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비게이션 자료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내비게이션 기반 절토사면 데이터 관리시스템 (Slope Navigation based on the Cut Slope Data Management System)

  • 배상우;김승현;이종현;구호본;이윤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1-77
    • /
    • 2010
  • 도로절토사면유지관리시스템은 국도를 따라 위치한 절토사면의 붕괴를 예방하고자 고안된 체계적인 유지관리시스템을 말한다. 안전한 도로 관리를 추구하기 위한 시스템을 수행할 목적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2006년부터 전국 모든 절토사면에 대한 현황 파악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오고 있다. IT 기술 응용의 일환으로 GIS기술과 내비게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절토사면관리시스템(SLOPE-Navi.)을 개발하였다. 내비게이션 절토사면 데이터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이전에 구축된 자료에 대한 점검 및 검증을 수행하여, 28,707개의 절토사면 기초조사 자료 및 정밀조사 자료를 내비게이션 지도 내에 수록하였다. 내비게이션 절토사면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절토사면 DB 관리 및 운용으로 붕괴 사고 예방 및 대책 수립을 위한 현장관리시스템으로 활용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도서관의 패싯 내비게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eted Navig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 유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39-358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영미권 공공도서관의 패싯 내비게이션 분석을 통해서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적합한 패싯 내비게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공공도서관 19개와 영미권 공공도서관 12개를 선정하여 패싯 내비게이션의 고유한 패싯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패싯은 대학도서관의 패싯과 차이가 없었지만, 미국과 캐나다 공공도서관은 공공도서관만의 고유한 패싯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 패싯들은 이용자 계층, 문학형식, 유사자료추천(library list), 이용자 생성 태그, 이용자가 대출할 수 있는 도서와 도서관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도서,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도서로 나누어서 제시하는 이용자의 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패싯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패싯들을 통합서지용 KORMARC 008 부호화정보필드를 활용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 적용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목록을 이용한 검색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간통계기법과 내비게이션 자료를 활용한 도시부 도로 교통량 추정연구 (The Study for Estimating Traffic Volumes on Urban Roads Using Spatial Statistic and Navigation Data)

  • 홍다희;김진오;장동익;이태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0-233
    • /
    • 2017
  • 교통량은 주말 및 첨두시 O/D 구축, 차량주행거리 산정, 혼잡도로개선 대책 등에 활용되는 중요한 기초자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도시부 도로의 교통량 링크 커버리지는 매우 낮아, 현재 수집 교통량으로는 교통정책 및 분석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 광역시 중 수집교통량 및 속도의 링크 커버리지가 가장 낮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수집 교통량과 속도를 활용하여 교통량 결측링크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교통량 추정 방법으로 공간적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교통량 추정모형 구축시, 서울시의 도시고속도로와 도시부 도로는 교통류 및 통행패턴은 상이하므로 이를 분류하여 도시고속도로에는 구간별 상수함수, 도시부 도로에는 회귀크리깅을 적용하였다. 이용 데이터로는 서울시 TOPIS, 국교부 국가교통정보센터 등에서 수집한 공공부문 교통량, 속도와 민간 내비게이션 DB를 활용하였다. 내비게이션 DB는 대부분의 도로링크에서 수집되므로 교통량 추정에 매우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단, 내비게이션 DB는 수집 교통데이터의 샘플데이터이므로, 모집단인 교통량, 속도와 비교 검증하여 적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DB도 결측링크가 존재하고, 차종이 승용차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여 적용하였다. 공간적 통계기법을 통해 추정한 교통량은 MAPE, RMSE를 활용하여 실제 교통량과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model error가 MAPE 6.26%, RMSE 5,410로 모델의 추정력이 높고, prediction error는 MAPE 20.3% 로 교통량 추정에 대한 추정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통량 결측링크의 교통량 추정모형은 차량주행거리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만족도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and Use Behavior of Mobile Navigation Service)

  • 이제성;김해인;문지혜;이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1-121
    • /
    • 2020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1200명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서비스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서비스를 이용 소비자는 주 1-2회, 3-4회에서 주말 점심, 주중 아침에 사용량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핵심 기능성 차원으로 나타났다. 소비감정에서 긍정감정은 정의 방향, 부정감정은 부의 방향으로 영향력을 지니며, 혁신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소비자들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형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었으며, 차후 소비자만족을 위한 서비스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내비게이션 산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내비게이션을 활용한 해양환경관측 및 빅데이터 분석방안 (Methodology on e-Navigation-Assisted Ocean Monitoring and Big Data Analysis)

  • 이관홍;박재훈;하호경;김도완;이우주;김홍태;신현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204-2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이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장착된 연안 및 국제여객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해양환경관측을 실시하고 관측된 해양 환경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운영 개념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연안의 해양환경모니터링 현황을 개괄한 후, 기존 관측망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내비게이션을 활용한 해양환경모니터링 관측방법과 관측요소(기상, 물성, 유속 및 수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장착된 여객선에서 관측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시공간 혼합효과모형, 앙상블기법 및 무요소기법과 같은 해양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연안 선박과 소형어선에 중점을 둔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추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에 관한 연구 (Proposing Construction of Pedestrian Path Network from the Existing Geospatial Data Sets)

  • 김지영;유기윤;김정옥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
    • /
    • 2009
  • 보행자 내비게이션은 이동특성에 기인하여 차량용 내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네트워크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보행자 요구를 정의하고, 국가에서 기 구축한 공간정보를 분석하여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에 필요한 레이어를 명확히 하였다.

  • PDF

침수위험지수를 활용한 안전한 경로탐색서비스 제안 (Proposal for Safer Routing Services in Car Navigation Systems based on an Inundation Hazard Index of Road Links)

  • 김지영;김기락;배영은;유기윤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46.1-46.1
    • /
    • 2010
  • 본 연구에서 우리는 폭우로 인하여 도로의 일부 또는 전체가 침수되는 경우 침수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안전한 경로탐색을 차량 내비게이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수치고도모델(DEM)을 활용한 공간분석과 폭우로 도로침수가 발생된 일자의 이력강수량을 기반으로 도로링크별 침수위험지수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침수위험지수를 이용하여 실제 내비게이션 환경에 시나리오별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최단경로를 서비스하는 것과 비교시 보다 안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교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위하여서는 도로침수와 관련된 자료 구축이 요구되며, 해상도가 높은 DEM을 활용하여 침수가 가능한 지역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뢰할 수 있는 강수량 예보가 요구된다.

  • PDF

KDC 조기표를 이용한 국내서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개선 방안 (Improving Faceted Navigation Using the KDC Tables for the Korean Bibliography)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조기표를 활용하여 차세대 도서관 목록(NGC)에서 강조하는 검색 결과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조기표는 자료의 형식적인 측면이나 내용 측면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므로, 기존의 NGC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요 패싯인 언어나 발행년도, 주제(대구분)와 같이 효과적인 패싯이 될 수 있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KDC)을 적용한 서지레코드의 분류기호를 분석하여, 본표와 조기표의 합성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표에 합성된 조기성 기호가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강화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분류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주제 분석 과정의 산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도 가지고 있다.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을 위한 패싯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ing the Faceted Navigation Interface for Searching Performing Arts Contents)

  • 이원경;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7-102
    • /
    • 2016
  • 공연예술 콘텐츠의 효과적인 검색은 특화된 메타데이터를 근간으로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할 때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찾고자하는 공연예술 콘텐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공연예술 국내외 사이트가 제공하고 있는 접근점 요소와 내비게이션 요소를 파악하고 연극, 무용 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원하는 공연예술 검색 접근점 및 브라우징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에 적합한 9개 패싯요소 즉, '공연예술장르', '공연예술가', '공연예술단체', '자료유형', '언어', '주대상관객', '이벤트', '장소', '시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각적인 패싯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공연예술 콘텐츠 기술요소 27개를 선정하였고 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3,360건의 실험 데이터를 구축하고 실제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이 이용자가 원하는 패싯을 제공하여 만족스러운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정보조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임을 증명하였다. 공연예술 도메인에서 패싯 내비게이션 검색 기법의 응용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더 나아가 공연예술 정보에의 접근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개별 속도자료기반 도로구간 CO2 배출량 원단위 산정 방안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Unit Load of Road­-Section CO2 Emission Based on Individual Speed Data)

  • Park, Chahgwha;Yoon, Byoungjo;Chang, Hyu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6-105
    • /
    • 2017
  • 지구 온난화는 인류의 재앙이며, 그 주된 원인은 이산화탄소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범국가적 정책이 수행되고 있으며, 정책의 수립/집행에 있어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매우 주요하다. 도로이동오염원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도로구간별 CO2 배출 원단위가 필요하며, 이는 차량의 속도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다. 그러나 전국 도로망에 대한 속도자료의 수집 및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양의 차량 내비게이션 자료를 이용한 비집계방식의 도로구간 CO2 배출량 원단위 산정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은 기존 집계방식에 의한 CO2 배출 원단위보다 정확하며, 전국 도로망에 직접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