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적.외적 통제위 성격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 김향수;김희경;박연숙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591-60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신설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술적 연구로써 D시, C도 G시, C도 C시, K도 O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원 3곳, 재가복지센터 3곳, 요양병원 3곳의 요양보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12일에서 4주 동안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평균연령은 48.1세, 대다수 여성(95.1%)이며, 기혼자로서 배우자가 있고(79.5%),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76.8%)가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 정도는 평균점수 3.68점, 소명의식 3.41점, 외적 통제위 성격 3.23점으로 보통 이상이며, 내적 통제위 성격은 4.12점으로 내적 통제위 성격이 강한 것으로, 교육훈련 유효성은 3.71점, 직업의식은 3.97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과 관련 요인들의 관계에서, 직업의식과 내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정 상관관계(r=.378, p=.000)를, 외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역 상관관계(r=-.356, p=.000), 자기효능(r=.420, p=.000), 소명의식(r=.636, p=.000), 교육훈련 유효성(r=.441, p=.000)은 보통 정도의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명의식(B=.329, p=.000)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유효성(B=.250, p=.000), 내적 통제위 성격(B=.216, p=.000), 외적 통제위 성격(B=-.165, p=.002), 요양보호사 선택시 자기 특성 고려(B=.207, p=.004)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57.5%로 나타났다. 추후 요양보호사에게 소명의식 제고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내적 통제위 성격 강화훈련,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업무를 정확히 규명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요인들을 활용하여 직업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연구를 제언한다.

요양보호사 교육생의 주관적 삶의 질과 통제위 성격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Locus of Control of Caregiver Trainees)

  • 정여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7-126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caregiver trainees, an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nternal and external locus control,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48 trainees at a Jeonju city caregiver training center.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us control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9.1 program. Result: The degree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F=2.83, p=0.02), marital status (F=3.34, p=0.01), and willingness to work (F=3.94, p=0.05). The degree of internal locus contr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marital status (F=3.0 p=0.01). External locus contr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F=9.77, p=0.00), occupation (F=2.91, p=0.01), educational level (F=9.65, p=0.00), monthly income (F=3.81, p=0.00), educational institution (F=2.06, p=0.04), educational experience (F=4.15, p=0.00), and subjects willingness to work (t=8.71, p=0.00).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nternal locus control (r=0.23, p=0.0001). Conclus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nternal locus control of the caregiver train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