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암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갑상선암 및 난소암 병력을 가진 좌측 경부 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Patient with Left Neck Mass and a History of Thyroid and Ovarian Cancer in Head and Neck)

  • 정용준;오경호;권순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3-77
    • /
    • 2020
  • Ovarian cancer is common malignant disease with high mortality in the female. However, lymph node metastasis in the head and neck of ovarian cancer is very rare than in para-aortic, pelvic lymph node. A 49-year-old female patient came to our clinic with a left neck mass.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left selective neck dissection for the cervical neck level II, III, IV, V, VI for ovarian cancer and thyroid cancer, she had already undergone chemotherapy (Paclitaxel+Carboplatin) 18 month ago. CT scan showed only lymph node enlargement in left neck level II.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revealed a hypermetabolic lesion in same area but no other hypermetabolic lesion, especially in the pelvic and abdominal cavit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revealed metastatic carcinoma. The serum level of CA-125 was elevated to 43.8U/mL, whereas other tumor markers (CA 19-9, CEA) were in the normal range. She underwent a revision of selective neck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cervical neck levels I, II, and III, and on the review of surgical pathology, metastatic carcinoma was suspected. Thus,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e tissue; as a result, it was finally diagnosed as metastatic ovarian cancer (positive for CK7, ER and PR, and negative for CK20). Adjuvant chemotherapy (Paclitaxel+Carboplatin) was planned on the tumor board, and the patient successfully received chemotherapy.

제주 남부 연안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 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 이승종;고유봉;이영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2-70
    • /
    • 2000
  • 1997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2년간 제주도 남부 해역인 하예동 연안에서 매월 채집한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의 생식주기를 조직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암 수컷의 월별 GSI 변화는 월별 수온과 광주기 변화양상과 거의 유사하게 변화하였고 암 수컷 모두 GSI값이 6월에 년 중 최고값을 보였다. 생식주기는 암컷인 경우 성장기 2~5월, 성숙기 5~6월, 산란기 6~8월, 퇴화 및 휴지기 9~12월로 구분되고, 수컷인 경우 성장기 2~4월, 성숙기 5~6월, 방정기 6~8월, 퇴화 및 휴지기 9~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숙시기에 쥐치의 난소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난소내에는 여러 발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분포하여 비동시발달형에 속하는 어종으로 판단되며 산란기동안 적어도 2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산란어에 속하는 어종으로 사려된다.

  • PDF

새로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3부: 비뇨생식기 초음파 및 MRI 급여 확대 (A New Healthcare Policy in Korea Part 3: Ultrasound and MRI in Urogenital Disorders)

  • 심영섭;박계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083-1095
    • /
    • 2020
  • 2019년 비뇨생식기 초음파와 MRI의 보험급여 범위가 확대되어 보다 많은 환자들이 급여로 영상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비뇨기계 초음파와 MRI는 암 환자 등 중증질환 환자에서 는 기존에도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나 이번 급여 범위 확대로 초음파의 경우 대부분의 질환, MRI의 경우에도 조직검사 전 전립선암이나 난소암 의증, 자궁근종절제술 시행 전 자궁 MRI, 각종 선천 기형 등 양성질환에서도 급여로 검사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급여화로 인해 각 검사 별 적응증과 추적검사 가능 질환 및 횟수 등이 복잡해지고 획득하여야 할 표준영상과 언급하여야 하는 판독소견서의 양식이 정해져 있어 검사를 처방하고 시행하는 의사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생겼다. 건강보험 적용 기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한 진료는 환자들의 진료 결과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이브리드 균형 표본 유전 알고리즘과 극한 기계학습에 기반한 암 아류형 분류기 (Cancer subtype's classifier based on Hybrid Samples Balanced Genetic Algorithm and Extreme Learning Machine)

  • ;;최용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65-57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극한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균형 표본 유전자 알고리즘(hSBGA-ELM)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암 아류형 분류자를 제안하였다. 제안 된 암 아류형 분류자는 정확한 암 아류형 분류기 설계를 위해 공개 전체암지도 (Global Cancer Map)로부터 15063개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14가지(유방암, 전립선 암, 폐암, 대장 암, 림프종, 방광, 흑색 종, 자궁, 백혈병, 신장, 췌장, 난소, 중피종 및 CNS)의 암 아류형을 효율적으로 분류합니다. 제안 된 hSBGA-ELM은 유전자 선택 절차 및 암 아류형 분류를 하나의 프레임 워크로 단일화 한다. 제안 된 하이브리드 균형 표본 유전 알고리즘은 GCM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16,063 개의 유전자로부터 암 아류형 분류를 담당하는 축소된 강인 유전자 셋을 찾는다. 선택/축소된 유전자 세트는 익스트림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암 아류형 분류기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크기가 축소된 강인 유전자 집합이 제안하는 암 아류형 분류기의 안정된 일반화 성능을 보장하게 한다. 제안 된 hSBGA-ELM은 암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95개의 유전자를 발견하였으며 기존의 암 아류형 분류기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 된 방법의 효율을 보여준다.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치료벡터의 생식독성 연구 (Potential Reproductive Toxicity Study of p53 Expressing Adenoviral Vector in Mice)

  • 이규식;곽승준;김순선;이이다;석지현;채수영;정수연;김승희;이승훈;박귀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51-158
    • /
    • 2007
  • 유전자치료W터의 주입시 생식세포를 통한 다음 세대로의 전달 가능성은 안전성 측면에서 관심을 중대시키고 있다. 특히 전립선암이나 난소암의 치료시 바이러스를 생식기관에 인접한 부위에 주입하여야 하므로 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치료에 많이 이용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하여 tumor suppressor 유전자인 p53을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여 이를 투여시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장기조직에의 분포와 germ cell을 통한 차세대로의 전달 가능성 등의 생식독성을 조사하였다. In vivo biodistribution study를 위하여 $Ad-CMV-{\beta}-gal$흑은 Ad-CMV-p53를 마우스 암 수의 복강에 주사한 후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 장기에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 DNA검출 및 RNA발현 여부를PCR과 RT-PCR로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간 및 비장과 같은 일반 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의 DNA가 검출되거나RNA가 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낭, 전립선, 부고환, 난소 및 자궁 등의 생식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가 검출되거나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각 장기에서의 투여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정량하였다. Ad-CMV-p53를 암 수 마우스의 난소와 고환에 각각 직접 주사하여 교배시킨 후 그 후세대의 DNA를 분리하여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를 검색한 결과, 어떠한 차세대에서도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생식장기에서의 PCR및 RT-PCR signal유래 vector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매우 감도가 높은 in-situ PCR로 조사한 결과 고환의 경우 간질조직으로의 전달은 일어나나 정세관 내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전달되지 않으며, 난소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벡터는 난포내의 난자에 전달되지 않고 기질조직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복제 능력 이 결여된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 한 유전자치료제는 생식 장기에서 검출되더라도 다음 세대로 전달될 가능성은 대단히 낮음을 제시한다.

항암치료와 통합암치료 병용으로 호전된 전이성 난소 및 자궁내막암 환자 1례 (A Case of Improvement of Metastatic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Treated by Integrative Medicine Therapy Combined with Chemotherapy)

  • 진용재;신광순;하지용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1
    • /
    • 2014
  • This report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ive Medicine Therapy (IMT) in treating metastasized ovary and endometrial cancer. A 51-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double primary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in 2009.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Bilateral Salpingo Oophorectomy (BSO)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PLND), adjuvant chemotherapy till Sep. in 2013. But metastases to Rt. External Iliac artery, Aortocaval area Lymph Nodes, Liver(caudate lobe), Rt. Buttock subcutaneous area, Lt. Gastric Area Lymph Nodes were found. Finally, the patient decided to be treated by IMT including Abnoba Viscum, Vitamin C, herbal medication and pharmacopuncture combined with chemotherapy. The efficacy was evaluat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Abdomen Computed Tomography (CT). The metastatic tumor in liver was disappeared and Rt. external iliac artery, aortocaval area Lymph Nodes, Rt. buttock subcutaneous area were also decreased after 6 months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T may have a potential role for metastatic cancer.

악성종양(惡性腫瘍) 치료(治療)에 응용(應用)되는 약물(藥物)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tural Study on Medicinal Herbs used in Cancer Therapy)

  • 박영준;박용기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9권
    • /
    • pp.139-154
    • /
    • 2000
  • 한약재(韓藥材)의 암치료(癌治療)에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을 연구(硏究)한 23종(種)의 논문(論文)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문헌적(文獻的)으로 고찰(考察)한 바, 한의학(韓醫學)에서는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지혈(消腫止血), 활혈화어(活血化瘀), 이기보비양혈(理氣補脾養血), 화담연견(化痰軟堅), 건비화습(健脾化濕), 이기산결(理氣散結)하는 한약재(韓藥材)를 이용하여 부정법(扶正法), 거사법(祛邪法), 부정거사법(扶正祛邪法)으로써 암치료(癌治療)에 응용(應用)하고 있으며,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약물(藥物)은 총(總) 103종(種)으로 이 중(中)에서 어성초(魚腥草), 저령, 천산갑(穿山甲), 오수유(吳茱萸), 목향(木香), 흑축(黑丑) 등의 항암효과(抗癌效果)가 우수(憂愁)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어성초(魚腥草)는 암세포주(癌細胞柱)에 대한 감수성(感受性)도 높게 나타났지만 정상세포(正常細胞)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낮게 나타났고, 오수유(吳茱萸), 목향(木香), 흑축(黑丑)은 20여종의 암세포주(癌細胞柱)에 모두 높은 세포독성(細胞毒性)이 나타났으며, 삼백초(三白草)는 HT-29, melanoma, SK-MEL-5에, 지모(知母)는 난소암(卵巢癌) 세포주(細胞柱)에, 형개(荊芥)는 HT-29 세포주(細胞柱)에 특히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또한 실험(實驗)에 사용된 암세포주(癌細胞柱) 중에서 생쥐 유래의 P815, Yac-1 세포주(細胞柱)와 사람의 Sarcoma 180, K562, SNU-1 세포주(細胞柱)가 가장 다용(多用)되었다.

  • PDF

사람의 유방암 세포주인 MDA MB-231 세포에서 CpG 메칠화에 의한 Disabled-2유전자의 발현억제 (Silencing of Disabled-2 Gene by CpG Methylation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DA MB-231 Cells)

  • 고명현;오유미;박준호;전병훈;한동민;김원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02-808
    • /
    • 2005
  • 사람의 Disabled-2 (Dab2)는 정상세포에서 c-Fos의 발현을 억제하여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암억제 유전자로 추정되어 지고 있다. 많은 암세포에서 Dab2는 유방과 난소의 정상세포에서는 발현이 되지만, 약 $85\%$의 유방과 난소의 종양세포에서는 발현이 줄어들거나,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sulfite 반응에 의한 염기서열 분석법과 MSP방법 등을 이용하여 유방암 세포주인 MDA MB-231세포에서 Dab2 유전자의 promoter상에 존재하는 Cpg island의 methylation된 상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람의 정상 자궁내막세포에서는 Dab2 promoter 부위가 완전하게 methylation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MDA MB-231세포에서는 TATA box 근처 의 CpG dinucleotide에서 비정상적으로 methylation되어 있었다. 이런 비정상적인 CpG dinucleotide의 methylation은 MDA MB-231세포를 5-azacytidine으로 처리하였을 때 methylation이 풀리고, Dab2의 발현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BA MB-231세포에서 Dab2의 발현억제는 Dab2 유전자의 promoter부위의 CpG island의 비정상적인 methylation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난소암에서 $^{18}F-FDG$ PET의 임상 이용 (Clinical Application of $^{18}F-FDG$ PET in Ovarian Cancer)

  • 오소원;김석기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sup1호
    • /
    • pp.91-100
    • /
    • 2008
  • Ovarian cancer is often fatal since it is difficult to diagnose early and recurrence is quite frequent despit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chemotherapy, thus exact diagnosis and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are crucial to patient management. For pre-treatment staging, FDG PET could be helpful in a limited patient group possessing high risks of ovarian cancer. Besides, FDG PET could be recommended to patients with a high suspicion of recurrence i.e. rise of CA-125, especially in cases of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modalities presenting no evidence of disease because FDG PET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treatment planning such as recurrence site or pattern.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FDG PET to general population at staging or routine surveillance of ovarian cancer, more investigation is needed. The usefulness of FDG PET in evaluating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of ovarian cancer has not yet been determined,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FDG PET could evaluate treatment response early and show a close relationship with overall survival. PET/CT has been actively adopted in management of ovarian cancer. Not only in detecting tumor recurrence and evaluating treatment response but also in pre-treatment staging, FDG PET/CT is expected to playa role due to available anatomical information.

Nrf2 영구 넉다운 난소암 세포주의 Proteasome 저해 항암제 Bortezomib에 대한 감수성 증가 (Enhanced Sensitivity to Proteasome Inhibitor Bortezomib in Nrf2 Knockdown Ovarian Cancer Cells)

  • 이상환;최보현;곽미경
    • 약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66-472
    • /
    • 2011
  • NF-E2-related factor 2 (Nrf2), a master regulator of antioxidant genes in animals,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resistance of cancer cells to several cytotoxic chemotherapeutics. Bortezomib, a reversible inhibitor of the 26S proteasome, is a novel class anti-cancer therapeutics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multiple myeloma.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drug-resistance remains elusive. In the present study, bortezomib sensitivity has been investigated in Nrf2 knockdown ovarian cancer cells. When Nrf2 expression is stably repressed using interfering RNA expression, bortezomib-induced apoptosis and cell death we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nonspecific RNA control cells. Knockdown cells showed elevated expression in the catalytic subunit PSMB5, PSMB6, and PSMB7 compared to the control, and failed to induce heme oxygenase-1 expression following bortezomib treatment. These indicate that differential proteasome levels and altered expression of stress-response genes could be underlying mechanisms of bortezomib sensitization in Nrf2-inhibited ovarian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