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동공조 관련기기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Trend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Related Product and Facility in Korea (국내의 냉동공조기기 및 맹장설비 동향분석)

  • Oh, Hoo-Kyu;Kim, Byung-Cheol;Park, Ki-Won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585-590
    • /
    • 2005
  • It can be said that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technology in Korea dates back to the ancient Shilla dynasty, all the way up to the Sokkuram(700s) and Seokbinggo(1700s). But modem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technology was first developed in and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60s with the modernization of Korea. Today it is at a level which meets that of advanced countries in both the industrial and domestic fields. 62 million units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machinery and equipment were produced in 2003, worth a total of 7.7 trillion won(about 7.7 thousand million US$). As of 2003, there were about 700 companies that owned cold storage / freezing / refrigeration facilities, with cold storage capacity of about 2 million ton and capacity per company of about 3 thousand ton. This facilities most are continuously expanding and automatizing their facilities.

  • PDF

Heat Exchangers fo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냉동공조용 열교환기)

  • 오후규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9
    • /
    • pp.816-828
    • /
    • 1995
  • 냉동공조용 열교환기의 종류, 특징, 기술개발 동향, 전망 등에 대해 요약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1) 암모니아 냉매가 다시 각광을 받음에 따라 응축기의 형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핀 튜브를 사용한 횡형, 금속용착형 플레이트 식, 플레이트 핀 식의 응축기들이 암모니아 용으로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2) 암모니아 냉동장치는 현재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중앙 집중식 천정증발기나 강관 제 유닛 쿨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알루미늄 관 알루미늄 핀 증발기가 개발됨에 따라 암모니아 냉매도 프레온 냉매와 마찬가지로 건식, 분산식으로 적용되게 되었으며 이 분야의 기술개발이 요청된다. (3) 열교환기의 연구 방향은 에너지 절약, 공간 절약에 기여하면서도 성능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기술개발, 그리고 소음이 적은 기기 제조 기술이 요망된다. 또한, 착상에 대한 기술적 대책, 근 본적 대책에 대한 대비가 요망되며, 기존 냉매에 대한 대체 냉매용 최적 열교환기에 대한 적극적 연구가 요망된다. (4) 제한된 에너지 자원, 지구환경, 열악한 우리나라의 에너지 사정 등을 고려할 때 냉동공조용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에 대한 국가와 일반 소비자들의 기대는 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냉동공조용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 열교환기의 제작에 필요한 자 원의 절약, 생산성 향상, 설치장소와 관련한 효율적인 공간활용, 열교환기 자체 소음의 최소화 등의 방면에 착실한 연구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