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의 혹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예측과 예방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 김혜옥;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293-305
    • /
    • 2010
  • 난소과자극증후군은 발생 시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의인성 합병증으로, 불임 치료를 목적으로 성선자극호르몬을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과배란 유도를 하기에 앞서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를 파악하여 저용량의 성선자극호르몬을 사용하거나, GnRH antagonist protocol을 이용함으로써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과배란 유도 중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의 발생이 예측될 때는 성선자극호르몬 투여 시 coasting을 하고 난포 성숙을 유도할 때 저용량의 hCG 혹은 GnRH agonist를 이용하고, 중증의 OHSS가 예측될 때에는 주기취소로 OHSS의 유병기간을 줄이거나 배아동결 등을 통해 후발성 난소과자극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metformin과 dopamine agonist를 난소과자극증후군을 예방을 위해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난소를 제거한 생쥐 자궁조직에서 ADAM-8, -9, -10, -12, -15, -17, -TS1의 발현

  • 김지영;배인희;이승재;최영민;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59-59
    • /
    • 2003
  • ADAM은 metalloprotease/disintegrin domain을 가진 transmembrane glycoprotein으로서 지금까지 30종류 이상의 ADAM 및 10종류 이상의 ADAM-TS 단백질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능은 포유동물의 수정 시 sperm-egg binding과 fusion, myoblast fusion, integrin과의 결합 등에 직접 관여하거나, TNF-alpha 등의 생체신호전달물질이 세포로부터 분비될 때에 이들의 구조를 변화시켜 활성화시키는 효소로서의 작용, 그리고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하여 자궁조직의 ADAM-8, -9, -10, -12, -15, -17 그리고 -TS1의 gene의 발현이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조절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생후 6 - 8주 된 암컷 생쥐의 난소를 제거하고, 2 주 후에 $17 \beta $-estradiol ($E_2$), progesterone ($P_4$) 혹은 이 둘 혼합액 ($E_2 + P_4$)을 sesame oil에 녹여 근육주사하였다. 2, 6, 12 시간 후 각각 자궁 조직을 얻고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로부터 total RNA을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T-PCR)을 실시하였다. Densitometry를 이용, rpL7에 대한 ADAMS의 mRNA 발현 양을 상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DAM-8과 -15는 6시간째에서, ADAM-10과 -TS1은 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4$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ADAM-12는 2시간째에서 ADAM-17은 1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ADAM-8, -10, -15 그리고 TS1은 progesterone에 의하여, ADAM-12와 17은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유전자의 발현이 upregulation 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태아기 사람 난포의 형성과 분화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Fetal Ovarian Follicles)

  • 도병록;이창주;송강원;윤현수;노성일;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137-145
    • /
    • 2000
  • 포유류 원시난포의 분화에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gonadotropins 외에도 다양한 성장인자들 뿐 아니라 스테로이드호르몬 등이 관여하며, 난황낭에서 기원된 생식세포들과 중신에서부터 유입되는 기질세포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사람의 경우 태아기에 분화가 시작된 원시난포들은 성장을 개시한 후 배란이 되거나 혹은 폐쇄되어 난소에서 제거되는데, 일부 원시난포는 성장이 개시되기까지 50년 이상 원시난포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원시난포의 분화 및 성장정지, 성장개시의 기전에 관하여는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태아 및 신생아의 난소에서 gonadotrorin의 수용체, 성장인자와 성장인자 수용체, 그리고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람 원시난포의 형성, 성장정지를 조절하는 기전 그리고 원시난포의 성장개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 PDF

Hamster 의 노포난자의 배양에 의한 성렬 (Maturationof Hamster's Follicular Ova in Culture)

  • 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67
  • 본 실험은 4 일간의 성주기가 뚜렷한 성체인 golden hamster로부터 미성숙인 난자를 적출하여 화학적배양액내에서 그의 성숙을 유도시키고 성주기에 따른 미성숙 난자의 성렬율을 관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행하여졌다. 한 개의 난소로부터 5-6개의 미성숙 난자를 적출하여 5% bovine serum albumin이 섞인 TC Medium 199에 넣어서$CO_2$-incubator를 이용하여 6 시간내지 24시간 동안 37$^{\circ}C$를 유지해가며, 배양액이 직접 공기와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동성인 paraffin oil로 배양액을 덮고서 배양을 완수했다. 실험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완수했다. 1. Hamster의 난자의 성숙분렬을 유발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배양액은 BMOC, Eagle's Medium , Waymouth's Medium 그리고 TC Medium 199의 네가지 가운데 TC Medium199이었다. 즉 이 배양액을 이용했을 때 난자가 높은 성렬도를 보여주었다. 2. 5% bovine serum alumn을 TC Medium 199에 섞어주었을 때 미성숙 난자가 성순분렬을 유기하는 율이 가장 높았다. 3. 발정기에 있는 난소로부터 얻은 난자가 가장 현저하게 높은 율로 성숙분렬을 보여주었다. 반대로 발정후기의 난자는 배양 시작 후 단시간 내에 대부분이 퇴화하였으며 발정기에 가까워 갈수록 퇴화율이 줄어들었다. 이것은 노포가 성숙분렬을 억제하는 물질을 생성하리라고 여겨지고 있긴 \ulcorner만, 동시에 이 노포는 또 한편 난자의 배란뒤에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할수 있는 능력을 발정기에 이르기까지의 기간동안 난자에게 부여하며, 난자는 이 능력을 배란전까지 축적하게 되며 이 때문에 노포로부터 유리되어 나온 난자가 장기간 그 생명력을 유지해나가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4. Paraffin oil 로 공기를 차단하여서 배양한 난자나 혹은 watch glass를 이용하여 공기와 접촉시킨 난자에서나 모든 비슷한 율로 성숙분렬을 보여주었다. 이로 보아 조작이 까다로운 paraffin oil을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손쉽게 배양할 수 있는 watch glass 의 방법이 오히려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채취 방법에 따른 소 난포란의 회수율 및 수정란의 발달율 (Rates of Recovery and of Development In vitro of Follicular Oocytes Collected by Aspiration and Slicing Method in Cattle)

  • 조상래;강태영;박종식;허창기;송상현;이효종;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6
    • /
    • 2001
  • 본 연구에서 도축된 한우 난소를 aspiration법과 면도날 장착으로 제작된 기구를 이용해서 slicing 법으로 난포란을 회수하여 그에 따른 난포란의 회수율과, 난포란을 체외에서 22시간 성숙시킨 후 난포란의 핵 성숙을 및 체외수정 후 수정율과 발달율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포란의 회수율에 있어서 각 난소당 회수는 aspiration법이 6.7개. slicing법이 15.1개의 결과를 나타내어 난소에 대한 난포란의 회수율은 slicing법이 유의적 (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 Aspiration법과 slicing법으로 채란된 난자를 체외에서 22시간 성숙시킨 후, 제 2감수분열 중기까지의 핵 성숙율은 각각 83%와 62%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으나, 난소 한 개당 제 2감수분열 중기까지 성숙된 난포란수는 aspiration과 slicing법이 각자 5.6개와 9.4개로 slicing법에 의해서 유의적 (P<0.05)으로 많았다. 3. Aspiration법과 slicing법으로 채란된 난포란의 발달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분할율과 배반포기까지의 발달율에서 aspiration법이 유의적 (P<0.07)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와 상반되게 난소 한 개당 생산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수는 slicing법에 있어서 2.8개로 aspiration법의 2.1개보다 유의적인 (P<0.05)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많은 난자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과 혹은 이식 가능한 다수의 수정란 생산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고안 제작된 기구를 이용하여 slicing법으로 난포란을 채란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난포성숙호르몬이 감마선 조사된 미성숙 생쥐 난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on ${\gamma}$-Ray Irradiated Immature Mouse Ovarian Follicles)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89-96
    • /
    • 1998
  • 뇌하수체 분비호르몬인 FSH의 방사선방어 효능을 조사하고자 생후 3주된 미성숙 생쥐에 $\gamma$ 선을 전신조사하거나(R), 전신조사 후 FSH 5 IU를 복강주사(RF)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식염수를 복강주사하거나(C) 혹은 FSH를 복강주사(F)하였다. 0시간, 6시간, 12시간 1일, 2일, 4일, 그리고 8일 후에 각 군별로 5마리씩 경추파열로 도살한 후 난소를 채취하였다. 난소는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상적인 표본조직을 만들었다. HE 염색을 기본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비교하였으며 전체 DNA를 추출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방사선 조사군인 R군과 RF군에 있어서 6시간에서 12시간에 apoptosis를 반영하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8일 경과시 분열세포의 존재비를 반영하는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185bp의 DNA ladder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70bp의 DNA는 R군의 경우 6시간에 나타났으며 1일 이후 감소하였다. RF군의 경우 12시간에 나타나 1일 이후 감소하였다. F군에서는 370bp가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강소형성 난포가 피폭되는 경우 4일 이후 8일에 이르러 난소내에서 완전히 소멸되고, 8일에 새로운 원시난포가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SH는 방사선에 피폭된 난포의 퇴화를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방사선방어 효과가 있었으며,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퇴화는 과립세포의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쥐의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 유전자의 포유류 Homolog 및 Flanking Sequence에 대한 연구 (Studies on Mammalian Homolog and Flanking Sequence of Mouse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

  • 김영훈;고민수;우대균;최돈찬;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2호
    • /
    • pp.119-126
    • /
    • 2003
  • 본 연구실에서는 이전의 실험에서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을 통하여 생쥐의 생후 1일자 난소와 5일자 난소에서 차이 나게 발현하는 유전자들의 목록을 얻었고 그 중에서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이 성장하는 난포에서 더 높게 발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Park et al., 2002). In situ hybridization과 RNA interference를 이용한 연구결과, MTi7은 난자에서 특이 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로 특히 난자성숙에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ark et at., 2003). 그러나 현재까지 MTi7의 염기서열은 생쥐에서만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첫째, MTi7이 다른 포유류에도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돼지, 흰쥐 그리고 사람 등 각기 다른 네 종의 난소 cDNA를 사용하여 새로운 MTi7을 분리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생쥐의 MTi7이 transposon의 특징을 갖고 있어 다른 유전자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inverse PCR을 시행하여 MTi7주변의 유전자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네 종의 난소 cDNA를 사용하여 생쥐의 MTi7과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을 갖고 있음을 알았다(87%∼98%). Inverse PCR 결과, 생쥐의 MTi7은 beta-carotene 15, 15'-monooxygenase(Bcdo) 유전자 혹은 serine protease inhibitor, Kunitz type I(Spint 1) 유전자에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여러 포유류의 MTi7 sequence를 알아내고, 또한 생쥐의 MTi7이 삽입되어 있는 유전자를 알아냄으로써 머지 않은 장래에 난자형성 및 난포형성과정에 있어서 MTi7의 역할을 밝혀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뇌하수체 호르몬과 포르볼에스터에 의한 참개구리 난자의 배란과 프로스타글라딘 합성유도 (Induction of Oocyte Ovulation and Prostaglandin Synthesis by Gonadotropin and Phorbol Ester in vitro in Amphibian (Rana n igromacu la ta) Ovarian Follicles)

  • 장경자;나철호;소재목;이원교;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6-272
    • /
    • 1996
  • 봄에 채집한 참개구리의 난소조각 배양계를 사용하여 난자의 배란과정에 프로스타글란딘과 protein kinase C(PKC)가 관여하는 지를 조사하였다. 난소조각을 배양하면서 뇌하수체추출물(FPH) 혹은PKC의 활성제인 12-O-tetradecanoyl phorbol-13-acetate (TPA)를 처리한 후 배란율과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상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조사한 결과 농도에 의존하여 난자의 배란이 유도 되었으며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이 촉진되었다. FPH와 TPA에 의한 배란과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은, 4월 보다는 5월에 채집한 개구리에서 훨씬 더 효과적이었다. FPH처리는 프로스타글란딘과 함께 progestreone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나 TPA는 progestreone의 생성을 촉진하지는 못하였다. FPH와 TPA에 의한 배란과ㅣ 프로스타글라딘 생성 억제제인 indomethacin에 의해서는 난자의 배랑니 억제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참개구리 난자의 배란 과정에 PKC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프로스타글라딘의 생성이 매개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DNA Microarray와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을 이용한 생쥐 자궁에서 Estrogen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발현에 관한 분석 (Global Analysis of Estrogen-Regulated Genes in Mouse Uterus using cDNA Microarray and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 홍석호;나희영;이지윤;김정훈;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2호
    • /
    • pp.151-163
    • /
    • 2003
  • 연구목적: Estrogen은 포유류의 생리주기와 착상과정에서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절제된 생쥐의 자궁에서 estrogen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되어 발현하는 유전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생후 8주된 생쥐의 양쪽 난소를 절제하고 14일 동안 회복기간이 지난 후, estrogen (300 ng/mouse)을 피하로 주사하였다. Estrogen 주사 후 6, 12시간째 자궁을 적출하여 cDNA microarray와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LCM) 기술을 이용하여 estrogen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의 시공간적인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Estrogen 주사 후 6시간째에는 조사된 전체 유전자 가운데 0.9% (증가 22, 감소 49), 12시간째에는 8.4% (증가 351, 감소 287)에 해당되는 유전자가 두 배 이상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일부 증감된 유전자를 선택한 후 LCM 기술을 이용하여 시공간적인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자궁내막상피세포에서만 estrogen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일부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1) estrogen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의 수나 증감의 정도는 12시간 이후에 더 많고, 크게 조절되며, 2) 유전자의 조절부위가 자궁의 특이적인 세포층에서 시공간적으로 조절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전자의 정보는 생리주기 또는 착상과정의 분자생물학적 기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청국장이 난소적출 마우스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Paste Chungkukjang on the Immunoreactivity in Ovariectomized Mice)

  • 박현진;윤이나;김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30-193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식품으로부터 면역증진능을 갖는 식품 소재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골대사 약화 상태의 마우스에게 청국장 배합 사료를 투여했을 때 카제인 배합사료에 비하여 가질 수 있는 세포 매개성 면역능의 증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제 1단계로서 난소적출군은 저칼슘 식이, Sham군은 AIN-76 식이를 6주간 공급한 후, 각 군을 청국장 배합 사료군 혹은 카제인 배합사료군으로 나누어 8주간 제 2단계의 식이를 공급하였다. 면역 지표로는 비장세포 증식능, 혈중 T 림프구 아형수와 혈중 사이토카인(IL-2, IL-4, IL-6, IL-10, IFN-${\gamma}$, TNF-${\alpha}$)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난소적출군에서 청국장배합 사료군의 비장 세포 증식능이 카제인 배합 사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중 T 림프구 아형 비율인 CD4/CD8의 비율도 청국장 배합 사료군에서 더 높았다. 혈중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난소적출군에서 청국장 배합 사료 투여군의 IL-6와 TNF-${\alpha}$ 분비량이 카제인 배합 사료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난소적출 마우스의 면역능에 청국장 배합 사료가 미치는 영향으로 카제인 배합사료에 비하여 비장 세포 증식능 활성화, 골 대사와 연관있는 대표적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 분비 억제 및 조절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청국장 배합 사료는 난소적출 마우스 면역계의 조절 기전에 작용하여 면역세포 활성을 촉진시키고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초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청국장의 면역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을 위한 연구의 뒷받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