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항항해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

  • 최광영;김대원;송재욱;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64-65
    • /
    • 2022
  •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는 연근해에서 활동하는 30톤이하 선박에 대해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 및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해서 선박의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연구하는 것이다.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연근해 활동 소형선박의 사고가 해양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선박은 복원성 승인 및 유지 제외 선박(길이 24m 미만)으로 대부분으로 건조 시부터 폐선 시까지 해양활동에 대한 안전대책이 부족하여 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 등 인명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선박의 해양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정보는 여러 기관별 목적에 맞게 수집되고 있으나 활용도가 떨어지고 실제 기상과 다를 수 있으며 지역 및 지형에 따라서도 기상여건이 상이하므로 현지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한 선박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한 해양활동 정보 지원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파고와 풍속 및 선박의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하여 30톤이하 선박에 대한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강화하고자 함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Seakeep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uilt-On-Ship (1)-Establishment of the Relative Dangerousness D/B for Factors on Seakeeping Performance- (선박 탑재형 내항성능 평가시스템 개발 (1)-내항성능 평가요소의 상대위험도 D/B 구축-)

  • Kong, Gil-Young;Lee, San-Min;Kim, Chol-S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
    • /
    • pp.1-8
    • /
    • 2004
  •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relative dangerousness D/B for factors on seakeeping performance. This D/B is, essential to develope the seakeep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uilt-on-ship. The system is composed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vertical acceleration to be generated by the ship's motions, computer for calculating the synthetic seakeeping performance index and monitor for displaying the evaluating diagram of navigational safety of ship. In this paper, a methodolog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ve dangerousness D/B for factors on seakeeping performance is presented by a numerical simulations, playing an important role on the algorithm of the program for calculating the synthetic seakeeping performance index. Finally,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ve dangerousness D/B can be realized an accurate values according to the loading conditions, weather conditions, wave directions and present ship's speed of a model ship.

사회연결망기법(SNA)을 이용한 한국 내항해운의 네트워크분석

  • Kim, Se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46-148
    • /
    • 2013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물류활동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내항해운(연안해운)의 물류네트워크를 파악하기위한 기초분석으로서 연안여객항로에 관하여 네트워크를 파악하였다. 최근에 기존의 계량적 통계분석방법을 뛰어넘어 존재하고 있는 구조와 실체를 파악하기위해 사회연결망분석이 도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연안해운항로의 네트워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내항해운은 화물운송과 여객운송으로 구별되나 본 연구에서는 화물선만 고려하였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한국의 내항해운의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중심성 분석을 위해서 화물선 출입항 척수와 화물처리량을 변수로 사용하여 Pajek과 UCINET 등의 SNA 프로그램을 이용한 결과 내항해운 네트워크를 도식화하고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node에 해당하는 항만 중에서 어떤 항만이 가장 중요한 노드인지를 찾고, 네트워크 구조가 얼마나 소수의 중요한 항만에게 집중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심성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내항성 안전지수별 위기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Serng-Bae;Jeong, Eun-Suk;Jeong, Woo-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48-49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which is based on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in the ship through HAZID. These emergency response guidances will contribute to respond ship's abnormal conditions related to seakeeping performanc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o reduce marine accidents.

  • PDF

16000톤급 여객선 항해 중 탱크변화량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Jeong, U-Ri;Mun, Seong-Bae;Jeong,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40
    • /
    • 2018
  • 선박 침수사고 발생시, (De)Ballasting 작업은 기본적인 대응방안 중 하나이다. 16000톤급 여객선의 항해 중 탱크 변화량의 패턴을 분석하여 내항성 안전모듈 대응가이던스에서 정량적인 평가방법을 통해 침수사고 발생 시 최적탱크를 선정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안)을 개발하였다.

  • PDF

실습선 한바다호의 운항성능에 관한 연구( I );선체감시장치 (HMS) 계측 데이터를 이용한 내항성능 평가

  • Jeong, Chang-Hyeon;Lee, Hyeong-Gi;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31-33
    • /
    • 2007
  • 최근에 선박이 대형화, 고속화되면서 선수 충격파 영향으로 인하여 선체 또는 화물에 잦은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고,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선박이 절단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항성능 평가요소 중 하나인 상하가속도 값을 선교에 설치된 선체감시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상태별 변화량을 계측하고, 이를 모형시험 및 이론계산 결과와 상호 비교하였다. 또한 ITTC 에서 제시하는 내항성능 기준치와도 비교함으로써 실습선 한바다호의 내항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해상상태에서의 작업가능성 및 위험성 정도의 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다양한 실선계측 자료를 통하여 조선소에서는 보다 우수한 성능의 선박 건조가 가능하리라 본다.

  • PDF

내항선 안전관리체제 컨설팅 체계 구축방안 연구

  • Im, Seong-Yong;Gang, Won-Sik;Kim, Hwa-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45
    • /
    • 2013
  • 해사안전법 제46조에 따라 선박소유자는 선박과 사업장에 안전관리체제를 수립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안전관리 전담인력보유에 대한 부담감, 경영자의 안전관리 관심 부족, 선원의 고령화 등으로 안전관리체제를 형식적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선박과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역량이 떨어지고,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소형 내항선사의 안전관리체제 컨설팅 실시 통해 안전관리체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안전관리(책임)자 및 해상종사자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내항선사에 대한 안전관리체제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내항선 안전관리체제 컨설팅 서비스 체계를 수립하였다.

  • PDF

해상 기상자료 기반 낚시어선 안전성 연구

  • Choe, Hun;Seo, Gwang-Cheol;Kim, Gye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14-215
    • /
    • 2018
  • 낚시관리 및 육성법에서의 영업구역은 선적항이 속한 시도지사의 관할 수역이다. 시도지사의 관할 수역이라는 모호한 영업구역으로 인하여 각 지자체의 영업구역은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기상자료를 기반 해역별(4곳)/거리별(앞바다, 먼바다) 낚시어선 내항성능 검토를 위한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 PDF

An CSM - Safety Management based on Electronic Chart (내항선 안전관리 시스템 - 전자해도 기반의 안전관리)

  • Ok, Gyeong-Seok;Park, J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7-29
    • /
    • 2018
  • ISM Code, CSM 따라 절차 및 문서를 표준화하고 자동화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시각화하여 모바일 및 PC등 디지털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알림을 통해 선원들에게 좀 더 절차가 단순화되고 편리한 문서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알림을 통해 선원들에게 좀 더 절차가 단순화되고 편리한 문서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전자해도 기반의 좀 더 정확학고 실용적인 안전관리 방법을 연구.

  • PDF

Prediction of Ship Roll Motion using Machine Learning-based Surrogate Model (기계학습기반의 근사모델을 이용한 선박 횡동요 운동 예측)

  • Kim, Young-Rong;Park, Jun-Bum;Moon, Serng-B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2 no.6
    • /
    • pp.395-405
    • /
    • 2018
  • Seakeeping safety module in Korean e-Navigation system is one of the ship remote monitoring services that is employed to ensure the safety of ships by monitoring the ship's real time performance and providing a warning in advance when the abnormal conditions are encountered in seakeeping performance. In general, seakeeping performance has been evaluated by simulating ship motion analysis under specific conditions for its design. However, due to restriction of computation time, it is not realistic to perform simulations to evaluate seakeeping performance under real-time operation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reasonable and faster method to predict a ship's roll motion which is one of the factors used to evaluate a ship's seakeeping performance by using a machine learning-based surrogate model. Through the application of various learning techniques and sampling conditions on training data, it was observed that the difference of roll motion between a given surrogate model and motion analysis was within 1%.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method can be useful to evaluate the seakeeping performance of a ship in real-tim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