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 공격 모델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Installation of Global Honeypot System for Collecting Malicious Code (악성코드 수집을 위한 글로벌 허니팟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Hur, Jong-Oh;Cho, Si-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36-41
    • /
    • 2010
  • 크래커(Cracker)의 공격으로부터 내부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허니팟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내부 정보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크래커의 공격을 유인하는 목적의 허니팟이며, 다른 하나는 방어기법을 연구하기 위해 크래커의 공격을 유도한 후 공격기법을 로그기반으로 수집하는 허니팟이다. 하지만, 최근의 공격은 크래커로 인한 공격보다는 불특정 다수를 공격하기 위해 대량의 악성코드를 통한 공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허니팟의 유형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악성코드에 대한 방어기법을 연구하는 Anti-Virus 연구소에서는 최근의 악성코드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악성코드를 조기에 수집하는 것이 주요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악성코드 수집을 위한 허니팟은 기존 허니팟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하지만,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정의된 것이 없으며, 개발을 위한 구현 모델이 존재하지 않아, 실제 구축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존 허니팟과 비교를 통해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이 갖추어야 할 7대 요구조건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제시된 적이 없는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 구현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구현 모델을 통해 실제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을 개발 및 실제 구축하여, 수집 결과와 함께 구축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Anti-Virus 연구소들은 본 구현모델과 구현결과, 고려사항을 통해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을 개발하여, 확산되는 악성코드를 조기에 수집 및 대응함으로써, 1.25 대란, 7.7 DDoS대란과 같이 악성코드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적 정보자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Model of Honeypot for Collecting Malicious Code (악성코드 수집을 위한 허니팟 구현 모델 연구)

  • Hur, Jo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762-765
    • /
    • 2010
  • 크래커(Cracker)의 공격으로부터 내부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허니팟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내부 정보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크래커의 공격을 유인하는 목적의 허니팟이며, 다른 하나는 방어기법을 연구하기 위해 크래커의 공격을 유도한 후 공격기법을 로그기반으로 수집하는 허니팟이다. 하지만, 최근의 공격은 크래커로 인한 공격보다는 불특정 다수를 공격하기 위해 대량의 악성코드를 통한 공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허니팟의 유형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악성코드에 대한 방어기법을 연구하는 Anti-Virus 연구소에서는 최근의 악성코드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악성코드를 조기에 수집하는 것이 주요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악성코드 수집을 위한 허니팟은 기존 허니팟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하지만,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정의된 것이 없으며, 개발을 위한 구현 모델이 존재하지 않아, 실제 구축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존 허니팟과 비교를 통해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이 갖추어야 할 7 대 요구조건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제시된 적이 없는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 구현 모델을 제안하였다. Anti-Virus 연구소들은 본 구현모델을 통해 악성코드 수집용 허니팟을 개발하여, 확산되는 악성코드를 조기에 수집 및 대응함으로써, 1.25 대란, 7.7 DDoS 대란과 같이 악성코드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적 정보자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f Prevention Model the Spread of Phishing Attack for Protection the Medical Information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피싱공격 확산방지모델 연구)

  • Choi, Kyong-Ho;Chung, Kyung-Yong;Shin, Dong-K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3
    • /
    • pp.273-277
    • /
    • 2013
  • Phishing attacks have been implemented in smarter, more advanced ways with the passage of time. Hackers use intelligent phishing attacks to take over computers and to penetrate internal networks in major organizations. So, in this paper, a model for a prevention of phishing attack spread is conceptual designed in order to protect internal users and sensitive or important information from sophisticated phishing attacks. Internal users simultaneously utilize both external web and organizational mail services. And hackers can take the both side equally as a vector. Thus, packets in each service must be monitored and stored to recognize threatening elements from both sides. The model designed in this paper extends the mail server based security structure used in conventional studies for the protection of Internet mail services accessed by intranet users. This model can build a list of phishing sites as the system checks e-mails compared to that of the method that directly intercepts accesses to phishing sites using a proxy server, so it represents no standby time for request and response processes.

RDP-based Lateral Movement Detection using PageRank and Interpretable System using SHAP (PageRank 특징을 활용한 RDP기반 내부전파경로 탐지 및 SHAP를 이용한 설명가능한 시스템)

  • Yun, Jiyoung;Kim, Dong-Wook;Shin, Gun-Yoon;Kim, Sang-Soo;Han, Myung-Mo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2 no.4
    • /
    • pp.1-11
    • /
    • 2021
  • As the Internet developed, various and complex cyber attacks began to emerge. Various detection systems were used outside the network to defend against attacks, but systems and studies to detect attackers inside were remarkably rare, causing great problems because they could not detect attackers inside.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on the lateral movement detection system that tracks and detects the attacker's movements have begun to emerge. Especially, the method of using the Remote Desktop Protocol (RDP) is simple but shows very good results.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each logon host itself, and the features presented also provided very low results in some model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model could not explain why it predicts that way, which resulted in reliability and robustness problems of the model.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n interpretable RDP-based lateral movement detection system using page rank algorithm and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Using page rank algorithms and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we create feature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models and we provide explanations for model prediction using SHAP. In this study, we generated features that show higher performance in most models than previous studies and explained them using SHAP.

A Study on upgrading ESM Plan in a Defence In Depth Strategy (심층방어 전략을 통한 통합보안관제 고도화 방안 연구)

  • Yoon, Dae-Won;Ryou, Jae-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88-391
    • /
    • 2015
  • 현재 개인정보보호법 및 정보보안에 대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데이터 유출사고의 약 76%가 외부조직에서 발견되었고, 피해조직의 내부에서 발견된 비율 중 절반 이상이 최종 사용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관제대상과 범위가 주로 네트워크 영역으로 한정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에 집중하는 보안관제 체계가 사고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즉 내부 PC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이나, 패턴기반의 탐지를 우회하는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이용한 APT공격, 사회공학적 공격 등에는 한계를 보이는 경우이다. 향후 사물인터넷(IoT)의 증가로 인하여 더 많은 취약점 공격과 대량의 비정형 데이터가 증가할 경우 내외부적인 공격에 보안 체계가 더 체계적이고 계층적 방어 보안 모델로 대응해야 한다.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Architecture for Prevention of Proprietary Information Leakage (내부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정보보호 기술구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Moon, Ji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10-1112
    • /
    • 2007
  • 내부 정보 유출 방지체계는 침입탐지시스템이나 방화벽 같은 외부 공격자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어 새로운 정보보호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내부정보 유통 구조에 내재되어 있는 내부 정보 유출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새로운 정보보호 모델을 제안하며, 제안된 정보보호 모델을 구현하는 한 방법으로서 DRM 기술을 적용한 정보보호 기술구조를 제안한다.

  • PDF

Study Response Model against ARP Redirect attack on Local Area Network (Local Area Network상의 ARP Redirect attack 대응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Sun-Joong;Kim, Jung-Moon;Yeh, H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2237-2240
    • /
    • 2003
  • 하나의 물리 망 위에 있는 두 시스템은 상대방의 물리 주소를 알고 있어야만 통신을 할 수 있고. 물리 주소는 통신비용 절감을 위해 ARP를 사용하는 HOST의 ARP cache에 Internet-to-Ethernet Mapping형태로 저장한다. 이러한 ARP cache 구조는 Modification의 많은 취약성을 가진다. 그 중 취약성을 이용한 공격 중 하나인 ARP Redirect Attack은 물리 망 위의 Target Host 패킷이 공격자의 시스템을 통해 게이트웨이까지 가도록 한다. 본 논문은 게이트웨이 및 일반 HOST 시스템으로 구성된 Local Area Network 기반 구조를 내부 공격자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내부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게이트웨이까지 보내기 위한 대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he Bogus Routing Information Attacks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정보 변조공격에 대한 분석)

  • Lee, Myung-Jin;Kim, Mi-Hui;Chae, Ki-Joon;Kim, Ho-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4C no.3 s.113
    • /
    • pp.229-238
    • /
    • 2007
  • Sensor networks consist of many tiny sensor nodes that collaborate among themselves to collect, process, analyze, and disseminate data. In sensor networks, sensor nodes are typically powered by batteries, and have limited computing resources. Moreover, the redeployment of nodes by energy exhaustion or their movement makes network topology change dynamically. These features incur problems that do not appear in traditional, wired networks. Security in sensor networks is challenging problem due to the na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ack of resources. Several efforts are underway to provide security services in sensor networks, but most of them are preventive approaches based on cryptography. However, sensor nodes are extremely vulnerable to capture or key compromise.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network, it is critical to develop suity mechanisms that can survive malicious attacks from "insiders" who have access to the keying materials or the full control of some nodes. In order to protect against insider attack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an insider can attack a sensor network. Several attacks have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However, insider attacks in general have not been thoroughly studied and verified.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sider attacks against routing protocols in sensor networks using the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protocol. We identify the goals of attack, and then study how to achieve these goals by modifying of the routing messages. Finally, with the simulation we study how an attacker affects the sensor networks. After we understand the features of inside attacker, we propose a detect mechanism using hop count information.

Efficient Detction and Defence Model against IP Spoofing Attack through Cooperation of Trusted Hosts (신뢰 호스트 상호 협력을 통한 IP 스푸핑 공격의 효율적 탐지 및 방어 모델 설계)

  • Lee, Hae-Dong;Ha, Hyeon-Tae;Baek, Hyun-Chul;Kim, Chang-Gun;Kim, Sang-B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2649-2656
    • /
    • 2012
  • Today, many enterprises have invested heavily for the part of information security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nal critical information assets and the business agility. However, there is a big problem that big budget and too many manpower are needed to set the internal corporate network up to the same high level of defense for all of part. On the distributed enterprise networks in this paper, a defense model for effective and rapid response on the IP spoofing attack was designed to protect the enterprise network throug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trust hosts when an attacker attacked any target system using other trusted host.

A Message Authentication and Key Distribution Mechanism Secure Against CAN bus Attack (CAN 버스 공격에 안전한 메시지 인증 및 키 분배 메커니즘)

  • Cho, A-Ram;Jo, Hyo Jin;Woo, Samuel;Son, Young Dong;Lee, D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2 no.5
    • /
    • pp.1057-1068
    • /
    • 2012
  • According to advance on vehicle technology, many kinds of ECU(Electronic Control Unit) are equipped inside the vehicle. In-vehicle communication among ECUs is performed through CAN(Controller Area Networks). CAN have high reliability. However, it has many vulnerabilities because there is not any security mechanism for CAN. Recently, many papers proposed attacks of in-vehicle communication by using these vulner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wireless attack model us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e propose a secure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in-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that assure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of data packets and also protect in-vehicle communication from the replay at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