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of the Knee with Ultrasonography - Technical note -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불안정 평가 -측정기법-

  • Kim, Jung-M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Dong-Yeob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oh, In-J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Seung-M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김정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동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고인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승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thod of dynamic sonographic measurements in the evaluation of the MCL injury of the knee joint while applying valgus and varus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ases of MCL injury from January to April of 2008 was used for th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medial instability, sonography was used immediately after injury, 6 weeks and 12 week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limited motion brace. The length between the foot of the medial femoral epicondyle and the most proximal point of the tibial cortex was measured in 30 degrees flexion with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Results: The foot of the medial epicondyle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ximal tibial cortex underneath the round por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were always able to be seen on ultrasonography, even in varus and valgus stress with gravity in 30 degrees flexion of the knee joint. The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always constant.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used in 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under the dynamic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without further injury.

목적: 슬관절의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인한 내측 불안정의 정도 측정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동적으로 측정하는 기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이 있었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시에 손상 직후 운동제한 보조기(limited motion brace)를 착용시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상 직후, 6주 및 12주에 초음파로 내측 불안정성의 치유 경과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슬관절을 30도 굴곡시키고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대퇴골의 내측f 상과의 직하부에서 경골의 골 기시부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결과: 초음파 이용 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 직하부에 골피(cortex)가 직선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부위와 경골 근위부의 관절 연골 둥근 부분 직하부의 골피 시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내반 및 외반은 하지 중력 만을 이용한 생리적 상태로 초음파 시야를 조정하면서 동적으로 측정하여 항상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는 내측 불안정의 정도 평가 시에 내측 측부 인대의 추가 손상 없이 내반 및 외반의 동적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