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가스 효율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Study of the Integrated Technology of the Dual Fluidized-bed Gasification for Producing Medium Heating Value Syngas (중발열량 합성가스 생산을 위한 일체형 이중유동층 가스화 기술 연구)

  • Choi, Jae-Myeong;Kim, Jae-Min;Kim, Sung-Hyun;Son, Yang-Seung;Lee, Dong-Min;Choi, Jin-Hoon;Park, Sung-Youl;Kim, Seong-Soo
    • Clean Technology
    • /
    • v.19 no.3
    • /
    • pp.226-232
    • /
    • 2013
  • A 5 kg/hr scale integral dual fluidized-bed gasifier for producing medium heating value syngas from biomass or combustible wastes was manufactured. The effect of operating variables including gasification temperature, rate of feeding, and weight ratio of steam/feed on the behavior of the gasifier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H_2$ and CO in syngas, flow rate of feeding, cold gas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gasification temperature or rate of feeding, but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weight ratio of steam/feed within the experimental range. With wood powder as the feed, the concentrations of $H_2$ and CO in the syngas were as high as 41% and 32%, and the cold gas efficiency and lower heating value of the syngas were as high as 70.1% and $3,428kcal/Nm^3$. With food wastes as the feed, the concentrations of $H_2$ and CO in the syngas were as high as 37% and 23.9%, and the cold gas efficiency and lower heating value of the syngas were as high as 66.7% and $3,670kcal/Nm^3$.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in Twin-Bed gasifier (Twin-Bed 가스화기에서의 우드펠릿의 가스화 특성)

  • Lee, Moon-Won;Hwang, Hun;Hong, Jae-Jun;Choi, Sun-Yong;Kim, L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8-188
    • /
    • 2010
  • 수소 에너지는 화석연료의 한정된 매장량과 연소시 발생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대체에너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경제성 있는 수소 제조가 쉽지 않다. 그 방법 중 바이오매스 및 유기성폐기물의 가스화를 통한 수소제조분야는 자원의 재순환, 페기물 처리, 열원의 이용, 직접적인 $CO_2$ 삭감 등의 부수적인 효과가 높아 경제성 있는 수소제조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소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가스화기와 초고온개질기로 구성된 Twin-Bed 가스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Wood pellet(미송)의 가스화 특성 및 생성 가스의 초고온개질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스화기의 시간변화에 따른 생성 가스 수율에 대한 결과, 생성 가스 수율은 약 20분경과 후 안정화되었으며, 실험 2시간 동안의 $H_2,\;CH_4,\;CO,\;CO_2$의 평균 수율은 각각 17.77, 11.94, 42.13, 28.16 Vol.%의 결과를 보였다. 가스화기로부터 생성된 가스는 down-draft 형태의 고온개질기로 도입시켜, $1100^{\circ}C$의 초고온에서 개질반응을 수행하였다. $CH_4$의 경우 11.95 Vol.%에서 0 Vol.%로 거의 대부분 분해되었으며, $H_2$는 17.77 Vol.%에서 25.46 Vol.%로 약 65.8%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수소 생성량은 평균 5 L/min kg-Biomass이었다. 냉가스 효율은 72.1%로서 나타나,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냉가스 효율인 약 50% 전후의 결과에 비하여 높은 효율을 보였다.

  • PDF

Co-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Coal Mixed with Pet-coke in a 1T/D Entrained-Flow Gasifier (1T/D 분류층 가스화기에서의 석탄, 석유코크스 혼합연료 가스화 특성 연구)

  • Lee, Jae-Goo;Yoon, Sang-Jun;Choi, Young-Chan;Ra, Ho-Won;Son, Yung-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53-456
    • /
    • 2007
  • 감압 증류 후 생성되는 중질유의 고도화를 위하여 코킹 공정을 거친 후 정유 부산물로 생성되는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높은 발열량을 갖는 반면 황, 바나듐 함량이 높은 석유코크스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스화 공정을 적용하였다. 1T/D 용량의 분류층 가스화기를 이용하여 유연탄(drayton coal), 석유코크스, 또는 혼합한 경우의 가스화 성능을 알아보았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높은 열 안정성을 갖는 석유코크스의 효과적인 가스화를 위하여 반응기 내 체류시간 및 버너 노즐 변경에 따른 가스화 성능 개선을 시도하였으며, 이때의 온도, 산소/원료 공급량 조건에 따른 생성가스 성분 및 탄소전환율, 냉가스효율 변화 특성을 알아보았다. 버너 노즐 구경 변경으로 인한 슬러리의 미립화를 통하여 향상된 탄소전환율 및 냉가스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Pressurized Drop Tube Furnace Tests of Global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Coal (PDTF를 이용한 석탄가스화 특성 실험)

  • 신용승;최상민;안달홍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4
    • /
    • pp.560-566
    • /
    • 1999
  • PDTF (Pressurized drop tube furnace) experiments using variations of temperature, oxygen/coal ratio, steam/coal and pressure with Roto coal (Sub A)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experimental parameters on global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at elevated pressure. The results shows that the gasification at elevated pressure is more profitable than that at atmospheric pressure considering the carbon conversion and cold gas efficiency. The oxygen/coal ratio at which maximum cold gas efficiency was appeared ranged from 0.5 to 0.7 g/g. only when th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high enough, the raise of steam/coal ratio brings improvement of cold gas efficiency. As the pressure increased, the volume of carbon conversion by heterogeneous reaction increased but the volume of carbon conversion by pyrolysis decreased relatively.

  • PDF

Pressurized drop tube furnace tests of global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coal (PDTF를 이용한 석탄가스화 특성 실험)

  • 신용승;최상민;안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23-31
    • /
    • 1999
  • PDTF(Pressurized drop tube furnace) experiments using varied temperature, oxygen/coal ratio, steam/coal ratio and pressure with Roto coal(Sub A)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experimental parameters on global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at elevated pressure. The results shows that the gasification at elevated pressure is more profitable than that at atmospheric pressure considering the carbon conversion and cold gas efficiency. The oxygen/coal ratio at which maximum cold gas efficiency was appeared ranged from 0.5 to 0.7g/g. Only when th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high enough, the raise of steam/coal ratio brings improvement of cold gas efficiency. As the pressure increased, the volume of carbon conversion by heterogeneous reaction increased but the volume of carbon conversion by pyrolysis decreased relatively.

  • PDF

Estimation of Gasification Performance and Slag System Capacity for 300MW IGCC Plant (300MW IGCC 가스화플랜트의 가스화 성능 및 Slag System 용량 예측)

  • Koo, Ja-Hyung;Paek, Min-Su;Yoo, Jeong-Seok;Kim, Bong-Keun;Kim, You-Seok;Lee, Hwang-Ji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234-237
    • /
    • 2008
  •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가스화기 운전 온도는 슬래그의 원활한 배출과 가스화기 성능 등에 영향을 미친다. 가스화기 운전온도는 또한, 석탄 및 산소 소비량에도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가스화 플랜트의 주요 설비 용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중의 하나이다. 가스화기 운전 온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냉가스 효율이 저하되고 가스화 성능에 약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Coal 및 Flux 공급장치, 슬래그 배출장치 당의 구성을 설명하고 Flux 투입량에 따른 슬래그 Tcv, 가스화기 성능 등을 예측하였다. 또한, 300MW IGCC 실증 가스화플랜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예비단계로 석회석 투입에 따른 Flux 공급장치를 포함한 Feeding 설비 용량, 슬래그처리설비 용량, 가스화기 내부 및 출구 적정온도를 예측하였다.

  • PDF

The Simulation Study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IGCC Power Plant with Various Feedstock (공급원료에 따른 IGCC 플랜트 운전특성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Shim, Hyun-Min;Kim, Hyung-T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33-436
    • /
    • 2007
  • 가스화기술은 화석연료에 의한 기존의 화력발전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발전기술로 여겨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기술개발은 물론 상용 플랜트를 앞 다투어 도입 건설 중에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2014년까지 실증플랜트 완공에 매진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스화기술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감축하면서 전력뿐만 아니라 수소, DME, 화학원료와 같은 2차 고급 에너지원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ASPEN plus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료 공급에 따른 300 MW급 IGCC 플랜트에 대한 운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스화기에 공급되는 원료는 석탄(역청탄), 중질유(납사, 벙커C유) 등으로 구분해 고려하였으며, 가스화 플랜트 해석모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외에서 운전 중인 상용 IGCC 플랜트에 대한 운전자료와 상대오차로 비교 산출해 검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가스화(gasification)공정, 산가스 제거(acid gas removal)공정, 복합발전 공정(combined cycle)등과 같은 IGCC 플랜트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공정에 대한 운전 특성에 대한 해석결과를 확인하였다.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스화기의 냉가스 효율(cold gas efficiency)과 탄소 전환율(carbon conversion), 산가스 제거공정에 대한 이산화탄소 포획 성능과 복합발전에 따른 플랜트 발전량 및 발전 효율(plant net efficiency)을 예측하였다.

  • PDF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Gasification Process between Coal Water Slurry and Dry Pulverized Coal (습식 및 건식 석탄가스화공정에 대한 비교 연구)

  • Shim, Hyun-Min;Wang, Hong-Yue;Jung, Su-Yong;Kim, Hyung-T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88-791
    • /
    • 2007
  • 기존의 미분탄 화력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차기 주자인 가스화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기술은 단순히 열과 전기를 얻는데 그치지 않고 $CO_2$ 저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2차 에너지원과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용화 운전 중인 기존의 IGCC 플랜트는 석탄 공급에 있어 건조된 미분탄(dry pulverized coal) 형태로 공급하는 건식 형태와 석탄슬러리(Coal water slurry)의 액상으로 공급하는 습식 형태로 대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PEN plus를 이용하여 상용화 IGCC 플랜트에 대한 기본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산지별로 대상 탄종을 illinois #6(미국), Shenhua(중국), Drayton(호주)로 선정하여 가스화공정에 대한 성능을 해석하였다. 동일한 발전 출력을 얻고자 하였을 때, 석탄의 공급방식에 따라 필요한 석탄과 유틸리티 공급량과 가스화기 전${\cdot}$후단에서의 운전특성과 생성되는 합성가스(syngas) 조성, 냉가스(cold gas) 효율 및 탄소 전환율을 통해 각 case에 대한 플랜트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 and Estimation Performance for 300MW Demonstration Gasifier (300MW급 실증 가스화기의 최적 운전조건 및 성능 예측)

  • Yoo, Jeong-Seok;Koo, Ja-Hyung;Paek, Min-Su;Lee, Hwang-Ji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368-371
    • /
    • 2008
  •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 of gasifi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to increase efficiency and reliability in IGCC plant. Also the prediction of the syngas composition and quantity must be predicted to carry out process design of the gasification plant. However, the gasifier process licensor are protective with information on process design and optimal gasifier design conditions. So, the most of process studies in the engineering company for gasification plant have carried out to look for key parameters and optimal design conditions using several prediction method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stimated preliminary optimal operation condition of the 300MW Demonstration Entrain Flow Gasifier using Aspen Plus. The gasifier operation temperature considering slag flow was predicted by FactSage software and Annen Model.

  • PDF

A Study on Heat and Mass Balance in a Coal Gasifier (석탄 가스화기 열 및 물질정산에 관한 연구)

  • Kim, Bong-Keun;Yoo, Jeong-Seok;Kim, You-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4-428
    • /
    • 2007
  • In the current most tool using heat and mass balance in a coal gasifier is dependent on commercial code such as STANJAN, CHEMKIN. However, in order to keep the self-reliance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riginal design tool available for comprehension and analysis on the spot. So in this study, its own heat and mass balance program is develop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in a coal gasifier is adiabatic and quasi-equilibrium. The mass balance is calculated by using the chemical equilibrium principle. Also the heat and mass balance according to main operating factor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and O2/Coal ratio, was carried in this tool. This heat and mass balance was verifi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imulated in STANJAN, commercial codes using similar logi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