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낯선상황절차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12-18개월 영아의 애착 행동 특성 연구 (Attachment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 김은하;최해훈;이순행;방희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3
    • /
    • 2005
  • The attachment of Korean infants with their mothers was analyzed by individual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haviors. The Strange Situation was used with 35 12- 18-month-old infants. Results were similar to the findings of Ainsworth et al(l978), in that exploratory and attachment behavior systems of Korean infants changed depending on separation with their mothers. Then again we could discover the orginal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ants. Korean infa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individual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haviors from the second separation(episode 6), and the difference between attachnet type were also definite from the second separation. Also, the recovery of exploratory behavior from episode 7 with the advent of a stranger was a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 compared to Ainsworth et al(l978). This empirical evidence mandates the inclusion of episodes 6 in future studies on attachment of Korean infants.

  • PDF

자폐아동의 애착 안정성 (ATTACHMENT SECURITY IN AUTISTIC CHILDREN)

  • 김상원;신의진;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175-182
    • /
    • 1997
  • 어린 자폐아동 25명을 대상으로 낯선상황절차를 이용하여 애착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84%가 분류가능하였는데 안정애착이 44%, 불안-회피애착이 20%, 비조직화/비정향애착이 16%, 불안-저항애착이 4%로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대략 반정도가 안정적으로 애착되었다. 애착 안정성과 발달변인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생활연령, 사회성지수, 증상의 심각도에서 안정애착집단과 불안정애착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