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성비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28초

SWAT 모형에 의한 내성천의 비유사량 추정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in the Naesung-cheon with SWAT Model)

  • 김대곤;양문용;하성원;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34-1738
    • /
    • 2010
  • 최근 이상 기후에 따른 유역 환경의 변화가 크게 눈에 띄고 있다. 또한, 댐건설이나 하도 준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유역 및 하천의 유사 거동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하도 관리의 기본 자료인 하천 유역의 유사 발생량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분포형 수문 모형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비유사량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 유역으로는 낙동강 주요 지류 중 하나이며, 영주댐이 건설될 계획인 내성천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용하는 모형은 대상유역의 토양 특성, 토지이용과 관리 상태를 고려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선정하였다. 먼저, GIS와 연계된 SWAT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치 고도자료, 토양도와 토지이용도를 구축하고, 내성천 유역의 기상 및 우량 관측소를 고려하여 일강수자료, 일 최대/최소 기온을 포함한 기후자료를 입력하였다. 그리고, 대상 유역에 위치한 수문관측소와 수질 관측소를 고려하여 소유역으로 세분화한 후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에 따른 모의를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비유사량 산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식생 피복 상태와 토양 침식성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정된 비유사량은 내성천의 하천 유사량 측정 자료에서 산정한 비유사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WAT 모형은 유사량 실측 자료에서 산정된 비유사량보다 상당히 큰 값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인 입력 자료가 축적된다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비유사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벼 품종(品種)의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Tolerance of Rice(Oryza sativa L.) Genotypes to Herbicide Thiobencarb)

  • 신서호;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6-184
    • /
    • 1997
  • 1.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수도(水稻) 내성(耐性) 품종(品種) 선발(選拔)에서 약제(藥劑) 처리(處理) 농도(濃度)의 적정(適定) 수준(水準)은 3.0kg ai/h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내성(耐性) 선발효과(選拔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수도(水稻) 643개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Yamabiko, M73 (23)F.A, wx139-3-64-20-3-1을 선발(選拔)하였다. 2. Thiobencarb 내성(耐性) 수도(水稻) 품종(品種) 선발(選拔) 과정(過程)에서 내성(耐性) 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품종간(品種間)에 약제(藥劑)에 대한 반응(反應)은 왜화현상(矮化現像)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 품종(品種)의 개체간(個體間)에 있어서도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은 다소의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초장(草長)은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 14일(日)까지는 농도(濃度) 증가(增加)에 따라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10%,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은 13%의 감소(減少)를 보였고,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는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내성(耐性)및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하였다. 4. 분약수(分藥數)는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보다 증가(增加)하였으며,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보다 2~3 개 더 많은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5.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thiobencarb 처리(處理) 35일후(日後)부터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30~50% 증가(增加)하였고,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은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 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감소(減少)하였지만, 35일후(日後)부터는 50~100%이상 증가(增加)하였다.

  • PDF

Candida sp. LSY2 중금속 내성주를 이용한 BOD 분석 (BOD Determination by Heavy Metal Tolerant Candida sp. LSY2)

  • 김말남;이선영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15-420
    • /
    • 1999
  • 용존 유기물의 농도를 BOD로 신속히 측정하여 폐수 처리 공정에 feed back할 수 있는 Candida BOD sensor를 이용하여 BOD를 측정하였다. Glucose, acetic acid,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에 대한 sensitivity는 lactose, sucrose및 lactic acid의 sensitivity보다 더 높게 나타나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BOD sensor의 출력 신호가 다르게 제시되었다.$Zn^{2+}$내성주가 충전된 BOD sensor는 중금속 비내성주의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감응도를 나타내었으나 $Cd^{2+}$ 내성주를 사용하였을 때는 매우 낮은 sensitivity를 보였다. 수용액의 $Cd^{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금속 비내성주와 $Zn^{2+}$ 내성주의 sensor 의 sensitivity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Cd^{2+}$ 내성주의 BOD sensor의 경우에는 sensitivity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반면 수용액 중의 $Zn^{2+}$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중금속 비내성주, $Zn^{2+}$ 내성주 및 $Cd^{2+}$ 내 성주 모두 거의 동일한 감응도를 나타내었다.

  • PDF

밀양산 콩포장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y in the Different Larva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l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Collected in the Soybean Fields of Milyang, Korea)

  • 배순도;최병렬;송유한;김현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5-231
    • /
    • 2003
  • 밀양에서 채집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반수치 사농도는 1령층에서 0.5-5.6ppm,2령층에서 9.9-27.9ppm, 3령층에서 9.6-125.1ppm 및 4령층에서 24.3-546.6ppm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또한 약제별 추천농도에 대한 유충의 90%치사농도의 비로 나타낸 약제내성비(내성비=$LC_{90}$ 약제별 추천농도)도 1령충에서 0.04-0.8, 2령충에서 0.2-7.5, 3령충에서 0.7-115.3및 4령충 에서 1.2-483.4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한편,동일 약제에서 유충의 영기간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는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에서 매우 낮았으며, lufenuron, chlorfluazuron및 teflubenzuron에서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방제는 영기가 어릴수록 또한 약제감수성이 낮은 약제, 즉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가 적은 약제인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을 사용할수록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MPCitH 기반 영지식 증명과 대칭키 프리미티브 기반 일방향 함수를 결합 양자 내성 전자서명 AIMer 소개

  • 하진철;김성광;손민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12
    • /
    • 2024
  • 양자 컴퓨팅 환경을 대비한 암호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외로 양자 내성 암호 시스템 표준 알고리즘을 선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AIMer는 MPCitH 기반 영지식 증명 시스템인 BN++을 개선하고 대칭키 프리미티브기반의 일반향 함수 AIM2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전자서명으로, 현재 NIST의 양자 내성 전자서명 추가 라운드 및 양자내성 암호 국가 공모전(KpqC) 2라운드를 진행 중인 알고리즘이다. 많은 양자 내성 암호 시스템이 격자 문제에 안전성을 기반하고 있는 것에 비해 AIMer 전자서명은 사용하는 대칭키 프리미티브 기반 일방향 함수 AIM2의 일방향성에 안전성을 기반하고 있으며, 성능적인 측면에서도 현재까지 선정된 NIST 표준 알고리즘 및 KpqC 2라운드 후보 알고리즘 내에서는 비격자 문제 기반 전자서명 중 공개키 크기와 서명 크기를 합쳤을 때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 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낙동강 내성천유역의 표면유출비 특성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s of surface runoff rate of Nae-seong catchment at Nakdong River)

  • 장형준;이효상;민병윤;조국희;이무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0-440
    • /
    • 2015
  • 최근 급증하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 중 가뭄은 그 빈도수나 피해의 규모가 홍수보다 작아 관련된 연구가 제한적이므로 유역의 특성을 반영한 장 단기 유출특성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되며, 향후 이를 반영한 홍수유출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자원산정의 기초연구로서 낙동강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유출수문자료를 구축하고 장기기저흐름지수(BFI: Base Flow Index), 표면유출지수(1-Base Flow Index)를 산정하여 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내성천유역은 낙동강 상류유역으로 본류길이는 110.69km, 유역면적은 $1,815.28km^2$이며, 분수계의 능선부가 대체로 1,000m이상의 고도를 나타내고, 유역분지의 평균 해발고도는 318.2m이다. 또한 영주댐이 검설 중에 있으며, 향후 댐 건설이 수자원에 끼치는 영향등을 분석 할 수 있는 유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서 8개의 수위관측지점을 선정한 후, 2001년부터 2012년 기간의 일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유출비를 산정하였다. 내성천 8개 소유역의 유역 장기유출비를 분석한 결과 기저흐름지수는 0.24~0.47, 표면유출지수는 0.53~0.7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표면유출비는 미호(0.76), 월호(0.53), 점촌(0.71)유역을 제외한 5개 유역에서 0.62~0.65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므로 낙동강 상류인 내성천유역의 표면유출비로 0.63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수의 낙동강유역을 추가분석하여, 낙동강유역의 고유 유출특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Oryza sativa L.)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 (Responses of Rice Cultivars to Glufosinate-ammonium)

  • 홍석영;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4
    • /
    • 1991
  •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의 반응차이(反應差異)를 구명(究明)하고자 glufosinate-ammonium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 총(總)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단백질(蛋白質) 패턴의 변화(變化),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 축적(蓄積)된 암모니아 함량(含量), 유리(遊離) 아마노산 조성변화(組成變化)를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한 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lufosinate-ammonium 10ppm 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을 보면 Fukei 126과 탐진벼의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각각(各各) 96%, 100%로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각각(各各) 40%, 39%, 37%로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으로 분류(分類)하였다. 2. 총(總)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선발(選拔)된 Fukei 126과 탐진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40.0, 207.2 ${\mu}g$/100${\mu}l$이던 것이 처리(處理)에서 234.0, 184.0 ${\mu}g$/100${\mu}l$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7.5%, 88.8% 이었고,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_으로 선발(選拔)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55.4, 204.4, 236.3${\mu}g$/100${\mu}l$이던 것이 처리에서 181.1, 160.7, 191.0 ${\mu}g$/100${\mu}l$으로 각각(各各)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70.1%, 78.6%, 80.8%로 내성품종(耐性品種)에 비(比)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3. 단백질(蛋白質)패턴의 변화(變化)는 내성품종(耐性品種)인 탐진벼에서는 glufosinate-ammonium 10ppm 처리시(處理時)에도 band의 density의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으로 선발(選拔)된 남영벼에서는 66kD 상위(上位)에서 band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D-PAGE에서도 마찬가지로 내성(耐性)인 탐진벼의 경우(境遇)는 spot의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던 데 비(比)해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에서의 경우(境遇)는 45kD와 66kD사이, 20kD 부근에서 spot의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44, 86${\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처리(處理)의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비(比)가 51.2%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23, 68${\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33.8%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 비(比)해 다소(多少) 약(弱)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5. 암모니아의 체내축적량(體內蓄積量)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1.46, 0.44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암모니아 함량(含量)의 비(比)가 331.8%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3.08, 0.35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05.9%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서보다 약 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의 조성(組成)은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인 glutamic acid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4.879, 16.599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29.4%로 줄어든 반면(反面),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가 13.221, 3.021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오히려 약 430%로 증가(增加)되어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로 이용(利用)되지 못하고 남아있었다.

  • PDF

소나무 풍매차대묘의 오존 내성 및 민감성 가계간 생장, SOD 활성 및 MDA 함량 차이 (Difference in Growth, SOD Activity and MDA Content Between Ozone Tolerant and Sensitive Families of Open-Pollinated Pinus densiflora)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장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23-327
    • /
    • 2006
  • 국내 주요 경제수종인 소나무의 내성 가계와 민감성 가계간의 오존에 대한 피해반응 및 내성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성 가계와 민감성 가계를 각각 5가계씩 선발하여 오존 100 ppb 농도에서 90일간 처리를 하여 근원경 생장, SOD 활성, 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근원경 생장에서 오존 처리 초기에 내성 가계가 민감성 가계에 비하여 약 3배 높은 생장율을 보였으며, 처리 기간 동안 내성 가계의 생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 대한 처리구의 SOD 활성비는 민감성 가계의 경우 오존 처리 초기에 증가하고 처리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내성 가계는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오존 처리구의 MD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민감성 가계가 내성 가계보다 높은 MDA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내성 가계는 민감성 가계에 비하여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질과산화 작용을 억제하는 등 생리적 장애를 극복하는 능력이 높아 생장감소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와 그 이용가능성 (Solvent-tolerant Lipases and Their Potential Uses)

  • 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81-1392
    • /
    • 2017
  • 본 총설에서는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와 그들의 산업, 생물공학 및 환경에서의 잠재적인 영향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는 유기용매 내성 세균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나, 많은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들이 유기용매 내성 세균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Bacillus, Pseudomonas, Streptomyce 그리고 Aspergillus sp. 균주 같은 유기용매 비내성 세균 그리고 균류 균주들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이들 리파아제들은 유기용매에서 쉽게 불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용매에 의한 효소 불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그들을 고정화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다수의 생물공정 및 생물변환 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들을 사용하면, 유기용매계 또는 비수계에서 다수의 불용성 기질들의 용해도가 증가하며, 수계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화학반응들이 일어나고, 가수분해 대신에 합성반응이 일어나며, 물에 의한 부반응이 억제되며, 화학, 위치 그리고 엔안티오(대칭) 선택성(chemo, regio and enantioselective) 변환반응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나아가 고정화하지 않아도 효소의 회수와 재이용이 가능하며, 유기용매계와 비수계에서는 리파아제의 안정성이 더 좋아지는 경향도 있다. 그러므로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는 유기용매계와 비수계를 이용한 생물변환공정에 생물촉매로써 그들을 이용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