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매유동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Flow Safety Assessment by CFD Analysis in One-touch Insertion Type Pipe Joint for Refrigerant (CFD 해석을 이용한 냉매용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조인트의 안전성 평가)

  • Kim Eun-Yonung;Park Dong-sam;Kim, H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03-304
    • /
    • 2022
  • 파이프는 기계, 전자, 전기, 플랜트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응용기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방, 화학 등 안전 관련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품의 다양화에 따라 배관 분야에서도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 동관을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하는 경우 구조해석이나 유동 해석을 통해 안전성과 유동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자체 개발한 일체형 인서트형 커넥터인 6.35 소켓 모델의 유동 안전성은 CFD 해석을 이용하여 유동유발진동(FIV)평가 과정의 4단계를 통해 진행하였다. 배관계 벽면에 작용하는 압력변동의 진폭은 3,780Pa이하의 수준으로 형성되며, 이는 냉매 배관의 운전압력이나 설계응력과 비교했을 때 매우 작은 수준의 압력으로, 난류에 의한 진동이 배관의 구조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mmonia (암모니아의 열전달 특성)

  • 김영일;백영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5
    • /
    • pp.347-358
    • /
    • 1999
  • 암모니아는 독성, 가연성 및 동 재질의 부식성 등의 단점은 있지만 CFC계 냉매가 개발되기 전에는 우수한 열역학 및 열전달 특성 때문에 냉매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미국에서는 약120년, 일본에서는 약 80년 전부터 암모니아가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었고, 따라서 축적된 관련 기술 수준도 놀고 경험도 많은 편이다. 지금도 미국에서는 상업용 냉동기의 80% 정도가 암모니아를 냉매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냉동창고 냉동용으로는 암모니아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te Finned-Tubes Evaporator (평판핀이 부착된 증발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손병진;민묘식;김홍배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82-99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냉방기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평판핀이 연속적으로 부착된 다관식 증발 열교환기에 대하여 (1) 냉매의 열역학적 물성치의 변화 (2) 냉매와 공기 측 열전달 계수의 변화 (3) 냉매측 관 마찰 손실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실험을 통하여 보정 완성하였다. 계산결과로 부터 공조기기의 설계조건, 공조계통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Simul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R1234yf flowing through capillary tubes (냉매 R1234yf의 모세관내 유동 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Kim, Daeyeong;Park, Cha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1
    • /
    • pp.6452-6457
    • /
    • 2014
  • R1234yf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refrigerant to R134a,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global warming. The capillary tubes as expansion valves control the mass flow rate and balance system pressure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 present numerical model used the governing equations including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momentum, and energy in a capillary tube. The mass flow rate of R1234yf decreased by 47.0% as the capillary tube length was increased from 1 to 4 m.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illary tubes was changed from 1.3 to 1.7 mm, the mass flow rate of R134a and R1234yf increased by 117.9% and 121.0%, respectively. The mass flow rate of the R134a and R1234yf increased by 28.3% and 29.1% with subcooling increasing from 0 to $7^{\circ}C$. In addition, when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capillary tubes was changed from 35 to $60^{\circ}C$, the mass flow rate of R134a and R1234yf increased by 31.0% and 45.4%, respectively.

Design of Capillary Tube for a Refrigeration Systems (냉동시스템의 모세관 설계)

  • 정백영;함성훈;김태진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1
    • /
    • pp.966-972
    • /
    • 1993
  • 모세관(capillary tube)은 일정면적식 팽창기구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사용역사가 길고, 신뢰성이 높고, 가격이 저럼하므로 냉동공조시스템의 냉매제어장치로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냉동시스템의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서 유입하는 고압의 액상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하기 쉬운 증발압력까지 압력을 강하시키는 감압팽창작용과 증발기의 증발 용량에 적당한 냉매 질량유량을 공급하는 역할 (이 작용은 냉동시스템의 용량과 작동범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을 한다. 이 글에서는 모세관의 형상, 재질 및 그장 . 단점과 작동원리, 내부 유동현상 등 일반적인 사항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A Dscussion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ctual Regregeration Compressors (실용 냉동압축기의 성능향상 고찰)

  • 유동수;신승훈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1
    • /
    • pp.979-984
    • /
    • 1993
  • 압축기는 냉동 . 공조 사이클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냉동 . 공조 사이클 에서 압축기의 효율 COP는 압축기 모터 입력에 대한 증발기에서의 냉각 능력의 비로서 정의 된다. 따라서 압축기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지만 냉매의 열역학적 물성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압축기의 효율향상문제가 최근에 대두되게 된 것은 첫 째, 몬트리올 협정에 의해 CFC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새로 검토하게 된 대체냉매들의 열물성이 CFC보다 불리한 점과 둘째,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인식이 환경 측면에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압축기 효율을 결정하는 주요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근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효율향상 성과에 대하여 소개하 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