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적 공급인자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Eval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 (도시공원의 공급인자 평가모형)

  • Chang, Byu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1-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ausal effects of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on visitor satisfaction?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 Korean park planning proces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52 visitors at 8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08,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fter the elimination of 96 unsuitable samples,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method. We have found that: 1)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accessibility(ACC) on visitor satisfaction(VS) turned out to be 0.184 and 0.220, respectively,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IFM) and promotion(PRM) on VS turned out to be 0.101 and 0.177, respectively. 2)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rvice(SVR) on VS turned out to be 0.130 and 0.236, respectively, the direct effect of ACC turned out to be 0.698. 3) While the direct effect of ACC, SVR and attraction(ATT) on VS turned out to be 0.184, 0.130 and 0.698, respectively, composing 67.96% of causal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ACC, IFM, PRM and SVR on VS turned out to be 0.220, 0.101, 0.177 and 0.236, respectively, composing 42.04% of causal effect. 4) The magnitude of causal effect of supply factors on VS turned out to be ATT(39.98%), ACC(23.14%), SVR(20.96%), PRM(10.14%) and IFM(5.78%) in order, and 5) the causal effect of external supply factors of ACC, IFM and PRM compose 39.06% of the causal effect while that of the internal supply factors of SVR and ATT is 69.94%.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Planning for park marketing strategy and remedial directions for existing urban parks, in order to increase visitor satisfaction, be focused on IFM and PRM, especially. 2) The research approach and path analysis method adopted by this research be valid and highly useful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 other recreation areas. It is recommended that: 1)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2) Evaluation of supply factors by type of urban park be performed.

Development of Equipment to Grasp the 3 Dimensional Water Body Movement (3차원 수체 흐름 특성 파악을 위한 장비 개발)

  • Lee, Hyun-Seok;Chai, Won-Ki;Kim, Young-Sung;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15-715
    • /
    • 2012
  • 계곡, 강 그리고 하구 등 하나의 수계를 대상으로 한 흐름특성은 하상구배, 지질조건, 단면형상, 날씨, 계절변화 등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함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유기체로 비유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기체로 비유되는 수체의 특성규명 연구에는 입체적인 방법을 통한 사상변화에 따른 실시간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체와 연동하여 3차원적 거동 조사가 가능하도록 '자이로볼'을 고안하였다. '자이로볼'은 탁구공과 같은 크기의 구형으로서 방수처리 된 본체의 내부 중심에 중앙제어부, 최첨단 자이로 센서, 적외선 통신센서, 전원공급부 등을 내장하고, 그 둘레부에는 일정 수심에서의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부로 구성된다. 또한 자이로볼 내부와 별도로 개방 공간부를 설계하여 장치의 수거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였다. 개수로에서의 실내실험 결과, 저유속 및 고유속에서의 흐름특성을 적절히 연동하고 있는 재현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Response of River Geomorphology due to Human-Induced Disturbance (인위적 교란에 의한 하도지형의 응답에 관한 연구)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11-1015
    • /
    • 2010
  • 하천의 이용과 관리적 측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도의 직선화, 홍수량의 변화, 하상굴착, 하폭의 확대 축소 및 횡단구조물 등은 중규모 스케일의 하천지형을 인위적으로 교란시키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위적 교란은 하천생태계의 기반인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므로 하도지형의 응답방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유역의 지형은 여러 가지 스케일의 지형단위가 조직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대(大) 중(中) 소(小)의 3가지 스케일 지형단위로서 계(系, system)를 계층화하고, 작은 계층의 계(系)에서는 큰 계층의 계(系)를 고정적인 경계조건으로 하여, 그 내부의 여러 가지 특징이나 변화를 규정하는 주요 인자를 이용하여 분석해야 한다. 또한 대(大) 스케일은 유역스케일의 지형스케일이며, 하도의 수계망이나 하도종단형 형상 등이다. 중(中) 스케일은 segment에서 reach 스케일의 지형이며 사행형상, 하천 폭 등이다. 소(小)스케일은 수심의 10배 정도이하의 지형스케일이며, 소규모 하상파 등의 미지형(微地形)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과 황강을 대상하천으로 유량 조절과 유사공급이 차단되는 댐하류 및 골재채취와 같은 인위적 교란요인에 의한 중규모(segment scale) 하도지형의 변화와 응답방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량 및 유사공급량의 변동의 크기에 따라 전체적인 하상저하와 더불어 사주와 소가 소멸되면서 여울과 소가 사라지는 현상이 동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하상의 평탄화에 의하여 저수로의 폭이 넓어져 복열사주가 발달하면서 수심 및 유속의 다양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low measurement in engine cylinder (기관 실린더 내의 가스 유동 계측)

  • 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1
    • /
    • pp.9-14
    • /
    • 1987
  • 왕복동 내연 기관 실린더 내의 가스 유동은 기관의 성능 향상, 연소 개선, 배기 정화 등에 직접적 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되며, 최근 각종 유동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의 개발은 가스 유동 계측에 많은 발전을 가져 왔다. 특히 각종 열기관의 연소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은 기관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여소 배출물의 유해 성분 저감을 위한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기관의 최적 제어 운전, 자동 제어 연료 공급 및 분사장치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개발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실린더 내의 연소 성능을 향상시키 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관 실린더 내부의 가스 유동을 밝히고, 유동의 모델링, 유동장의 계측, 연소장의 유동 측정 등의 연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린더 내의 연소 및 유 동장의 연구는 주로 연소 특성치를 관한 연구와 유동장을 중심으로 하는 흐름의 시뮬레이션을 비롯 유동장의 계측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기서는 주로 실린더 내의 가스 유동의 측정 방 법과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몇 가지 측정의 보기를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 PDF

The Significance and Management of Hyporheic Zone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의의와 관리 필요성)

  • Ko, Dongwoo;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3-283
    • /
    • 2021
  • 혼합대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수리적 교환이 일어나는 경계부로써 1) 수문학적 관점에서는 하도와 하상간의 물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작용이 발생, 2) 생지화학적인 관점에서는 하상 간극수 흐름에 의한 전이대(ecotone)를 형성하여 용존산소·영양물질·용존유기탄소의 이동뿐만이 아니라 지하수로부터 열에너지·무기염류의 공급을 유도하면서 높은 생지화학적 활동과 변환을 야기하는 산화·환원 반응구역, 3) 생태적인 관점에서는 저서생물과 지하 유기체종을 특징으로 하는 서식지이나 잠재적인 레퓨지움(refugium) 등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국내 하천환경의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지하수의 이용 및 보전과 지하수의 안정적인 수량·수질 확보를 목표로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의 이해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에 관한 보고서, 논문 등을 종합하여 혼합대의 영향인자를 살펴보면 1) 수리수문 특성에는 수리전도도·하천 수위·하천 유속·하천수 수온, 2) 수질 특성에는 유기오염물질·영양염류, 3) 수생태 특성에는 대형무척추동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연구분야의 접근방법으로 다양한 현장측정기법 및 모델링을 통한 혼합대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혼합대가 가지는 환경적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하고, 혼합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프로세스로 인해 전문가들조차 연구에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수문·수질·수생태 등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기초 데이터를 상호교환하고, 기존의 혼합대 조사에 부족한 부분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하천 기저유출 및 혼합대 기초자료 구축, 혼합대 흐름 정량화, 하천복원사업에 의한 혼합대 영향 규명 등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혼합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

  • Park, Seung-Chul;Kang, Won-Gu;Hwang, Tae-W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5 no.3
    • /
    • pp.213-220
    • /
    • 2007
  • Appropriate numerical models for the simulation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models have been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design parameters of real plant and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for CCM(Cold Crucible Melter), pipe cooler and HTF(High Temperature Filter). At first, the effect of excess oxygen and the ratio of oxygen distribu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he CCM has been studied. Next, solidification behavior of radio nuclide in the pipe cooler has been numerically modeled and scrutinized. Finally, flow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off-gas entrance of the HTF has been compared.

  • PDF

Numerical Analysis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

  • Park Seung-Chul;Kim Byong-Ryol;Shin Sang-Woon;Lee Jin Wook;Kang Won Gu;Hong Seo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69-78
    • /
    • 2005
  • Appropriate numerical models for the simulation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models have been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design parameters of real plant and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for CCM(Cold Crucible Melter), pipe cooler and HTF(High Temperature Filter) At first, the effect of excess oxygen and the ratio of oxygen distribu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the CCM has been studied. Next, solidification behavior of radio nuclide In the pipe tooler has been numerically modeled and scrutinized. Finally, flow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off-gas entrance of the HTF has been compared.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Local Scouring at the Downstream of the Fixed Bed in Open Channel Flow (개수로 흐름 내 고정하상 하류부에서의 국부세굴에 관한 실험 연구)

  • Park, Sung Won;Ahn, Jungkyu;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8-3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정하상 직하류부에서 발생하는 국부세굴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동상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순환식 유량공급이 가능한 개수로 실험장치에 아크릴로 제작된 사각형 모형을 설치하고 하류에 균일한 입경의 모래를 설치하여 다양한 수리조건과 시간변화에 따른 하상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하상고 자료로부터 시간별 최대세굴심의 크기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굴심의 상류부 경사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었고, 최대세굴심과 세굴공 길이, 최대세굴심 발생거리는 시간변화에 따라 증가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세굴심의 시간변화식의 기울기와 경계지점에서의 수심평균 상대난류강도값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굴공 내에서는 하상근처에서 후류가 발생하고, 수심방향으로 유속편차가 극심하게 증가하는 분리전단층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최대세굴심의 시간적 변화양상과 세굴심 내부에서 발생하는 흐름 및 난류강도 분포특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세굴심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이용하여 향후 적절한 세굴심의 예측식을 개발할 수 있고, 최대세굴심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Geological Environments and Deterioration Causes of the Buddhist Triad Cave in Gunwi, Korea (군위 삼존석굴의 지질환경과 훼손원인)

  • 황상구;김수정;이현우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07-420
    • /
    • 2002
  • The Buddhist Triad Cave in Gunwi (National treasure No. 109) consists of porphyritic biotite granite, and it has been deteriorated into microorganic smears, white films, brown rusts, granular decay, color changes, and joints by the same weathering factors as rain, moisture, temperature variation and microorganic living. Main origin is probably the rain that leaks into the cave along joints in Palgongsan granite, and then its moisture grows many microorganism and is frozen over during winter. The granites around the cave regularly develop two NEE and NWW joint sets that are conjugate to be a joint system. The NEE set extends far away with narrow joint spacings and affects the leakage of the rains, and is divided into 4 joint zones, among which J$_{m}$ and J$_{3}$ immediately affect the leaking water into the cave. An extensional Joint, in northern wall of the cave, was formed by toppling of the block between J$_{m}$and J$_{3}$joint zones from widening the Jm aperture by roots of a big pine tree, and passes through the J$_{m}$joint zone. This bypass allows no circulation of small rain, but a good circulation of heavy rain from influx to the cave for a long pathway. Many Joints and cracks, in the ceiling near the cave entrance, immediately get through the J$_3$ joint zone, and have a good circulation of small rain 10 mm. Both J$_{m}$and J$_{3}$ joint zones are, therefore, chief influxes that cause leakage of the rains.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Vent-Relief Valve (산화제 벤트/릴리프밸브의 동특성 해석 및 작동성능분석)

  • Jang, Je-Sun;Koh, Hyeon-Seok;Han, Sang-Yeop;Lee, K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741-747
    • /
    • 2010
  • Vent-relief valve performed as a safety-valve combination for liquid propellant feeding system of space launch vehicle, which can vent the vaporized oxygen vapor during both filling cryogenic oxidizer into tank and flight. We have designed vent-relief model by using the AMESim code to predict dynamic characteristics and simulate pneumatic behavior of valve. To validate valve model we have compared by opening time in vent model, and opening/closing pressure by mathematical methods and improved the accuracy through numerical flow analysis by using FLUENT code. In this study, we had verified design parameters and analyzed operating performances. We can use these analysis results to precedent development study on propellant feeding system of Korea Space Launch Veh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