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마모제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에 미치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영향

  • 문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11a
    • /
    • pp.8-13
    • /
    • 1991
  • 엔진유는 엔진내에서 사용됨에 다라 마모방지제의 소모, 브로바이 가스의 혼입, 열화생성물과 첨가제간의 반응등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열화되기 시작하며, 아울러 마모방지성능 또한 변화되어간다. 열화생성물 중의 어떤 극성산화물이나 고분자생성물은 엔진마모의 감소에 기여하나, 일부 산성생성물은 부식마모를 일으킬 수도 있으며, 엔진내에서 발생되는 마모분중에는 어브레시브 마모를 발생시키는 것도 있다. 또한, 브로바이 생성물중에는 마찰면을 직접 부식시키는 성분도 있으며, 그외 부식성이 약한 브로바이 성분들도 첨가제와의 반응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필자는 최근의 연구에서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은 엔진에서의 열화정도에 달 현격히 변화하며, 또한 사용유의 전산가증가치와 마모량간에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본보고에서도 사용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중 마모방지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선택하여, 그 함유유인 모델열화유로 윤활하는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PDF

고체윤활용 $MoS$_{2}$ Bonded Film의 마찰마모 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 공호성;윤의성;한홍구;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b
    • /
    • pp.38-46
    • /
    • 1995
  • Bonded film을 형성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고체윤활제들로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이황화-텅스텐(WS$_{2}$), 보론-나이트라이드(BN), 흑연(Graphi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고체윤활제를 표면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지류는 페놀 및 에폭시계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아. Bonded film의 마찰마모특성은 이와 간이 피막 내에 첨가된 고체윤활제 및 수지의 종류, 고체윤활 입자들의 크기 및 순도,그리고 이들 상호간의 배합비율 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피막 내에 소량으로 첨가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조첨가제들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체윤활제 성분들의 조성과 더불어, 재료표면의 물리화학적인 전처리 조건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윤활피막내 고체윤활제들의 배합, 고체윤활피막의 표면전처리 방법들을 변화하고 이들에 따른 상기 고체윤활피막들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 PDF

Mo-DTP와 Zn-DTP를 혼합 첨가한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특성에 관한 연구

  • 김종호;강석춘;정근우;조원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0.11a
    • /
    • pp.1-15
    • /
    • 1990
  • 엔진 성능의 향상에 맞추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써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 특성등 오일의 성능을 높이려는 노력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특히 마찰력 손실을 감소기키기 위해서 낮은 마찰특성을 갖도록 몰리브데늄(Mo)을 유용성인 금속 착화합물로 만든 Mo-DTP를 제조하여 현재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Zn-DTP와 대체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고 최근엠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또 일부 윤활유 제조 회사에서는 몰리브레늄을 첨가 시키는 등 제품 기술을 향상시켜 오일 교환의 기간이나 자동차 주행 거리를 대폭적으로 늘려줄 수 있는 상품도 생산되고 있다. 윤활 첨가제로써 Mo-DTP를 Zn-DTP와 대체시켜 기유에 혼합한 경우에는 마찰 감소 기능이 매우 향상 되었고 내 마모성도 비교적 좋으나 산화 억제 능력이 부족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른 점도 지수의 증가도 비교적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음이 발표된바 있다. 따라서 Mo-DTP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연구가 필요되고 그의 한 방법으로써 현재 첨가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Zn-DTP와 혼합하여 첨가 하였을 경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때 기본 윤활유에 Mo-DTP와 Zn-DTP를 적당한 혼합 비율로 첨가하고 하중, 온도를 변화 시키면서 마찰, 마모등의 성질고 산화 안정성 및 마모 입자 분석 등 전반적인 윤활유로써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 PDF

Wear and Wear transition mechanism in $Al_2O_3$ during sliding) ($Al_2O_3$에서 미끄럼시의 미모 및 마모천이 기구)

  • 한국표준연구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11a
    • /
    • pp.67-74
    • /
    • 1988
  • 고온성질 및 내마모 성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요업재료가 아직 그 사용 영역이 크게 확장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마모문제 때문이다. 종래 엔진재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크게 기대되어 왔던 사실과는 달리 아직도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이 요업재료에서의 마모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함에 따라 최근 마모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이 실험적으로 또 이론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마모는 접촉표면 및 부표면(subsurface)에서의 탄성 및 소성변형 또 화학적 반응등이 통상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매우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아직도 그 기구는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요업재료에서 마모가 어떻게 일어나는 지를 밝히는 것은 아직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업재료에서 미끄럼시의 마모기구를 실험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비교적 제 성질이 잘알려져 있는 $Al_2O_3$를 모델계로 택하여 마모시험을 행하였으며, 미끄럼 시간에 따른 마모양상의 변화 및 접촉표면과 부표면에서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여 마모기구를 규명하였다.

  • PDF

질화규소의 고온마모에 미치는 불순물의 영향

  • 최우석;임대순;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12a
    • /
    • pp.35-38
    • /
    • 1993
  • 질화규소는 고온에서 고강도, 고경도, 내열성, 내식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 공구, 기계밀봉(mechanical seal), 자동차용 엔진부품중의 피스톤 및 실린더 링 등의 중요한 부품의 재료로 크게 부목받고 있다. 이러한 질화 규소의 고온에서의 마모, 마찰거동이 중요한 부품으로의 활용범위를 넓히고 또한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온에서의 마모, 마찰거동에 대한 연구 및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공유결합성이 강한 질화규소의 소결시에 첨가되는 첨가제나 제조공정에서 들어갈 수 있는 불순물들은 소결체의 입자모양이나 입계에 존재하는 상의 점도를 변화시켜 고온에서의 기계적성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 PDF

Solid $CO_2$ sorbents and WGS catalyst for pre-combustion $CO_2$ capture (연소전 $CO_2$ 회수를 위한 고체 흡수제 및 WGS 촉매 특성 평가)

  • Eom, Tae Hyoung;Lee, Joong Beom;Park, Keun Woo;Choi, Dong Hyuk;Baek, Jeom-In;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1.1-111.1
    • /
    • 2010
  •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의 고온 고압 합성가스로부터 $CO_2$를 저비용으로 포집하기 위한 연소전 포집 기술 중 유동층 촉진수성가스전환(SEWGS) 공정이 제안되어 연구개발 중에 있다. 연소전 $CO_2$ 포집을 위한 SEWGS 공정은 동일한 2탑 순환 유동층 반응기에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H_2$, CO)를 유동층 WGS 촉매를 사용하여 CO를 $CO_2$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환반응으로 생성된 $CO_2$를 흡수제를 이용하여 포집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CO_2$ 회수와 WGS 반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정에 적용 가능한 건식 재생 흡수제 및 유동층 WGS 촉매 개발을 목표로 $CO_2$ 흡수제(P Series) 및 WGS 촉매(PC Series) 조성을 제안하고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6~8kg/batch로 성형 제조하였다. 제조된 $CO_2$ 흡수제 및 촉매의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Attrition resistance)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이 유동층 공정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모사 석탄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20bar, $200^{\circ}C$ 흡수/$400^{\circ}C$ 재생 조건에서 열중량 분석기(TGA) 및 가압 유동층(Fluidized-bed) 반응기를 통한 흡수제의 $CO_2$ 흡수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마모도(AI) 3% 이하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CO_2$ 흡수능 17.6 wt%(TGA) 및 11wt%(가압 유동층)를 나타냈다. 유동층 WGS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가 7~35%로 우수하였고, CO 전환율은 $200^{\circ}C$에서 80% 이상으로, 유동층 SEWGS 공정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윤활유 첨가제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 마모 특성의 변화

  • 강석춘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6 no.1
    • /
    • pp.24-35
    • /
    • 1990
  • 엔진 오일 첨가제는 오일 전체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과 윤활 부품의 표면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면 작용용 첨가제들의 상호작용은 기대 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은 첨가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실험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Wear Properties of Seal Graphite at Elevated Temperature (기밀소재 Graphite의 고온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 Yang, Ho-Young;Kim, Jaehoon;Ha, Jaeseok;Kim, YeonWook;Park, Sunghan;Lee, Hwa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3
    • /
    • pp.15-20
    • /
    • 2013
  • The graphites as airtight structure seals prevent high-pressure and high-temperature gas from flowing into actuator of propulsion system and generate lubricant film during wear procedure to assist lubricant and sealing. In this study,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phite in high-temperature are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 density graphite(HK-6), variables which are temperature, sliding speed and contact load are set. this study suggest optimized environment conditions through the wear properties of graphite. Consequeantly, high temperature is better than at room temperature to generate lubricant film, so that friction coefficient of graphite is lower at high temperature than at room temperature.

Thermal Behavior and Abrasion Properties of Glass Fiber Reinforced Nylon 12 Crosslink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전자선 가교된 유리섬유 강화 나일론 12의 열적 거동 및 내마모 특성)

  • Shin, Bum-Sik;Jeun, Joon-Pyo;Kim, Hyun-Bin;Kang, Phil-Hyun
    • Polymer(Korea)
    • /
    • v.35 no.1
    • /
    • pp.30-34
    • /
    • 2011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thermal behavior and the abrasion properties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nylon 12 was investigated.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was carried out over a range of irradiation dose from 100 to 600 kGy with additive crosslinking agents such as triallyl cyanurate (TAC), triallyl isocyanurate (TAIC) an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MPTMA) for enhancing the crosslinking effects. The gel content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above 200 kGy. It was verified that the degree of crosslinking depends on the radiation dose. The decreases of the melting temperature and the area of endothermic peak were observed as increasing the absorbed dose in the results of DSC analysis. The enhanced thermal stability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s of decomposition temperature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Furthermore, the negative deviations of the abrasion loss and the abrasion coefficients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the abrasion properties of irradiated nylon 12, as evidenced by SEM observation on the abrasion surfaces. The addi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s to nylon 12 during effectively improved the thermal behavior and the abrasion properties of nylon 12 by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Study on Attrition Resistance of ZnO/natural-zeolite/Fe$_2$O$_3$ Desulfurization Sorbents with CaO for Hot Gas Clean-up (산화칼슘이 첨가된 ZnO/Natural-zeolite/Balho Kim/Fe$_2$O$_3$ 탈황제의 내마모성특성 연구)

  • 정용길;박노국;이종대;전진혁;류시옥;이태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3 no.1
    • /
    • pp.75-81
    • /
    • 2004
  • ZZFCa sorbents for hot gas desulfurization in IGCC were prepared by adding calcium oxide to ZZF sorbent in order to improve its attrition resistance in this study. ASTM attrition test for the sorbent was performed at several different weight percentages of CaO to investigate the attrition characteristics of ZBFCa sorbents as a function of CaO content. Attrition index of ZZF without CaO was 28.3% and its collected attrition index was 10.8%. ZZFCa-3 containing 3 wt% CaO showed the lowest attrition index (AI=17.3%, CAI=8.8%) in the test. From the results of SEM morphologie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ZZFCa-3 maintained a fine shape and a desirable average particle size even after attrition test. In the experiments of sulfidation/regeneration for ZZFCa-3 sorbent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n coal gas was lowered from 10000 ppm to below 1 ppm. Sulfur removing capacity was about 28.8 g S/100 g sorbent. Neither formation of CaSO$_4$ was observed in XRD measurement nor SO$_2$ slippage was observed during sulfid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