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냉간압연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1초

냉간압연가공시 Work roll 마멸과 Slip에 관한 연구

  • 전언찬;김순경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4-278
    • /
    • 1992
  • 냉간압연기술의 발달로 냉간압연기도 매우 다양하게 발달되었으며 냉간압연의 원자재인 열간압연재의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 열간압연가공시 회수율이 높은 연속주조재(Continuous casting strip)인 CC 재가 종전의 가공과정이 복잡하며 불량율이 높은 Ingot주조재(Ingot casting strip)인 IC 재 보다 생산비율이 점차 증대되어 냉간압연재료의 주종을 차지하고있다. CC재는 냉간압연가공시 IC재에 비해 Work roll 조도저하가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슬립(Slip)과 채팅(Charttering) 현상 등이 발생하여 압연가공성이 불안정 하게 되어 Work roll과 판표면에 손상이 생기게 되고, 압연가공시 Roll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Roll 마멸의 정도를 파악하여 Roll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므로써 Work roll과 판표면의 슬립현상 및 채터 링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열간압연의 트라이볼로지

  • 김철희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2권3호
    • /
    • pp.1-5
    • /
    • 1996
  • 열간윤활압연은 판재의 소성압연가공시 롤바이트에 윤활을 행함으로써 롤과 판재사이의 과도한 마찰을 감소시키는 등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강판의 열간윤활압연은 냉간압연과 알루미늄의 열간윤활압연에 비해 적용히 상당히 늦었다. 이 이유로서 강판의 열간 윤활압연 기술은 냉간압연에서와는 달리 롤냉각기술의 진보 혹은 내구성롤의 개발로 열간압연윤활제를 사용하지 않고 냉각수반으로 압연을 행한다 하더라도 비교적 충분한 조업성적을 얻을 수 있었던 것도 열간윤활압연의 기본적 연구의 필요성을 감소시켰다 할 수 있다. 그 후 압연동력 및 마모의 절감을 목적으로 시작된 열간윤활압연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선진 제철소에 적용되고 있으며, 초기에 FM(Finishing Mill) 스탠드에만 주로 적용되던 열간윤활압연은 상위공정인 RM(Roughing Mill)스탠드에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HSS롤의 본격사용 등으로 인해 열간압연의 트라이볼로지 상황은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신연속열간 압연기술(연연속 압연), 고윤활압연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강판의 열간윤활압연에 대한 제문제를 정리 하고 향후 개발과제를 전망해 본다.

최근 철강용 수용성 냉간압연유의 동향

  • 송교봉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2권4호
    • /
    • pp.1-6
    • /
    • 1996
  • 냉간압연유는 종래보다 극심한 압연하중 및 압연속도 조건하에서도 Roll과 압연강판간의 균일한 윤활피막을 형성시켜 Heat Scratch를 방지시키고, 여러가지 종류의 압연기 특성과 압연조건에 맞는 윤활 및 마찰상태를 부여시켜 안정된 조업을 유지시켜야 한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환경 추세에 부응하여 기본적인 압연윤활성 및 마찰특성이외에 작업환경 개선(Mill Clean화, 폐수처리용이성, 생분해성), 보다 우수한 강판표면 품질(Oil Stain, 이물 Mark, 광택성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본 보에서는 이와같은 철강용 냉간압연유의 전반적인 동향에 대해 기술코져 한다.

제철공정에서의 제어기술동향

  • 박한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3
    • /
    • 2009
  • 철강제조공정에서 강판을 만드는 공정이 압연이다. 압연공정은 연속주조 공장에서 생산되는 Steel Slab, Bloom, Billet등의 반제품을 높은 온도로 재 가열하고 물리적인 힘을 가해 압연하는 열간압연(이하 열연)과 열연으로 얇아진 강판을 열을 가하지 않고 냉각상태에서 압연하는 냉간압연으로 나뉜다. 본 원고에서는 열연 공정의 가열로 온도제어에 적용한 MFA(Model Free Adaptive Controller)를 소개하고자 한다.

냉간가공도가 극박 3% 규소강판의 유도자화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ld Rolling Reduction on Magnetic Induction of Thin-Gauged 3% Si-Fe Strip)

  • 정진성;김두수;신재호;허남희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3-158
    • /
    • 1998
  • 현재 변압기 철심 재료는 주로 방향성 전기 강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자기유도 특성과 낮은 철손이 중요한 요건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약 3%Si을 함유하며 2차 재결정에 의해 {100}<001> Gross texture로 배향된다. 극박 3%Si-Fe의 2차 재결정에 미치는 냉간 압연율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보고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단 냉간압연에 의해 제조되는 박판 3%Si-Fe strip의 자기유도에 미치는 최종 냉간 압연율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중략)

  • PDF

Effects of Amount of Second Cold-Reduction on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nd Texture Development in Grain-Oriented Silicon Steel

  • Yoon, Young-Ku;Lee, Taek-D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29-140
    • /
    • 1971
  • 3.25% 규소를 함유하는 규소강을 융해·합금하고 압연·열처리하여 연질 자심재료로서 응용범위가 넓은 방향성 규소강판을 제조·실험했다. 이 연구에서는 잉고트 중의 망간 및 유황함량, 탄화물 석출과 유관한 열간압연 직후의 열처리조건, 2차 냉간 압연율 등이 2차 재결정 및 집합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2차 냉간 압연율이 2차 재결정과 관련한 각종 활성화 에너지와 집합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구명하였다. 2차 냉간 압연율이 10%인 시편은 응력 병형의 도입으로 인한 결정입계 이동으로 결정립성장 만이 관찰되었으며 핵생성을 동반한 2차 재결정은 일어나지 않았다. 2차 냉간 압연율이 30%인 시편에서는 2차 재결정을 위한 핵생성만 있었으며 2차 재결정이 완전히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 실험 조건하에서 50%의 2차 냉간압연율이 2차 재결정을 일으키기에 최적 냉간 압연율이며 가장 높은 직접도를 얻을 수 있는 압연율이었다.

  • PDF

냉간압연 가공시 압연유와 조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lant and Roughness Variation in the Cold Rolling)

  • 전언찬;김순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49-1157
    • /
    • 1995
  • The research for variation of coolant film thickness and separating force has been investigated following the examination for friction profile of work roll and roughness change of strip surface in rolling mill producting actual commercial product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Coolant film thickness in cold rolling has been increased relative to the circumferential velocity of work roll, and formation of coolant films has decreased with the smaller diameter of work roll. (2) Separating force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oolant film, and large separating force is needed to the formation of coolant film but it is constant after formation of appropriate film. (3) Wear and roughness alleviation of work roll is larger in bottom-roll than in top-roll on cold surface is larger in the direction of width than in roll direction, and changes of roughness and strip surface hardness rarely occurred after 3 passes.

냉간가공에 의한 CuZnAl계 현상기억합급의 결정립미세화와 특성평가 (The Effect of Cold-rolling on Microstructure and Transformation Behavior of Cu-Zn-Al shape Memory Alloy)

  • 이상봉;박노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2-326
    • /
    • 1999
  • 본 연구는 냉간가공과 열처리를 통해 Cu-26.65Zn-4.05Al-0.31Ti(wt%) 형상기억합금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냉간가공을 위하여는 α-상이 가능한 많이 존재하는 (α+β)-조직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55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얻었고, 최종두께 1mm로 냉간압연하였다. 총 압연율은 70%와 90%이었다. 냉간압연한 판재를 800℃에서 가열 후 급랭함으로써 형상기억특성을 갖는 상으로 변태시켰으며, 이 대 결정립크기를 측정한 결과, 열간압연한 경우보다 냉간압연과 열처리를 한 경우의 결정립이 월등히 작아졌음을 보여주었다. 냉간압연과 열처리를 한 경우에는 냉간압연 변형율이 큰 경우가 결정립이 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결정립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변태온도가 저하되었으며 오스테나이트상이 더 안정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cold-rolling and appropriate annealing was adopted for the grain refining of Cu-26.65Zn-4. 05Al-0.31Ti(wt%) shape memory alloy. For the cold deformation of this alloy the ducti1e α-phase must be contained. After heat treatment at 550℃ the (α+β)-dual phase with 40vol.% α-phase was obtained which could be rolled at room temperature. This alloy was cold rolled into a final thickness of 1.0mm with total reduction degrees of 70% and 90%. The rolled sheets were betanized at 800℃ for various times, then quenched into ice water. The grain size of co]d rolled samples were 60∼80 ㎛ which is much smaller comparing with the hot-rolled samples. And the 90% rolled sample showed smaller grain size than the case of the 70% rolled one. The small grain size had influence on the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s and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ic phases.

  • PDF

압연가공시 Work roll 마멸과 판면 조도와의 관계

  • 전언찬;김순경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76
    • /
    • 1991
  • 최근 열간압연의 공정이 단순하고 회수율이높은 CC재 (연속 주조재)가 IC재 (Ingot 주조재)에 비해 냉간압연 재료의 주종을 이루고있으며, Roll 조도의 급속한 저하로 슬립현상과 채터링현상 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Work Roll 마멸 및 조도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1) 압연 가공길이 및 (2) 실험 재료의 종류에 따른 영향과 (3) 압연하중에 의한 Roll 조도변화를 실제 압연가공을 통하여 분석하고, (4) 알미늄 산화 게재물의 영향과 전사율을 연구하고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