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각과 희석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Glucose-BSA as Extender of Chilled Canine Spermatozoa for Long-term Storage (장기간 냉각 보존을 위한 개 정자 희석액으로서 Glucose-BSA의 유효성 평가)

  • Yu, I.J.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4
    • /
    • pp.323-33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3주 동안 장기간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두 종류의 정자 희석액, Glucose-BSA(G-BSA), Dimitropoulos-II(BIMI)가 정자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개 정액을 수지법에 의해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정장은 제거하였다. 정자를 G-BSA나 DIMI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를 $100\times10^6$ sperm/ml로 하였다. 희석된 정자를 정자 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루지애나 주립 대학에서 뉴올리언즈 실험실까지 운송하였다. 정자 운송 시스템은 $20^{\circ}C$에서 $9^{\circ}C$까지 분당 $0.08^{\circ}C$ 냉각율로 설정하였다. 희석된 정자는 $4^{\circ}C$에서 3주간 보관하였다. 보관 1일부터, 매주 단위로 정자의 활력, 정자 원형질막 고유성(생존성), 정자 첨체의 고유성을 검사하였다. 또한 체외조건하에서의 정자 번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zona binding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냉각 상태로 3주 동안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나타냈다. 냉각기간이 길어질수록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은 감소하였으며(P<0.01), 첨체의 고유성은 냉각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정자의 특성 중 활력이 다른 특성에 비해 냉각처리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G-BSA배지에 보관된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이 DIMI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 주 동안 보관된 정자의 생존성의 비교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첨체의 고유성은 1일 동안 DIMI에 보관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3주 동안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였으며, G-BSA에 보관된 정자의 경우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가 보관일수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희석액 종류에 따른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과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정자 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활력 및 생존성이 높은 정자일수록 난자의 투명대에 많이 결합하여 정자의 잠재적 번식력이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G-BSA나 DIMI의 희석액으로 희석된 후 $4^{\circ}C$에서 냉각 보관된 정자는 3주 동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냉각 보관 2주까지 좋은 성적의 정자 특성을 나타냈다. 개 정자 냉각 보존에 대안적인 희석액으로 G-BSA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Structural Study of Thermally-Induced Phase Separation Membranes (열유도 상분리막의 구조 연구)

  • ;;Lloyd, Douglas R.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4a
    • /
    • pp.1-4
    • /
    • 1991
  • 고분자와 희석제 간의 interaction은 phase diagram의 형태로 결정하고 상분리 mechanism은 phase diagram에 의해 설명된다. Thermodynamic interaction이 TIPS 분리막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P/C20alkane, PP/C20acid, PP/TA 3가지 system을 선택하였다. 200$^{\circ}$C에서 25 $^{\circ}$C로의 급냉과 분당 10 $^{\circ}$C의 냉각조건을 적용하였다. 각 phase diagram의 형태와 냉각조건에 따라 상분리 mechanism이 달라져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기 특유의 구조를 갖게됨을 확인하였다. 같은 종류의 희석제의 chain length가 분리막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희석제의 chain length에 따라 결정화 온도가 달라지며 PP와의 결정화 속도 차이에 의하여 구조가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또한 가 희석제의 확산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PP 결정화 시 희석제의 외부 방출 정도가 달라 이에 의한 구조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TIPS 공정에서 용액의 조성이 분리막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조성에 의한 nucleation density의 차이에 따라 PP spherulite의 충돌 (impingment)등이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porosity도 변화하였다. 또한 PP/TA system에서는 조성에 따라 상분리 mechanism이 달라져 현격한 구조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냉각 속도에 따라 PP spherulitic structure가 변화함을 확인하였고, PP 결정화에 따른 희석제의 방출에 의하여 interspherulitic과 intraspherulitic pore를 갖는 2중 구조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 PDF

Studies on the Freezing of Boar Semen I. Effects of Cooling Rate and Extenders on Viability and Normal Acrosome after Frozen-Thawed of Boar Semen (돼지정액의 동결에 관한 연구 I. 냉각속도와 희석액이 동결융해후 정자의 생존성과 정상첨체율에 미치는 영향)

  • Shim K. S.;Kim K. S.;Seo K. D.;Song H. B.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0 no.1
    • /
    • pp.43-48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tender, cooling rate and concentration of glycerol for freezing of boar semen.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ptimal cooling rate was $0.17\~022^{\circ}C/min$ from 25 to $5^{\circ}C$ in LEY extender on the viability and normal acrosome after thawed. 2. The LEY extender was effective in protecting frozen boar semen from cold shock among the extenders(p<0.001, respectively). 3. The sperm viability and normal acrosome rates after thawing was showed greater in the 3 or $4\%$ of glycerol concentration than $2\%$ in LEY extender. 4. Viability of sperm was higher when both 15mM of fructose and 3 or $4\%$ glycerol were added to the LEY extender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ons of fructose and glycerol were added it(p<0.001).

The Effect of Seminal Plasma on Chilling and Freezing of Canine Spermatozoa (개 정액의 정장이 개정자의 냉각과 동결에 미치는 영향)

  • You, Myung-Jo;Lee, John-Hwa;Kim, In-Shik;Park, Jin-Ho;Kwon, Jung-Kee;Kim, Jong-Hoon;Kim, Bum-Seok;Yu, Il-Jeo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4 no.4
    • /
    • pp.486-492
    • /
    • 2007
  • Seminal plasma(SP) is usually removed from semen that is to be cryopreserved. However, some reports indicate that SP has beneficial effects on spermatozoa during chilling and free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P on sperm survival by adding SP to the extender before cooling and freezing canine spermatozoa. In replicate experiments, ejaculates obtained from four healthy dogs(1-4 years old) of various breeds were pooled, centrifuged at $300{\times}g$ for 10 min at $25^{\circ}C$, and the supernatant of seminal plasma was decanted. Spermatozoa were suspended in egg yolk-Tris(EYT) buffer. The study comprised two experiments: [Exp 1] Sperm were suspended in EYT extender containing either 0, 20, 40, 80 or 100% SP and were slowly cooled to $4^{\circ}C$ for 2h or held at $25^{\circ}C$ as controls. Sperm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2{\times}10^8/ml$. [Exp II] Sperm samples, each of which contained $1{\times}10^8/ml$, were assigned to nine groups to be frozen. In the first four groups, sperm in EYT containing either 20, 40, 80 or 100% SP were cooled to $4^{\circ}C$, then diluted to contain final concentrations of EYT+0.6M glycerol and then were frozen. The final concentrations of SP were 10, 20, 40 or 50%. In the other four groups, sperm in EYT alone were first cooled slowly to $4^{\circ}C$, then diluted to contain final concentrations of EYT+0.6M glycerol plus 10, 20, 40 or 50% SP and then were frozen. Spermatozoa, which chilled in EYT alone and diluted to contain final concentrations of EYT+0.6M glycerol without seminal plasma, and then frozen, was regarded as control. Spermatozoa were frozen at $25^{\circ}C/min$ of cooling rate in plastic straws that were suspended above liquid nitrogen and thawed in water at $38^{\circ}C$ for 1 min. Sperm survival was assayed by determining progressive motility and integrity of plasma and acrosome membranes. Progressive motility was determin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at $200{\times}$ magnification. Membrane integrity was assessed by use of a double fluorescent dye, and acrosome integrity by staining sperm with Pisum sativum agglutinin.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showed that adding SP did not improve motility of spermatozoa compared to those incubated without SP regardless of temperature.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spermatozoa suspended in EYT+0.6M glycerol containing SP exhibited the higher progressive motility before being frozen(P<0.05). However, frozen-thawed spermatozoa that had suspended in EYT+0.6M glycerol containing SP showed the similar or lower viability(P<0.05). In summary, although seminal plasma did not affect spermatozoa that were chilled in EYT without cryoprotectant(CPA), addition of seminal plasma to EYT containing CPA did significantly improved progressive motility of canine spermatozoa that were chilled.

열유동 상분리막의 구조연구

  • ;;Douglass, K. Lolyd
    • Membrane Journal
    • /
    • v.1 no.1
    • /
    • pp.13-23
    • /
    • 1991
  •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분리막의 구조 변화를 열역학 및 속도론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Polypropylene과 희석제로서 n-alkanes, n-fatty acids, n,n-bis(2-hydroxyethyl) tallowamine을 model system으로 하였다. 고분자/희석제 system의 상변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리막구조가 얻어졌다. 분리막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고분자/희석제간의 interaction parameter, 희석제의 분자 크기, 용액의 조성, 냉각 조건, 희석제의 결정화 온도 등이며, 각 변수의 역할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규명하였다. 열유동 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리막은 inter-spherulitic 및 intra-spherulitic pore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 of dilution solvent ratio on dewaxing of waxy oils (Waxy Oil 탈납에 있어서 용제희석의 영향)

  • 김주항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3 no.2
    • /
    • pp.34-43
    • /
    • 1987
  • The effect of dilution solvent ratio, and the mixing ratio of MEK and toluene on the solvent dewaxing process has been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est mixing ratio of solvent of MEK process and Toluene when in case of light and medium Waxy oils, which has low viscosity was 48: 52, and when in case of heavy waxy oil, which has high viscosity was 45: 55. 2. The best dilution solvent ratio when in case of low viscosity oils. was 1:2.8 against waxy oils after annexing 5 times divided as well as, when incase of high viscosity oil was 1:3.5 after annexing 2 times divided. 3. The chilling temperature was -26$\circ$C and the reguired dewaxing time depends on the viscosity of waxy oils.

전기화재 원인과 발생-4

  • 김미승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6 no.2
    • /
    • pp.30-33
    • /
    • 2003
  • 증발성 액체소화제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기화되기 쉬운 액체 또는 기체이고 억제작용, 희석효과, 기화열에 의한 냉각 등 3가지의 작용을 한다. 액상인 것은 목재화재에도 다소 쓰이고 있지만 가연성약제의 소화에 쓰일 뿐만 아니라 전기의 불량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 대한 적응성이 있다.

  • PDF

영광 3&4호기 부분충수운전시 정지냉각계통 최소유량 감소에 대한 영향분석

  • 오광석;오종필;김도현;이중섭;유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385-390
    • /
    • 1996
  • 영광 3&4호기의 부분충수운전시 정지냉각계통 최소유량의 감소에 따른 영향을 노심의 잔열제거 능력 및 저압안전주입펌프의 성능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정지냉각계통 성능해석용 전산코드인 KDESCENT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보수적인 초기조건 및 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분충수 운전동안 원자로냉각재의 최고 허용온도를 작업자의 접근을 위한 설계온도인 140 ℉로 설정할 경우 원자로 정지후 4일 시점에서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정지냉각계통의 최소유량은 실제값으로 3000 gpm(계측기의 오차포함 3440 gpm)임을 알 수가 있었다. 이 유량은 붕산희석이나 성층화, 저압안전 주입펌프의 성능 측면에서도 허용가능한 값이다.

  • PDF

Evolution and Origin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san Area, Korea: 1. Cooling and Dilution by Groundwater Mixing after Heated Seawater-Rock Interaction (부산지역 지열수의 기원과 진화: 1.가열된 해수-암석 반응과 지하수의 혼입에 따른 희석과 냉각)

  • 성규열;박맹언;고용권;김천수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5
    • /
    • pp.447-460
    • /
    • 2001
  • The geothermal waters from the Busan area belong to Na-CI type and are characterized by much higher EC (921 ~6,520${\mu}$S/cm) and TDS (608-3,390 mg/L) than other geothermal waters in Korea. The concentration of majorions shows a weak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 except for Mg ion. The concentrations of the major cat ions have the order of Na>Ca>K>Mg. Ca ion is enriched and Mg ion is depleted compared with seawater. All Br concentrations of geothermal water are lower than those of seawater,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 Generally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othermal waters of the Busan area indicate that these waters have relatively increased Ca and Sr contents and depleted Mg, Na and K contents caused by seawater interaction with wall rock at depth during deep circulation of seawater. Ba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ions and temperature, saline geothermal waters are diluted and are cooled by mixing of groundwaters during ascent. Isotope study and reaction path modeling of the overall geochemical system are required in order to better quantify the evolution and origin of geothermal waters in the Bus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