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부하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lasma Facing Material에 대한 전자빔 고열부하조사 기초실험

  • Kim, Hui-Su;Lee, Seok-Gwan;Lee, Du-Hyeong;Choe, Min-Sik;On, Yeon-Gil;Pyeon, Han-Byeol;No, Seung-Jeong;Gwon, Jin-Jung;Park, Jun-Gyu;Lee, Cheol-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44-244
    • /
    • 2011
  • 핵융합장치 내부의 플라즈마 대면재료는 고온의 플라즈마와 직접 대면하므로 수 십 MW/$m^2$에 이르는 큰 열부하에 따른 재료의 물성변화, 즉 고온환경에 따른 재료의 팽윤, 크리프(creep) 변형 그리고 금속이 가역성이나 연성을 잃는 취화현상 등이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고열부하의 인가를 통한 핵융합대면재료의 물성실험은 현재 국내에서는 탄소히터, 열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외에서는 짧은 시간에 큰 열부하를 인가할 수 있는 고출력 전자빔장치가 주요한 열부하실험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실험이 가능한 고열부하용 전자빔조사장치를 제작하여 대표적인 플라즈마 대면재료인 텅스텐에 60 keV, 30 mA의 전자빔을 조사한 후 고열부하에 따른 텅스텐의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Comparison of Particle Loading Characteristics onto Ceramic Candle Filters in Filtration System at Different Gas Inflow Pattern (가스 유입 방식에 따른 집진장치 내에서의 세라믹 캔들 필터로의 입자 부하 특성 비교)

  • Park, Seok-Joo;Lim, Jeong-Hwan;Lim, Kyeong-So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5
    • /
    • pp.983-987
    • /
    • 2008
  • Computational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to design optimally the filtration system for IGCC pilot plant. It was analyzed how the different inflow pattern influences the flow field and the particle behavior in a filter vessel. The particle loading onto the filter surface lowers significantly and decreases dramatically with particle size when the dusty gas flows into the filter vessel with a shroud tube through a tangential inlet setup tangentially on the vessel outer wall. However, the particle loading is considerably high when the dusty gas enters the filter vessel through a normal inlet setup vertically on the vessel top wall, and the decrease of the particle loading with particle size is not steeper compared with the tangential inflow pattern.

No Load Speed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parameters of USM which holds Strengthened Holding Torque (홀딩 토크가 강화된 초음파 모터의 파라미터 조절에 따른 무부하 속도 특성)

  • Kim, Dong-Ok;Lee, Hwa-Chun;Song, Sung-Geun;Park, Sung-Jun;Yoo, Dong-Wook;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738-1739
    • /
    • 2007
  • 초음파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가압마찰하기 위해서 내부에 원형 판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다. 출력 토크를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내부 스프링의 강도를 크게 하면 홀딩 토크 역시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기동 시 많은 전류가 소모되며 일반적인 구동 파라미터에 따른 속도 특성 등 기존의 스프링 강도를 지닌 초음파모터(모델명 : 신생공업사(일) USR60-s1)의 특성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스프링이 강화된 새로운 타입의 초음파모터(모델명 : 신생공업사(일) USR60-s3)를 가지고 무부하 시의 속도 특성을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FPGA를 이용해서 디지털 다중 초음파 모터 제어기를 설계하였고, 2상입력 전원의 주파수, 위상차, 주파수-위상차 다중 파라미터 등을 조절하면서 무부하 속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홀딩토크가 강화된 초음파 모터의 경우 일반적인 기존 초음파 모터와 비교했을 때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이고, 위상차-주파수 다중 파라미터 조절방식이 조절방식임을 보인다.

  • PDF

Improvement Method of Output Voltage Accuracy for Industrial Inverter (산업용 인버터의 출력전압 정밀도 향상기법)

  • You, Doo-Young;Jeong, Se-Jong;Kim, Seung-Hwan;Lee, Heon-S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93-94
    • /
    • 2016
  • 산업용 인버터는 운전상황에 따라 캐리어 주파수와 부하전류가 변하게 되며, 이 때 제어기 내부 회로 소자의 Propagation 지연에 따른 Dead Time의 왜곡 그리고 출력전류크기에 따른 전략소자 내부의 전압강하 등에 의해 전압의 왜곡이 발생하여 전동기 토크진동의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황에 따라 출력전압을 보상해야 한다. 특히 전략소자의 전압강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므로 캐리어 주파수에 의한 보상뿐만 아니라 부하전류의 크기에 따른 출력전압을 보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캐리어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압보상량을 기준으로 출력전류 크기에 따른 보상방법 중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저전류 영역에서의 전력소자 진압 강하량을 개선하는 보상방법을 제시하였고, 그 유효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Design of controller for DC/DC boost converter using PI observer (PI 관측기를 이용한 DC/DC 승압 컨버터 제어기 설계)

  • Kim, In-Hyuk;Jeong, Goo-Jong;Son,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50_1651
    • /
    • 2009
  • DC/DC 승압 컨버터는 인덕터 내부 저항으로 인하여 부하 저항의 변화가 시스템 동작점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하여 제어기 설계의 기준이 되는 선형화된 모델은 불확실성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인덕터의 내부 저항과 출력단의 부하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대하여 출력 전압의 강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I 관측기 기반 적분형 상태 변수 궤환 제어기를 제안한다. PI 관측기는 불확실한 시스템 제어에 널리 사용되는 오차의 적분항을 Luenberger 관측기에 추가한 형태로써 불확실성에 강인한 추정 성능을 보인다. 모의실험을 통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안된 제어기의 강인성을 확인하고 설계된 관측기가 Luenberger 관측기에 비해 상태변수 추정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

Mode Analysis and Field Measurement for Distribution of Microwave Power in Microwave Oven In The Microwave Oven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분포 예측을 위한 측정 및 모우드 해석 방법)

  • Kim, Hyun-Jung;Lee, Young-Min;Cho, Sung-M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c
    • /
    • pp.2210-2212
    • /
    • 2000
  • 전자레인지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도파관 캐비티로 이루어진다. 캐비티는 전자파의 측면으로 볼 때 일종의 공진기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전자파가 강한 곳과 약한곳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배경에서 전자레인지의 주요 설계 기술 중의 하나는 캐비티내와 전자파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제품의 특성상 여러 가지 다양한 부하가 캐비티의 내부에 분포하게 되기 때문에 부하에 따른 캐비티 내부의 전자파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로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조건에서 캐비티내의 전자파의 분포를 분석 할 수 있는 측정 방법과 설계 인자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자파의 분포를 측정한 결과의 정확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캐비티내의 mode 해석을 이용한 modeling을 제안하였으며 측정과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캐비티내의 전자파의 분포를 전송선 이론을 이용한 분석에 의해 설계 가능하고 또한 보정 가능함을 보였다.

  • PDF

Experiment on DC Circuit Breaker for Inductive Load by Improved Magnetic Arc-extinguisher and Arc-attenuation Circuit (개선된 자기소호회로와 아크전압 억제회로를 사용한 유도성 부하의 직류차단 특성 실험)

  • Lee, Sungmin;Yu, Taesik;Kim, Hyo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7-418
    • /
    • 2012
  • 최근 들어 디지털 제품의 급증으로 인해 직류를 사용하는 부하가 증가하고, 태양광, 풍력발전 등의 직류를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원의 발달로 인하여 부하에 직류를 직접 공급 할 수 있게 되었다. 직류배전은 가전기기 내부의 전력 변환단계를 줄임으로써 교류배전에 비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직류는 교류와 다르게 고장 전류의 차단이 어렵다. 본 논문은 유도성 부하에서 효과적인 직류차단을 위한 자기소호회로와 아크전압 억제회로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Sound Intensity Measurement in Near Field of Thin Plate Using Strain Gauge Bridge (스트레인 게이지 브리지를 이용한 얇은 평판의 근접장 음향 인텐시티 측정 방법론)

  • 김용조;김양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71-76
    • /
    • 1996
  • 스트레인 게이지 브리지와 한개의 진동변위 탐촉자를 이용하여 평판의 근접장에서 음향 인텐시티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구조감쇠의 모델링을 통하여 음향방사파워에 대한 내부손실파워의 비를 나타내는 계수를 정의하여 내부손실파워의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임의의 경계조건을 가지는 평판에서 2개의 마이크로폰과 1개의 가속계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측정된 음향 인텐시티와 본고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측정한 음향 인텐시티가 거의 일치함을 보이므로써 제시된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계(system)는 일반적인 해석에서 유체부하를 무시할 수 있는 계로 평판내부의 에너지 흐름에 비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의 에너지 흐름이 매우 작기 때문에 평판내부의 에너지 흐름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의 에너지 흐름을 알아내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본고에 제시된 방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본 방법의 측정 오차에 대한 면밀한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평판의 내부손실이 비교적 큰 경우에 본 방법의 실험적으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실질적인 문제에 응용되어 얼마만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PDF

Organic Matter Sources in a Reservoir (Lake Soyang);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DOC, and External Loading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외배출유기물을 고려한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물 부하)

  • Nam, Kung-Hyun;Hwang, Gil-Son;Choi, Kwang-Soon;Kim, Chul-Goo;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4 no.3 s.95
    • /
    • pp.166-174
    • /
    • 2001
  • The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were measured in Lake Soyang,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loading into the lake and the contribution of their sources to tile lake's carbon loading. Autochthonous carbon loading was estimated from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with the extracellular organic carbon (EOC). Allochthonous loading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concentration in the main inflowing Soyang River. Both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were high during the svmmer, from July to September, and accounted for 43.2% and 71.7% of the annual loading, respectively. Primary productivity was elevated up to $1,000\;mgC\;m^{-2}\;d^{-1}$ during summer and lowest in winter. EOC production from phytoplankton was also large in summer, resulting in a high DOC concentration in the lake water.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loading from the watershed contributed to 53.6% and 46.4% of total loading, respectively. The EOC production accounted far $4.4{\sim}21.2%$ of POC primary production, implying that EOC production of phytolankton must be considered in estimation of primary production.

  • PDF

Refriferator Temperature Control Using Fuzzy Adaptive Temperature Model (퍼지적응온도모델을 이용한 냉기집중제어)

  • 김지관;이정용;이홍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93-97
    • /
    • 1997
  • 본 연구는 새로운 부하(고온의 저장물)가 냉장실 내부에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채택된 집중냉각 방식에 있어서의 회전날개의 정지각도 결정 알고리즘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내의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압축기 (Compressor) 및 냉기팬(냉기를 냉장실내에 불어넣기 위한 팬)의 운전상황을 입력으로 냉장실내 여러 영역에서의 온도를 추정하는 퍼지적응모델을 이용하여 온도불균형 영역을 검지하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서 냉장실 내부의 온도평형을 신속히 이루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