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오염

Search Result 58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Zoning Method to Predict Contaminant Sources in Turbulent-Type Cleanroom (난류형 클린룸에서 영역분할법을 이용한 오염원 추정에 관한 연구)

  • Kim, D.K.;Sung, H.G.;Han, S.M.;Hwang, Y.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3
    • /
    • pp.253-260
    • /
    • 2015
  • Particle contamination in a cleanroom is very complex with a complicated process and several pieces of spreading equipmen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locations of the contamination sources and the path of the contamination is needed for economical and efficient control of the contaminant particles in such a cleanroom. An allocation method was develop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contamination generated from the pollution sour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zoning method to accelerate the computation time for estimating the contributions. Our results showed that we can quantitatively estimate the amount of contamination generated from pollution sources.

Mechanical Properties of Oil Pollution Sand Due to Changes in the Viscosity of Oil (점도 변화에 따른 유류오염 모래의 역학적 특성)

  • Hong, Seung Seo;Bae, Gu-Jin;Kim, YoungSe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5 no.4
    • /
    • pp.577-585
    • /
    • 2015
  • Contamination of soil due to an oil spill influences its subsequent behavior.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oil viscosity on compaction characteristics,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shear strength. Water permeability was also determined by using Kerosene, Engine oil, and Crude-oil as contaminants.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are influenced by oil contamination. Direct shear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il in the pore space in sandy ground. angle of internal friction of sand (based on total stress condition) decreases due to presence of oil within the pore spaces in sand.

Effect of infow contaminants on Sediment in the Heung-bu reservior during the Raining Season (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이 흥부 저수지내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

  • Jung, Hee-Jin;Choi, I-Song;Lee, Tae-Ho;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8-10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날로 심각해지는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데이터의 확충 및 현황 파악을 위하여 흥부지구 강우시 저수지내의 퇴적물 상태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저수지 퇴적물에 의한 내부오염 발생여부 및 저수지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퇴적물에 의한 오염 방지 및 필요수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준설여부를 검토함으로 써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조사연구는 1) 저수지 내 퇴적물 추정량, 2) 퇴적물의 입도분포 및 유기물질 무기물질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조사연구 결과는 퇴적물의 준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는 저수지의 퇴적속도, 저수지 내 퇴적물의 용적량, 잠재적 오염물질의 함유량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앞으로 흥부저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질개선 사업의 수행 시 설계 인자로 반영 하고자 한다.

  • PDF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VOC Emission in Landfill Site (매립장 배출공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계절(겨울과 여름철)간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 오상인;김기현;최여진;전의찬;사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25-326
    • /
    • 2003
  • 매립지 내부에서 진행되는 혐기성 분해로 인한 폐기물의 부패현상은 일반적으로 악취와 관련한 직접적인 대기오염문제에서부터 메탄과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의 발생 등과 같이 기후환경변화와 관련된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심각한 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매립지 내부의 가스상 오염물질들의 누적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배출공에서는 이산화탄소나 메탄과 같은 온실기체 이외에도 약 80여 종에 이르는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Volatile Organic Compound, 이하 VOC) 성분들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Young and Parker, 1983). (중략)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Toilet 오염 방지 표면 처리 기술의 개발 -I. 오염 현상의 정량적 평가-

  • Do, U-Ri;Yang, Won-Gyun;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01-401
    • /
    • 2010
  • 현대사회로 들어오면서 과거와 달리 외부에 있던 화장실이 내부로 들어오면서 변기 뚜껑을 닫지 않고 toilet flushing을 할 때 배변에 포함된 다량의 장티푸스, 포도상 구균 같은 종류의 세균이 화장실 곳곳에 퍼짐에 의하여 면역력이 약한 경우 여러 가지 세균성 질환 및 2차 감염을 통하여 장티푸스 및 피부 질환 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세변기 표면의 오염 방지처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차적으로 여러 가지 운용 조건에서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배변의 양에 따라 toilet flushing 시 피부 오염의 물질 노출 정도를 평가 하였다. 실험 방법은 배변을 모사하여 toilet system에 넣고 물을 내려 무게에 따른 물 튀김 정도와 위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밀가루 반죽의 무게가 증가하면서 피부에 닿는 물 튀김 면적이 특정 무게에서 최대 60.02 mm2까지 증가하다 감소했다. 또한 실제 측정 결과를 통하여 물 튀김의 분포가 뒤쪽에 집중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실제 toilet flushing시 세균에 의하여 피부 오염 및 국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데 동작 시 변기 내부에 잔존하는 세균 자체가 확산되는 정도를 3차원 유체 역학 모델링으로 예측하였다. 앞으로 세변기 뚜껑의 플라즈마 표면처리 및 toilet flushing 유로 디자인 개선을 통해 세균의 잔류 및 퍼짐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세균성 질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1단계 목표다.

  • PDF

Effects of Membrane Size and Organic Matter on Membrane Fouling (천연유기물질의 특성과 막의 종류에 따른 막오염 메카니즘 분석)

  • Jung, Chul-Woo;Son, Hee-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0
    • /
    • pp.1046-1054
    • /
    • 2006
  • The raw water DOC contained 39.3% of hydrophilics, 42.9% of hydriophobic, and 17.8% of transphilic. The hydrophobic fraction in this raw water was mostly fulvic acid. Fulvic acid comprised of 62% and the rest was humic acid(38%). There was more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64%) than phenolic group(36%). HPI-N and HPI-C comprised of 17% and 22% in the hydrophilic portion, respectively. The fouling mechanisms on the membrane surface and into its porous structure were analyzed in terms of several kinetic models. In order to analyze the fouling kinetics, the various kinetic models described in this paper were used to fit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kinetic models and kinetic constants obtained for each operation condition. The permeate flux was rapidly declined by simultaneous pore blocking and cake formation. Also, the permeate flux declined with decreasing internal pore size resulted from organic deposition into the membrane pore. The results of the membrane fouling test using UF membrane according to NOM fractions. HPI-N caused more fouling than HPI-C. Humic acid caused more fouling than fulvic acid probably due to higher adsorption capacity. Since humic acid has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fulvic acid, it would be more adsorbed onto the membrane pores.

Study on Sediments' Release for Water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의 수질 특성에 따른 퇴적물의 용출 영향 연구)

  • Lee, Jin Kyung;Choi, Sun Hwa;Lee, Seung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99-499
    • /
    • 2016
  • 본 연구는 오염된 농업용 저수지에 대하여 수층에 따른 수질 변화 특성을 조사하고, 저수지 저부의 퇴적물에 대한 용출 실험을 통해 수층별 수질 특성이 퇴적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 저수지의 선정은 설치년도 1960년대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였으며, 주요 오염원을 축산계와 생활계 오염원으로 분류하여 각 다른 특성을 가진 저수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내부 오염 부하량이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용출량 실험 결과, 호기 조건에서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의 T-P가 미미하게 용출이 일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생활계,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에서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에 혐기 조건의 경우에는 생활계오염원 보다는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에서, 1960년대 이후 설치된 저수지에서 보다는 1960년대 이전에 설치된 저수지에서 용출이 크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혐기 조건에서 T-N의 경우 생활계오염원과 1960년대 이후 설치된 저수지에서는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 외의 항목에서는 모두 용출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혐기조건에서는 모든 연구대상 저수지에서 T-P의 용출이 크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부영양화의 주요 영향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저수지 저부의 혐기조건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연구 저수지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가뭄의 영향으로 수위가 평년에 비해 상당히 낮았으며, 저수량의 부족으로 저수지 주변의 바닥이 드러나거나 유출이 없는 등의 특징을 보였다. 수심이 낮은 5~7월의 조사 시기에는 표층의 DO 농도가 높음에도 저층부의 DO 농도는 1.2~2.2 mg/L를 나타내 약혐기조건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측정기(HYDROLAB_Quanta)를 이용한 DO측정시, 저층부 퇴적물의 재부유를 막기 위해 저층경계면에서 30~50cm 윗부분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저층부 바닥면의 DO 농도가 더 낮을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이 시기에 퇴적층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용출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으며, 이후 8~11월에 수계 내 환란 및 순환에 의해 오염물질이 수중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퇴적되어 있던 오염물질이 계속적으로 용출 및 순환을 해마다 반복한다면 해당 저수지는 장기간 수질 오염 저수지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오염부하가 크다고 판단되는 저수지에 대하여 오염퇴적물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열진공시험시의 위성체 오염측정 및 분석

  • 조혁진;문귀원;이상훈;서희준;최석원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75-75
    • /
    • 2004
  • 위성체에 대한 오염의 측정과 관리는 매우 정밀한 광학계나 기타 오염 민감 표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성이 발사되기 전까지 주의 깊게 수행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기간동안 위성은 청정실(clean class 10,000)에서 보관 및 운용되기 때문에 측정 및 분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위성의 궤도환경모사를 위한 열진공시험시의 오염 측정 및 분석은 상압, 상온의 청정실 내부에서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다. (중략)

  • PDF

Electrical Surveys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of Pusan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전기탐사)

  • Kiehwa Lee;Jong-Ryeol 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4 no.4
    • /
    • pp.185-190
    • /
    • 1997
  • Electrical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in July,1996. Within the landfill, 4 lines of dipole-dipole surveys and 7 Schlumberger soundings were carried out and 2 soundings in front of the landfill. In the landfill, interpretations of the survey data show low resistivity zones below 10 Ωm to a depth of 50 m from the surface and such low resistivity zones of the D block are thicker than those of the other blocks by about 2~10 m. Considering the depth of the bedrock and the height of waste reclamation, no evidence of bedrock contamination by leachate is indicated. But it is inferred that the weathered zones are contaminated in the landfill. In the block A and B, minor fault having the strike of N$70^{\circ}$W have been confirmed by dipole-dipole surveys, so future contamination of the bedrock by leachate is possible The degree of ground contamination is the highest in the D block due to the leachate plume mainly heading for this block. On the other hand, electrical soundings do not indicate ground contamination by leachate in the front area of the landfi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