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불임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IVF 시술 실패한 여성 불임환자 1례와 남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Case Report of Each Example of a Female and a Male Patient Who Were Infertile and Failed in In Vitro Fertilization(IVF) Treatment)

  • 조진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4-10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a female and a male patient who were infertile and failed to in vitro fertilization(IVF)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s are a 30-year-old fe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he ovulation dysfunction caused by the depression of ovarian function, and a 33-year-old 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perm defect. The female patient alone underwent Korean medicine treatment after the eighth failure in IVF treatment and the male patient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along with his wife after he failed in the first IVF treatment. The Korean medicine applied include herb-medicine administration, acupuncture, moxibustion, Jwa-Hun, and Du-Han-Jok-Yeol treatment. Results: Through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female patient had succeeded in the IVF treatment and she also recovered completely from allergic rhinitis. The male patient whose wife also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him got his wife pregnant naturally. Conclusions: This result conclude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effective in infertile patients.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re of subsequent research on infertile patients that is based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Globozoospermia를 가진 불임환자에서 미세정자주입술을 이용한 체외수정시술 후 임신과 분만 1례 보고 (Successful Clinical Pregnancy and Livebirth was Achieved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n a Globozoospermic Patient: A Case Report)

  • 김은경;김은하;김은아;권황;홍재엽;최동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1호
    • /
    • pp.83-88
    • /
    • 2010
  • 목 적: Globozoospermia는 남성불임환자의 0.1%에서 발병되는 극히 드문 정자의 형태학적 이상 증상으로 본원에서 이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방법: 2회 반복적 임신에 실패한 불임기간은 6년인 32세의 부인, 36세의 남편 부부가 본원에 내원하였으며, 정액 특수염색결과 희소정자증을 동반한 globozoospermia로 판별이 되어 미세정자주입시술을 실시하였다. 결 과: 14개의 난자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총 12개를 미세정자주입시술을 이용 수정시도를 하였고, 이 중 5개가 수정이 되어 3일 배양 후 이식하였다. 이식 결과 임신이 되었으며, 임신 39주에 건강한 남아를 출산하였다. 결 론: Globozoospermia의 경우 ICSI(미세정자주입시술)방법을 실시하더라도 수정율이 낮다. 이에 수정율 및 임신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정상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불임 부부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 (Efficacy of the Split Insemination Method Combining Conventional IVF and ICSI in Non-male Factor Infertile Couples with Normal Sperm Parameters)

  • 홍승범;박동욱;신미라;최수진;이선희;송인옥;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4호
    • /
    • pp.305-312
    • /
    • 2007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여 시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을 정상적인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터에서 정자 소견상 결함이 없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에게 분할 수정법을 이용한 505주기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획득된 난자는 무작위로 나누어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켰다. 수정란은 이식할 때까지 2$\sim$5일간 배양하였고, 잉여의 수정란과 배아는 동결보관하여 동결-융해 이식에 사용하였다. 수정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획득된 난자의 수정율은 분할 수정법을 시행하였을 때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2.9$\pm$28.0% vs 62.5$\pm$22.3%, p<0.01). 전체적인 수정의 실패는 분할 수정법을 시행한 505주기 중에서 단지 2주기에서만 (0.4%) 나타났으며, 수정 실패와 0$\sim$30% 이하의 수정률을 나타내는 빈도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1.1% and 7.5% vs 8.5% and 22.0%, p<0.01). 분할 수정주기에서의 신선 배아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후 분만율은 각각 40.0% (185/462)와 35.0% (55/157)였으며,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 자주입술로 얻어진 배아의 착상률과 분만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보조생식술에서 분할 수정법이 수정 실패와 낮은 수정율을 방지하고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한국 불임남성에 있어서 RBMY1, CDY1 그리고 VCY2 유전자의 발현 분석 (Expression analysis of RBMY1, CDY1, and VCY2 genes in Korean male infertility)

  • 허재원;김우영;김대수;하홍석;박남철;최욱환;남기만;최진;김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3-618
    • /
    • 2007
  • 무정자증에 영향을 미치는 AZFa, b, c 영역은 남성불임환자에서 잦은 미세결실이 발견됨으로써 정자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 받아왔다. 이들 영역에 있는 유전자중 RBMY1, CDY1 그리고 VCY2유전자는 고환에서 남성의 생식선 세포의 분화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42명의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조직을 RT-PCR법으로 분석해본 결과 RBMY1, CDY1 그리고 VCY2 유전자는 각각 34%, 66%, 그리고 27%의 환자에서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BMY1 과 VCY2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개체는 CDY1유전자도 역시 발현이 되지 않았다. 세르토리 세포만 가진 환자에서는 CDY1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CDY1 유전자는 한국인 집단에서 정자형성과정의 필수적인 요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IVF Outcomes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ccording to Severity)

  • 김혜옥;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4호
    • /
    • pp.219-227
    • /
    • 2006
  •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ICSI시대에서의 남성불임 (Male Infertility in the Era of ICSI)

  • 서주태
    • 대한생식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불임학회 2003년도 제45차 추계학술대회
    • /
    • pp.21-30
    • /
    • 2003
  • As a result of the technological advance provided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in 1992,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infertile male has changed significantly. Many men who were previously thought to be irreversibly infertile have the potential to initiate their own biologic pregnancy. However, not all men having impaired semen parameter are ideal candidates for ICSI for numerous reasons including a lack of addressing the underlying problem causing the male infertility, unknown genetic consequences, and cost-effectiveness issues. In this era of ICSI, the fundamental approach to the male with suspected subfertility is unchanged and is based on a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focused laboratory testing. The urologist should approach the patient with an intent to identify remediable causes of subfertility given the specific clinical situation. For instance, should a gentleman have his varicocele repaired or vasectomy reversed, or should he proceed directly with ICSI? If no factors can be improved in a timely manner, then ICSI should be considered using the available sperm. Examples of recent advances include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jaculatory duct obstruction, indications and techniques for performing testis biopsy, and technique for sperm harvesting. In addition, potential genetic causes of male subfertility should be diagnosed and discussed with the patient. Cystic fibrosis gene mutation, karyotype abnormallities, and Y-chromosome microdeletions all have recently been identified as causative for male infertility in otherwise phenotypically normal men. With recently evolved diagnostic and therapeutic techniques now available for the infertile couple, even the most severe male factor problems in patients previously considered irreversibly infertile are now potentially treatable. The physician should be aware of the avail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se new and exciting reproductive technologies because they will allow him to provide timely and more effective therapy for the infertile couple. An understanding of these advances by all physicians is important as we progress into the $21^{st}$ century

  • PDF

간이정신진단 검사에 의한 남성 불임환자의 정신과적 문제 (The Psychiatric Problem of Male infertility Patients by Symptom Check List-90 (SCL-90))

  • 서주태;김경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3호
    • /
    • pp.349-353
    • /
    • 1998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infertile women experience not only emotional disturbance but also stress. But there is no concern about male infertility patients. So phychiatric symptoms were studied with SCL-90 (Symptom Check List-90) in 30 infertile men who was operated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in Samsung Cheil Hospital and in age matched 31 fertile men from Jan. 1998 to Aug. 1998. In 5 symptom dimensions (Obc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Phobic anxiety, Psychoticisim) scores. The Infertile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revealed that infertile men also experienced substantially more psychiatric symptoms than fertile men. Considering this results, psychiatric evaluation and tender care by infertility specialist are necessary for infertile men during and after evaluation and treatment.

  • PDF

볼거리 고환염에 따른 무정자증: 2례 (Azoospermia Following Mumps Orchitis:2 Case)

  • 심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7-775
    • /
    • 2016
  • 볼거리(mumps)는 타액선을 비롯한 전신에 침범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염증 질환으로 일측성 또는 양측성 이하선의 종창과 통증을 동반한다. 볼거리 바이러스는 공기, 타액, 소변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 되고, 학교, 군대 등 인구밀도가 높은 집단에서 발생하며 양측 고환에 침범하는 경우는 10-60% 정도이다. 사춘기 이후에 남성 볼거리 고환염(mumps orchitis)에 이완되는 경우 1-2개월 후에 감염자의 50%에서 심한 고환 위축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한다. 볼거리 고환염은 정자 수, 형태, 운동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정자감소증과 드물게 무정자증으로 인한 불임이 발생한다. 볼거리 고환염이 의심되는 경우 초기 대증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장차 성인이 되었을 때 무정자증으로 인한 불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에서는 볼거리 고환염을 앓은 후 무정자증을 보인 2례를 경험하였기에 초음파검사와 정액검사에 대해 참고문헌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시행시 난자의 상태에 따른 수정률과 배아의 발생양상 (Correlation of Oocyte Quality with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i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Treatment)

  • 임천규;전진현;송상진;김정욱;강인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213-221
    • /
    • 1998
  •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은 불임치료에 도입된 이후 남성불임 극복에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수정률, 난할률과 발생된 배아의 상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난자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해서 아직까지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의 결과가 난자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44례에서 전과정을 현미경에 부착된 CCD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난자에 대하여 세포질내 함유물의 존재 여부, 위란강의 넓이, 위란강내 세포질 잔기의 존재 여부, 난자의 세포막의 탄력성을 관찰, 기록하여 ICSI시행 후 수정률과 발생된 배아의 상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수정률은 세포질내 함유물의 존재 여부, 위란강의 넓이, 위란강내 세포질 잔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난자의 세포막의 탄력성의 차이에 따른 퇴화율은 주입미세관이 들어가면서 난자의 세포막이 뚫리는 경우가 17.7%, 난자의 세포질을 흡입하여 난자의 세포막이 뚫린 경우가 1.6%로 유의한 차이 (P<0.001)를 나타내었다. 발생된 배아의 상태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원인별 난자의 상태는, 여성요인 환자와 남성요인 환자에서 세포질내 함유물을 갖는 난자의 비율은 각각 48.4%, 25.1% (P<0.001), 위란강이 넓은 난자의 비율은 각각 35.2%, 19.0% (P<0.001), 위란강내 세포질 잔기가 존재하는 난자의 비율은 각각 53.3%, 38.4% (P<0.05)로 여성요인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후 수정률과 발생된 배아의 발생률은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난자의 상태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며,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후 난자의 퇴화율은 난자 세포막의 탄력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ine 또는 autocrine조절물질로 작용하여 GH 분비 외에도 뇌하수체 전엽 세포들의 분화와 분열등에 관여함을 시사한다..3 unit의 잔존활성을 보였으나 중심온도가 9$0^{\circ}C$와 10$0^{\circ}C$일 때 잔존활성은 측정되지 않았다.>에서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비율이 높은 반면 Malaysia 거주자들은 중국음식, 만두 및 면류의 이용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국에 거주하면서 한국의 전통적인 특성을 간직하고자 하는 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하루 세끼의 식사형태에서 밥을 중심으로 하는 비율은 국내 보다 크게 낮았지만 여전히 다른 식사형태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고유의 식문화 특성을 가지면서 거주지역의 식품생산 및 사회 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거주국의 식품, 식사 형태, 조리방법을 도입하는 등 부분적으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가장 시급한 개선점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급식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학교식당은 맛, 다양한 메뉴의 식단, 위생, 가격의 저렴 등을 통해서 급식대상자들이 만족한 급식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을 통해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er (p<0.05), $T_{max}$ might be an insignificant parameter because cyclosporin A generally requires long-term administration. From these results, the two products are bioequivalent.alent.t.>, C-a. and T-between the two products (7.18%, 9.58% and 7.53%, respectively) were less than 20%. The power (1-7) and

  • PDF

비폐쇄성 남성불임증환자의 고환용적과 고환기능 (A Correlation of Testicular Size with Testicular Function in Non-Obstructive Infertile Male)

  • 명순철;김인규;김세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07-111
    • /
    • 1991
  • The testicular volume measured by a Prader orchidometer was compared with sperm count in semen, the levels of serum FSH, LH, testosterone, prolactin, 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59 nonobstructive infertile men. 1. The causes of infertility were primary hypogonadisms in 50 patients (35 unknown, 9 Klinefelter syndromes, 6 varicocels) and secondary hypogonadism in 9 (5 isolated FSH deficiencies, 1 hyperprolactinerriia, 3 pituitary hypogonadisms). 2. Decreased levels of serum FSH (less than 4 mIU/ml) did not correlate with testis volume but increased level of serum FSH (more than 20 mIU/ml) were mostly noted in the testis less than 10ml. 3. Decreased level of serum testosterone (less than 3 ng/ml) were distinguishably noted in the atrophied testis less than 5 ml.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esticular volume and the levels of serum prolactin, estradiol, and progesterone. Coclusively, testicular volume less than 11 ml suggests poor spermatogenesis, but normal testicular volume dose not nessarily rule out poor spermatogenesis. Function of Leydig cell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in atrophied testis of 5 to 10 ml comparing with that of seminiferous tubu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