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생균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9초

사구식물(砂丘植物)과 Arbuscular 내생균근(內生菌根) 균(菌)의 공생(共生) 특성(特性)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Sand Dune Plants)

  • 김준태;리기현;정병철;김종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5-245
    • /
    • 1993
  • The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such as the absence and/or presence of symbiosis, spore density, and six factors of phy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rhizosphere of seven sand dune plants and three control plants around Kum river. The infection of AMF was confirmed in all plants. Three genera, nine species of the AMF spores were identified in the sand dune; Ac. scrobiculata, G. aggregatum, G. convolutum, G. diaphanum, G. dimophicum, G. geosporum, G. vesiculiferum, G. tortuosum, S. pachycaulis. All of them were also found in the control, but S. pachycaulis were only separated in the sand dune. In the control, three genera,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G. flavisporum, Gi. margarita, Sc. gregaria. Sc. persica. The species specificity was not found between the sand dune plant and AMF. However, the AMF was thought to be correlated with the soil factors. The spore density was stimulated with increase of the organic matter and the nitrogen content, but inhibited with the water content and the phosphorus content. In respect of the seasonal factor, the spore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late growth period of plants.

  • PDF

PCE 포함한 각종 유기염소화합물 분해능을 보유한 C. bifermentans DPH 균주의 동정 및 성질 (The Identification and Anlaysis of C. bifermentans DPH, an Anaerobic Bacterium that can Dechlorinate by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ylene or Other Halogenated Aliphatic Compounds)

  • 정용철;정권;유영식;김민영;신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13
    • /
    • 2000
  • PCE(tetrachloroethylene) 분해능을 보유한 그람 양성, 내생포자 형성의 혐기성균이 일본 기후현의 한 전자제품공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 균은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분석결과에 의하여 C. bifermentans인 것을 거쳐 cDCE(cis-1,2-dichloroethylene)로 전환되었다. 전자공여체로서 효모엑기스는 PCE 분해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효모엑기스를 공급한 조건에서의 PCE 탈염소화 속도는 0.41 $\mu$mol/h.mg protein 이었다. 한편 본 균주는 PCE 뿐만 아니라 각종 유기염소화합물에 대해서도 분해능을 보유하고 있는 신종의 PCE 분해균으로서 각종 유기염소화합물에 오염된 지하수 및 토양에서의 In situ bioremediation 적용에 있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제주지역 수생식물에서 발굴된 Sordariomycetes강 균류 3종의 국내 최초 보고 (New Records of Three Sordariomycetes Fungi Isolated from Aquatic Plants in Jeju, Korea)

  • 오유선;문혜연;고재덕;정남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1-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습지 환경에서 채집한 수생식물에서 내생균류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을 형태학적 특징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NNIBRFG2982, NNIBRFG2984, NNIBRFG3040 균주는 각각 Acremonium tubakii, Colletotrichum cliviae, Cylindrocarpon pauciseptatum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3종의 균류는 Ascomycota문의 Sordariomycetes강에 속하는 균류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Glomus 내생균근균 접종이 인공산성우를 처리한 아까시나무 묘목의 생장, 광합성, 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Glomus intraradices, on the Growth, Photosynthesis and Phosphorus Content of Robinia pseudoacacia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 김은호;이경준;이규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35-742
    • /
    • 2006
  • 본 연구는 내생균근균 접종이 목본식물의 인공 산성우에 대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종자를 실험실 내에서 파종한 후, 멸균된 버미큘라이트, 모래, 밭토양을 1:1:1로 혼합한 토양을 담은 1l pot에 건강한 묘목을 이식하였다. 각 pot에 묘목을 이식할 때 분쇄된 뿌리혹과 균근균을 접종하였는데, 뿌리혹은 자연 상태에서 자란 아까시나무림에서 채취한 것을, 내생균근균은 상업용으로 판매하는 Glomus intraradices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pH 2.6, 3.6, 4.6, 5.6 4종류의 인공 산성우는 황산과 질산을 3:1로 혼합하여 만들었다. 각 pot에는 질소와 인을 배제시킨 양료용액과 일정한 pH 수준의 산성우를 각각 180 mm씩 매주 1회씩 50일간 처리하였으며 포트는 온실에 놓아두었다. 실험 종료시 묘목을 굴취하여 엽록소, 무기양료의 함량과 조직의 순광함성량, 건중량, 뿌리의 균근감염율 등을 측정하였다. 균근감염율은 pH 2.6에서 현저히 낮은 수준을 나타냈는데, 이는 극도로 낮은 pH에서 G. intraradices의 활력이 억제됨을 의미한다. 수고생장, 건중량, 뿌리혹 형성, 엽록소 함량, 그리고 순광합성 등은 pH 3.6을 제외한 모든 pH 수준에서 균근감염에 의해 증가하였다. pH 5.6과 4.6에서는 균근균 접종이 뿌리혹 형성을 각각 85%, 45% 증가시켰으나, pH 3.6괴 2.6에서는 균근균 접종이 뿌리혹의 형성을 거의 촉진하지 않았다. 순광합성 량은 모든 pH 수준에서 균근감염에 의해 증가하였다. 조직체 내의 인 함량도 균근감염에 의해 평균 43% 증가하였으며 pH 2.6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아까시나무에 대한 균근균 접종은 광합성과 인 함량, 뿌리혹 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생장을 촉진하고, 산성우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인삼종자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동정과 식물생장 촉진 관련 활성의 평가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Bacteria in Panax ginseng Seeds and Their Potential for Plant Growth Promotion)

  • 엄유리;김보라;정진주;정찬문;이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6-312
    • /
    • 2014
  • Endophytes are microorganisms that live in the internal tissues of plants without harming the host plants. In this symbiotic relationship, the host plants provide nutrients and shelter to the endophytes, in turn, endophytes can promote the growth of host plants and act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plant pathogens. Plant-microbe interactions like this are noted for natural method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infinite potential,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n the endophytes present in ginseng.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endophytes from Panax ginseng seeds and evalu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IAA production ability, nitrogen fixation ability, phosphate solubilization capacity, siderophore production ability,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ndophyte isolates. Eight different endophyte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Most of the endophytes have antibiotic and plant growth promoting (PGP) activities. Particularly, PgSEB5-37E have the highest antibiotic activity, both PgSEB5-37B and PgSEB5-37H have high PGP traits such as an abilities to produce IAA, solubilize phosphate and fix nitroge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ndophytes from P. ginseng seeds may have applicable value to many industries. In order to use the isolated endophytes, quantitative analysis and field tests are needed to be performed.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 sp. R938의 동시 접종에 의한 땅콩의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Bradyrhizobium sp. R938 on the Nitrogenase Activity of Arachis hypogeae L.)

  • 서현창;김창진;김신덕;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8-552
    • /
    • 1991
  • Bradyrhizobium sp. R938과 VA 내성 균근균인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이 영호 땅콩의 질소고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포트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땅콩에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을 동시에 접종한 처리에서 질소고정력이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땅콩을 69일 동안 생육시킨 결과 근류의 크기도 내생균근균의 동시 접종으로 인해 증가되었다. 동시접종처리구에서 근류 하나의 평균 중량은 6.7mg으로,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radyrhizobium과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은 양분 흡수의 증진을 통한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이외에도 VA 내생균근균으로 인한 호르몬 효과가 있으리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환경변화에 따른 내생균근 포자증식의 변화 (Population Changes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s in the Different Soil Environments)

  • 이석구;엄안흠;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4-143
    • /
    • 1992
  • 내생균근 2속 4종 (Scutellospora heterogama, Sc. verucosa, Sc. calospora, Gigaspora magarita)의 포자가 분포한 토양을 채집하여 Pots를 구성하고 그 토양내 환경(거름의 종류와 농도)을 달리하여 숙주식물(수수)을 키우면서 시간별 포자수 증가 상태와 식물 성장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자수 증가면에 있어서 최고 4배이상의 증가치를 관찰하였고 포자종에 따라서는 5배 이상의 포자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포자증가치가 가장높게 나타나는 시기는 종간, 인산의 농도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개 30-40일경에 나타났고 이러한 높은 포자증식 상태가 주기적 경향을 띰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숙주식물의 생체량은 거름의 종류에 따라 2-3배 이상의 성장도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으나 전체 포자수 증가에 있어서는 별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감소된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의 자생 난과식물에서 난균근균(蘭菌根菌)(Orchid Mycorrhizal Fungi) 분리 (Isolations of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 Plants)

  • 이상선;유희균;백기엽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01-110
    • /
    • 1997
  • 현재 원예계에서 난의 재배는 중요한 품목이며, 화훼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우리 나라의 5개 자생지에서 채집한 춘란과 난 농원에서 조직 배양하여 재배한 심비디움류의 뿌리에서 공생하는 균을 분리하고, 또한 염색하여 현미경 관찰을 하였다. 난의 뿌리세포에 침투한 균은 읽히고 꼬인 정도가 다양한 균구를 형성하였다. 균구를 이루는 균사들의 직경은 가느다란 것에서 굵은 것까지 다양했고, 소화 단계상 다양한 균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난 뿌리속에 있는 내생균근균을 순수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R. repens와 R. endophytica var. endophytica로 동정하였다. 이들의 균을 제주한란과 오트모론을 이용하여 공생관계를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동양란과 서양란의 접종하여 개체당 생체량의 증가율을 측정하였을 때 난균근균에 감염된 실험구의 난이 모두 대조구의 난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자생란인 보춘화에서 분리된 R. repens가 난과식물에 대해 공생 능력이 있는 난균근균임을 확인하였다.

  • PDF

독도 자생식물 번행초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 식물생장촉진근권 세균에 의한 식물병 저항성 유도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plan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Dok-do Islands)

  • 김승건;손진수;권덕기;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96-602
    • /
    • 2019
  • 본 연구는 독도에서 서식하는 자생식물인 번행초와 번행초의 근권에서 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의 식물생장 촉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식물 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효과를 가진 균 중 범용성이 좋은 바실러스 속 세균에 초점을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번행초의 분리 균들은 근권환경에 52종, 식물체 내생 환경에서 51종, 식물체 표면에서 35종으로 총 138종의 분리 균이 확보되었다. 분리 균의 식물생장촉진특징을 확인하여 보기 위하여, 식물 성장에 필요한 난용성인 가용화와 철의 결합에 사용되는 siderophore의 생산능, 식물생장호르몬인 옥신 생산능을 확인하여 각각의 비율을 확인하였고, 3가지 특성을 모두 가진 균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 균을 담배에 처리하여 병원균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을 확인하였고, 그 중 효과가 좋았던 균 35종을 부분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속은 KUDC6588, KUDC6597, KUDC6606, KUDC6614, KUDC6615, KUDC6619로 나타났다. 6종의 바실러스 속 세균들은 모두 저항성 향상에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KUDC6619의 경우 현재 화학항생물질인 BTH와도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KUDC6619는 대표적인 식용작물인 고추에서도 유도전신저항성의 향상에 대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람과 동물에 대한 안전성, 식물 병원성 등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한 후,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KUDC6619는 식물의 ISR을 야기하는 생물농약 으로서의 높은 산업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illus sp. SW29-2의 분리 및 Colletotrichum coccodes에 대한 항진균 활성 (Isolation of Bacillus sp. SW29-2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coccodes)

  • 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8-693
    • /
    • 2017
  • 하수 슬러지로부터 감자 뿌리썩음병 및 토마토 탄저병을 유발하는 Colletotrichum coccodes에 대해 항진균 활성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partial 16S rRNA sequence는 Bacillus methylotrophicus CBMB205 및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FZB42와 각각 99%의 상동성을 보여주었다. 분리균은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BlastN 염기서열 분석, 형태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에 따라 Bacillus sp. SW29-2로 동정하였다. 분리균 Baciilus sp. SW29-2는 B. methylotrophicus CBMB205 type strain과 비교시 4% 이상 NaCl에서 생육하는 것이외에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이 모두 동일하였다. 분리은 호기성, Gram-양성,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었다. 실험한 $18-47^{\circ}C$(최적, 약 $38^{\circ}C$)의 온도범위에서, pH 3-9(최적, 약 6.0) 범위의 초기 배지 pH에서 모두 생육이 관찰되었다. Baciilus sp. SW29-2의 C. coccodes에 대한 생육저지환(직경)은 23 mm에서 29 mm의 범위이었다. 분리 세균은 또한 사과 푸른곰팡이병(penicillum rot disease)을 유발하는 Penicillium expansum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현재까지, Bacillus속 세균의 C. coccodes에 대한 항균활성 연구는 파악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분리균 Bacillus sp. SW29-2가 식물 병원성 C. coccodes에 대해 생물학적 방제제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추후, 식물병을 유발하는 다른 진균에 대해서 적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