    • /
    • pp.621-627
    • /
    • 2013
  • Field tests of hybrid desiccant cooling system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11. Data were monitored and transferred in real time over the Internet. The monitored variables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nder outdoor conditions. A series of system simulations has been conducted for outdoor conditions of the field tests. The results agree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general. The system performance has been shown to deteriorate for wetter conditions, as predicted by the simula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of Small-Sized Dehumidification Rotor for Residential Use (가정용 소형 제습로터의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Han, Ji-Chao;Kim, Nae-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2344-2349
    • /
    • 2015
  • In Korea, summer is hot and humid, and air-conditioners consume too much electricity due to large amount of latent heat. Simultaneous usage of dehumidifier may reduce the latent heat and save the electricity. In this study,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for a small-sized dehumdification rotor made of inorganic fiber impregnated with metallic silicate. Variables were rotor speed, room temperature, regeneration temperature, room relative humidity and frontal velocity to the rotor.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optimum rotor speed (1.0 rpm), and optimum regeneration temperature ($100^{\circ}C$). Above the optimum rotor speed, incomplete regeneration is responsible for reduced dehumidification. Above the optimum regeneration temperature, increas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regener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is responsible for reduced dehumidification. The amount of dehumidification also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relative humidity, dehumidification temperature and flow velocity into the r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