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강댐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visiting design flood estimation of Nam River Dam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 재산정)

  • Lee, Hyunseung;Lee, Taesam;Park, Taewoong;Son, Chan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8
    • /
    • pp.719-729
    • /
    • 2016
  • Extreme events of rainfall has increased mainly from climate change, resulting in more severe floods intensified by land use development. Appropriate estimation of design floods gets more attention to ensuring the safety of life and property in flood-prone areas for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and levees. In the current study, we reestimated the design flood of the Nam River Dam to adopt the influence of climatic change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including recent datasets of extreme rainfall events.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of extreme rainfall events in hourly scale that has been downscaled was used in analyzing the annual maximum rainfall for the weather stations in the Nam River Dam basin. The estimates of 200-year and 10,000-year return periods were calculated to provide a design flood and a probable maximum flood case for the Nam River Dam.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new estimate employing the RCP4.5 and RCP8.5 downscaled data is much higher than the original design flood estimated at the dam construction stage using a 200-year return period. We can conclude that the current dam area might be highly vulnerable and need an enhancement of the dam safety regarding the reduction of damage in Sachen bay from the outflow of Nam River Da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남강댐 하류지역의 조류발생 특성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6-126
    • /
    • 2016
  • 남강은 낙동강 주요 지류인 동시에 낙동강 하류지역의 유지용수, 생활, 공업, 농업용수 공급 등에 중요 역할을 하고 있어 오염원 및 수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남강댐 하류 및 남강합류 후 낙동강 본류인 창녕함안보 지점에서의 녹조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녹조현상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호소의 녹조관리는 '조류경보제'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지만 4대강 16개의 보 건설 이후 '수질예보제'와 같이 녹조관리를 위한 제도 및 정책이 시행되면서 조류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여 조류의 영향인자를 파악하였으며, 남강유역의 물관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구축된 데이터 기반의 각 항목별 주요항목 영향인자 분석을 위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인자별 상관관계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입력변수로 이용하였다. 그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조류 발생특성을 고려하여 예측 모형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구현하였다. 회귀분석 과정에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는 변수에 대해서는 모형에서 제거하였으며, 잔차분석을 통해 이상치와 영향치를 검토하여 고려하였다.

  • PDF

Ensemble Generation of Rainfall Based on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Radar Rainfall (레이더 강우 오차특성 기반의 강우 앙상블 생성)

  • Kang, Na Rae;Joo, Hong Jun;Lee, My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
    • /
    • 2017
  • 수문분석이 있어 정확한 강우량 추정 및 강우 자료의 품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유출분석의 기본 입력 자료인 만큼 홍수유출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 하나의 확정적인 값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강우 자료는 추정과정에서 많은 오차 및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강우 자료의 불확실성은 기상현상의 예측능력 한계로 인한 것으로 관측지점에서의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강우시나리오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값을 추정하는데 있어 하나의 값이 아닌 가능한 값들의 범위를 정의하거나 확률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확률론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2012년 남강댐 유역에 발생한 태풍 '산바', '볼라벤'을 대상으로 자료간 오차 공분산을 고려하 2012년 남강댐 유역에 발생한 태풍 '산바', '볼라벤'을 대상으로 자료간 오차 공분산을 고려하여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였으며, 레이더 강우에 내포된 불확실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생성된 강우 앙상블은 레이더 강우의 전체적인 편의보정뿐만 아니라 지상강우의 패턴을 잘 모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이더에 의해 추정한 강우의 불확실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우 앙상블 생성 방법은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홍수예경보와 같은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in the Low Water Flow in the Nakdong River Dam Basin (낙동강 댐유역의 갈수유량 비교연구)

  • Lee, Hyo Jin;Ahn, Seung Seop;Park, Ki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7-33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도시의 주요 용수공급원인 댐유역의 연강수량과 연유입량자료를 수집 후 "NDIC-FAT" 가뭄빈도해석 프로그램(한국수자원공사 국가가뭄정보분석센터(NDIC), 2020)을 활용한 가뭄빈도분석을 시행하여 과거 동일기간과 비교하여 현재의 강수량 또는 유입량의 재현기간 및 크기를 산정하고, 수집된 연구대상 유역의 연강수량과 연유입량자료에 대한 상관식을 개발하여 가뭄빈도에 따른 연유입량 값을 가뭄빈도해석프로그램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관식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가뭄빈도분석 결과 강수량에 따른 확률분포형은 6개의 유역중 2개소(남강댐, 합천댐)에서 AIC값에서 Normal 분포형이 가장 낮았고 나머지 4개소(안동댐, 영천댐, 운문댐, 임하댐) 유역은 AIC값에서 Gumbel 분포형이 가장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유입량에 따른 확률분포형 검정은 남강댐, 안동댐, 영천댐, 운문댐, 임하댐, 합천댐 유역 6개소 모두 AIC값에서 2변수 Log-Normal 분포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대상 유역의 연강수량과 연유입량자료를 이용하여 연유입량에 대한 상관식을 개발하여 비교한 결과 영천댐유역을 제외한 5개 유역의 일치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Model Trajectory Simulation for the Behavior of the Namgang Dam Water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남해 강진만에서 남강댐 방류수의 거동 특성 및 체류시간 추정)

  • Jung, Kwang-Young;Ro, Young-Jae;Kim, Baek-Jin;Park, Kwang-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2
    • /
    • pp.97-108
    • /
    • 2012
  •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coupled with the ECOM3D were used to study on the behavior of fresh water released from the Namgang Dam in terms of residence time in Kangjin Bay, South Sea, Korea. Model was calibrated until skill cores for elevation, velocity, temperature and salinity are satisfied over 85%. In the numerical simulation, particles were released in 1 hour time interval from the northern boundary. The different patterns of particle trajectory are identified under the varying dynamics from tidal to density-driven current.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total particles are approximately 65.9 hours in the entire Kangjin Bay. The average residence time were increased from 55~65 to 70~80 hours during maximum discharge period. Discharge rate of fresh water and average residence time in the Kangjin Bay is high correlated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ver 0.81.

Calculation on Pure Sediment Volume at Namgang Dam Basin by Echo-sounder based on NTRIP Service (NTRIP 기반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남강댐 유역의 순퇴적량 산정)

  • Lee, Suk-Bae;Kim, Ki-Heung;Park,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4
    • /
    • pp.251-257
    • /
    • 2013
  • Bathymetry sounding or water depth measurement is becoming more and more sophisticated with the increasing demand in accuracy, resolution and coverage in the recent years. Single beam echo sounding is still utilized to gather single line bathymetric profile in many surveys as ever, al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ulti-beam echo sounding. Single beam echo sounder system acquires single line profiles of water depth as the vessel travel along the survey line. In this study, we performed single beam echo sounding with GNSS receiver for hydrographic survey at Namgang dam basin to calculate pure sediment. Unlike traditional research, we used not field reference station but NTRIP service of the reference station of DGNSS(Differenti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entral Office in this GNSS survey. The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scouring volume is $603,650m^3$, sediment volume is $3,913,750m^3$ and so pure sediment volume is $3,310,100m^3$ at Namgang dam basin. And the availability of the NTRIP service of the DGNSS Central Office for echo sounding in land area has been confirmed in this study.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l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of Salix spp. on the Environment of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수변구역 버드나무류 군락의 식생분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Park, Jae-Hyeon;Kim, Ki Heung;Lee, Seok 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2
    • /
    • pp.161-169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chemical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alix spp. communities ba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by tree age and height of the tree species in around Namgang Dam reservoir area. Tree density in 4 survey areas was 5,284 trees/ha, but all areas need to control high tree density. Tree crown area in 4 survey areas was 9,786.4 $m^2/ha$ and crown area of Salix spp. was the most dominant among tree species in watershed of the Jinyang lake. Mean soil depth in 4 survey areas was 65.5 cm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78 cm) than in forest soil (12.5 cm) near the watershed. Soil bulk density was also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than in forest soil because of poor porosity in the sandy sediment. Soil pH was higher in sedimental deposit soil (A, B horizon:pH 6.7) than in forest soil (A horizon:pH 5.3; B horizon:pH 5.2) because of originated from non-point source polution and detergent of domestic sewage. The results suggest that growth of Salix spp. could be poor because of low fertility with low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edimental deposit soil.

Evaluation of GPM satellite and S-band radar rain data for flood simulation using conditional merging method and KIMSTORM2 distributed model (조건부합성 기법과 KIMSTORM2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GPM 위성 강우자료 및 Radar 강우자료의 홍수모의 평가)

  • Kim, Se Hoon;Jung, Chung Gil;Jang, Won Jin;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
    • /
    • pp.21-33
    • /
    • 2019
  • This study performed to simulate the watershed storm runoff using data of S-band dual-polarization radar rain, GPM (Global Precipitation Mission) satellite rain, and observed rainfall at 21 ground stations operated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espectively. For the 3 water level gauge stations (Sancheong, Changchon, and Namgang) of NamgangDam watershed ($2,293km^2$), the KIMSTORM2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 was applied and calibrated with parameters of initial soil moisture contents, Manning's roughness of overland and stream to the event of typhoon CHABA (82 mm in watershed aveprage) in $5^{th}$ October 2016. The radar and GPM data was corrected with CM (Conditional Merging) method such as CM-corrected Radar and CM-corrected GPM. The CM has been used for accurate rainfall estimation in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ical field and the method combined measured ground rainfall and spatial data such as radar and satellite images by the kriging interpolation technique. For the CM-corrected Radar and CM-corrected GPM data application,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was 0.96 respectively.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was 0.96 and the Volume Conservation Index (VCI) was 1.03 respectively. The CM-corrected data of Radar and GPM showed good results for the CHABA peak runoff and runoff volume simulation and improved all of $R^2$, NSE, and VCI comparing with the original data application. Thus, we need to use and apply the radar and satellite data to monitor the flood within the watershed.

A Development of Auto-Calibration for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 in Distributed Runoff Model (분포형 유출모형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 기법 개발)

  • Park, Jin-Hyeog;Cha, Kee-Uk;Ryoo, Kyong-Sik;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71-9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GIS와 연계한 격자기반의 공간수문자료들을 모형의 입력매개변수로 활용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의해 유출량을 물리적으로 추적해 나가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Kwater Distributed RUnoff Model)을 개발하였고, 지표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실제 관측 및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에 대한 자동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동보정기법을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강우사상은 남강댐 유역에 큰 영향을 준 태풍 루사 (2002년 8월 31일 01시$^{\sim}$9월1일 23시), 태풍 매미 (2003년 9월 12일 01시$^{\sim}$9월13일 23시), 2004년의 대류성강우 (2004년 7월14일 01시$^{\sim}$7월 16일 10시) 및 태풍 에위니아 (2006년 7월 8일 18시$^{\sim}$7월11일 12시)의 총 4개의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한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에 의한 유출모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의에 사용된 매개변수 중 토지피복도에 의해 결정되는 조도계수와 토양도에 의해 결정되는 유효토심, 흡인수두계수,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4개의 강우사상에서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였고, 유역내 토양 내부 수분함유량 산정을 위한 초기 기저유출량은 검토대상 기간 시점부에서 관측된 유출량으로 설정하였다.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 적용을 통한 유출해석의 정확도는 체적오차 백분율(VER)과 첨두 유량 오차 백분율(QER)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모형이 유출량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보정 기법을 적용한 결과, 초기토양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행착오법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유역내 토양 특성과 지형형상을 고려하지 않는 설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유출계산 결과도 유량의 크기와 첨두시간 모두 관측값과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due to Fresh Water Discharge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서 담수 유입으로 인한 밀도성층 변화)

  • Kang, Young-Seung;Chae, Yeong-Ki;Lee, Hyung-R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126-137
    • /
    • 2011
  • This study simulate three-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patterns using the EFDC model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considering tid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numerical model results were verified using observed data. The model results well reproduced the observed data. As a result, ocean circulation patterns in the study area show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the middle area of Noryang waterway and Daebang waterway, the residual flow patterns show typical two-layer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the effect of fresh water is dominant in study area. In the case of Jinju Bay, although it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Namgang fresh water, also it is affected by Seomjin River when there is no discharge by Namgang Dam. On the other hand, the stratification of the Kwangyang Bay is relatively enhanced by the discharge of Namgang 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