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실화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 확인 및 그 영향력 측정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내실화 방안 (Organizational 'Rules' that Impede or Promote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How Social Workers Are Affected by the Rule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171-200
    • /
    • 2003
  •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인력들의 행동은 기관의 공식적 지침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공식적으로 명문화되어 있지 않은 숨은 규칙, 불문율, 또는 관행들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실제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기관 내 "숨은 규칙" 존재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해 보고, 그 규칙들이 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 인력들의 기관헌신도, 만족도, 소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또한, 복지 기관 종사자들이 기관에 존재하는 숨은 규칙들을 따르지 않았을 경우 받게 되는 개인적 피해, 숨은 규칙의 존재 정도에 따른 기관의 이익/피해 상황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 사회의 사회복지기관에는 숨은 규칙이 심각한 정도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숨은 규칙의 미 준수로 인한 개인피해도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숨은 규칙이 많이 존재할수록 기관은 여러 가지 피해를 입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숨은 규칙이 많이 존재할수록 사회복지사들의 기관에 대한 헌신 및 만족도가 낮아지고, 소진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숨은 규칙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내용은 사회복지사는 전문적 업무수행보다는 무슨 일이든 다하도록 요구받고 있다는 것과 근무시간 외 근무를 당연시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명시적 규칙이 있는 그대로 잘 지켜지고 있는 부분은 사회복지실천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영향력 있는 숨은 규칙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내실화 방안이 간략히 제시되었다.

  • PDF

IPA를 활용한 지방대학 특성화사업 분석 : G대학교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K-1 using the IPA Method : Focused on Experts educate on Social Economy G Univ.)

  • 맹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14-322
    • /
    • 2019
  • 본 연구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사업의 목표 실현과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사회적경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방법은 IPA를 활용하여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대학 특성화사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특성화 기반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하고, 그 바탕 위에 창의적인 인재양성과 더불어 산 학 연계의 교육과정 구축이 필요하며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을 위해 대학의 체질을 개선하고, 학부교육을 내실화하여 창조경제 견인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중요도 제고와 실행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구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요도와 인식도가 높고, 학과별 구분에 있어서는 경제학과가 영어과와 회계정보학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 일수록 중요도와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식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경제에 기본적 지식 교육과 단계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지방대학 특성화사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평가 결과, 사회적경제 수강생들이 체감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부와 사업단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분야에는 중요도와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어 교육부와 사업단이 목표하는 지방대학 특성화를 위해 대학체질 개선, 학부교육 내실화, 창조경제 견인 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교 환경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사연수와 앙성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Substanti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 최돈형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3권1호
    • /
    • pp.33-4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ome of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dime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and develop educational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eacher qual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review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s and the results of our studies since 1991 were briefly summarized.

  • PDF

법령과고시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1호
    • /
    • pp.66-72
    • /
    • 2012
  • 고용노동부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해 쓰게 돼 있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기준을 현장에서 좀 더 쉽게 이해해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또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내실화를 위해 시공사가 재해예방기술지도 계약을 체결했는지 발주자가 반드시 확인하게 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는 이같은 내용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을 개정하고 지난 2월 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 PDF

특별기고 - 대학입학사정관 양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

  • 양성관
    • 대학교육
    • /
    • 통권160호
    • /
    • pp.67-72
    • /
    • 2009
  • 2009년 정부가 발표한 대학입학사정관제 3단계 정착방안 중 1단계 입학사정관제 내실화 단계가 진행 중이다.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입학사정관 전문양성과정을 운영하여 입학사정관 인력풀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입학사정관 전문양성 훈련프로그램 지원기관으로서 5개 대학이 선정되었다.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입학사정관 양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논하고자 한다.

  • PDF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한 국가실천전략

  • 김용익
    • 한국보건행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4년도 전기학술대회
    • /
    • pp.3-11
    • /
    • 2004
  • Ⅰ. 국가실천전략을 위한 정책추진배경 및 방향·방향 1. 삶의 질 개선과 국가경쟁력 제고·새로운 산업, 고용정책 추진, 사회안전망의 내실화를 통한 삶의 질 개선 ■ 인적자원의 확충과 효율적 관리를 통한 성장동력 확보, 국가경쟁력 제고 □ 방향 2. 장기적·종합적 정책 수립 ■ 중장기적 관점에서 큰 틀의 방향 설정 ■ 이에 맞춰 단기대잭 조율 □ 방향 3. 국민의 참여와 범정부적 정책추진 ■ 인구, 경제, 고용, 교육, 여성, 보육, 보건, 복지, 여가, 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국민참여를 통한 국민을 위한 정책 개발 ■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정부의 정책방향과 미래사회 준비에 합치되는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 (중략)

  • PDF

신한국의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

  • 황동준
    • 국방과기술
    • /
    • 5호통권171호
    • /
    • pp.18-21
    • /
    • 1993
  • 우리 방위산업의 실태를 진단해 보면 경제, 산업, 과학기술, 안보, 군사적 측면 모두 미흡한 실정으로, 연구개발 및 생산능력의 부재와 변화에 적응할수 있는 정책 방향제시가 부족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정부의 출범과 함께 한국형 방위산업의 모델을 구상하고, 방위산업에 대한 비전 제시로 투자의욕을 고취시켜야 하며, 대규모 무기체계 획득사업을 범 정부차원에서 추진해야 합니다. 또한 국방연구개발체제의 변화와 함께 기술획득의 내실화가 절실히 요구됩니다

  • PDF

新 소프트웨어 상품대상 출품안내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5호통권24호
    • /
    • pp.108-110
    • /
    • 1995
  • 정부에서는 국내 S/W개발인들의 창의력과 개발의욕을 복돋우고 국산 S/W의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95년 1월 '新 소프트웨어상품대상제도'를 시행 확정한 바 있다. '新 소프트웨어상품대상제도'는 국내에서 최근에 개발되거나 기능향상된 패키지 S/W중 우수한 제품을 매월 1개 및 연말 8개를 선정하여 시상하고 동 시상제품의 전시ㆍ홍보와 유통촉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新 소프트웨어상품대상제도'에 대한 안내와 시상제품을 게재하여 제도의 내실화와 국산 S/W개발촉진 및 유통활성화를 위해 본지에 게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