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분해성 물질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4초

난분해성 환경오염물질의 고온.고압연소 (Disposal of Highly Toxic Wastes by us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mbustor)

  • 윤재건;홍호연;이정우;김종표;강수석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6년도 제32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75-78
    • /
    • 2006
  • Disposal of highly toxic wastes 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s very difficult. These substances create a growing mountain of problematic waste that has to be disposed properly. Conventional technologies that are based on common burning(rotary kiln, ${\sim}1100^{\circ}C$) and plasma technology(${\sim}10000^{\circ}C$) do not satisfy important conditions. for example, complete combustion of the toxic waste and the price of waste disposal. The combustor like a rocket engine is operated at relatively high pressure(${\sim}15$ bar) and relatively high temperature(>$3000^{\circ}C$) that are ideal fo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extremely toxic substances. In this study, test compound($_o-DCB$) was dissolved in kerosine with a concentration of 10%. Pure gas oxygen was used as an oxidant. Analysis showed that the destruction efficiency achieved for ${o}-DCB$ was 99.9999% or better. The results show that a combustor based on liquid propllant rocket technology is a validated tool for the disposal of highly toxic waste, and a good alternative technology when applied to the destruction of extremely toxic wastes.

  • PDF

미생물에 의한 폐기름 탄화수소의 분해 (Microbial Degradation of Hydrocarbons in the Waste Oil)

  • 정재갑;임운기;신혜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1
    • /
    • 1999
  • 폐기름 유출지역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 Xl, X2, X3은 폐유나 그 주성분인 난분해성 물질들을 유일 탄소원으로 자랄 수 있었다. Naphthalene과 2-methyl naphthalene은 7일만에 약 80$\%$ 분해되었다. Hexane과 hexadecane은 거의 대부분 분해되며 60$\%$의 분해가 폐유에서 관찰되었다. 합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와 Tween 20은 세포의 성장과 분해에 오히려 저해함을 보였다. Xl, X2은 그람 음성을 X3은 그람 양성을 보이며 항생제 ampicillin에 저항성을 가진다. Xl의 30kb plasmid을 E.coli에 transform하여 유전공학적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에 존재하는 Plasmid pSY1의 PAH 분해능 (Attribution of PAH Degradation of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to the Plasmid pSY1)

  • 박승기;김성재;신희정;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3
    • /
    • 2001
  •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에서 난분해성 물질 분해 유전자가 chromosome 또는 plasmid 존재하는지를 규명하였다. 야생주 DJ77의 plasmid를 mitomycin C를 이용하여 curing 시킨 후, 각각 phenanthrene과 biphenyl이 단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야생주는 성장을 하지만 plasmid가 제거된 DJ77은 성장하지 않았다. 각각의 plasmid DNA를 분리한 수 이미 클로닝된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에 관련된 DNA를 probe로 하여 Southern hybridization을 한 결과 야생주에서만 positive signal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Ethanolamine이 포함된 원자력발전소 2차계통 폐수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Ethanolamine in Secondary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 이한철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38-43
    • /
    • 2013
  • ETA (ethanolamine)는 원자력 발전소 2차계통의 pH 조절제인 암모니아 대체 물질로 2001년부터 이용되고 있다. 환경적 측면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이며 현재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 폐수처리설비로 처리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현장 시료를 사용하여 N와 COD 제거하기 위한 최적 공정과 사용 약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폐수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ammonium ion은 diffused aeration system을 이용하여 95% 이상을 제거하고 혼합과산화물(sodium persulfate/sodium percarbonate)을 사용하여 산화시키고 응집제를 사용하여 물리 화학적으로 처리 후 90% 이상의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조합형 분리막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의 재이용 연구 (Reusing of Dye Wastewater through Combined Membrane Process)

  • 박헌휘;최호상
    • 멤브레인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02
  • 침지형생물막 반응조와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염색폐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실과 현장의 pilot plant 실험 결과 20-25 cmHg의 흡인압력으로 10 LMH($1/m^2$.hr)의 투과유속을 얻었다. 침지형생물막 반응조에서 CODcr, $COD_{Mn}$ 및 T-N의 제거율은 각각 93%, 90%, 60%로 나타났다. 난분해성 물질과 총질소의 제거효율을 높여서 염색폐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침지형생물막 반응조와 역삼투막(SMBR+R/0)을 조합한 공정을 수행한 결과, 질소제거율이 80% 이상으로 총질소 농도를 15 mg/L를 얻었다. 조합공정은 염색폐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에 적합하였다.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색도 제거 (Decolorization of Landfill Leachate by White-Rot Fungi)

  • 김현영;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8
    • /
    • 1997
  • 여러가지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생분해능을 지닌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탈색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분리한 Coriolus versicolor KR-11W와 Irpex lacteus KR-39W가 이제까지 주로 연구되어 온 Phanerochaete chrysosporium보다 높은 탈색능을 나타내었는데 I. lacteus KR-39W는 산소공급시 10%의 침출수가 함유된 YMG 배지의 진탕배양에서 85%의 색도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최소배지에서도 80%의 탈색율을 보였다. P. chrysosporium에 의한 리그닌 분해능 및 분해효소 생성 보고들과 달리 진탕배양이 정치배양보다 탈색능이 높았으며 산소공급은 색도제거에 증가효과가 있었다. 균체 접종량(10-30%)과 온도(25,37.deg. C)는 탈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는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리그닌 분해효소군의 여러 가지 inducer와 cofactor를 C. versicolor KR-11W 배양에 첨가한 결과 많은 경우 균접종 대조군보다 2배 이상의 탈색율과 lignin peroxidase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며 FeS $O_{5}$ 첨가시에는 최대 2.9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탈색에 관여하는 효소군은 접종물에 이미 어느 정도 존재할 수 있으며 배지 및 배양조건에 따라 그 생성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런 조건들을 잘 맞출 경우 보다 높은 탈색능이 기대된다.

  • PDF

조건의 변화에 따른 수중 환경 내에서의 철 용해 분석 (Analysis of aqueous environment iron dissolution in different conditions)

  • 배연욱;민지은;박재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807-810
    • /
    • 2008
  • 영가철(ZVI)를 사용하는 투수성 반응벽체(PRB, Permeable reactive barrier)는 TCE(Trichloroethylene)와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포함된 지하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ZVI(Zero-valent iron)가 Ferric iron으로 산화되면서 TCE를 ethene으로 환원시킨다. Ferric iron으로 변화된 iron은 환원과정을 통해 Ferrous iron으로 다시 재생을 시켜야 PRB의 처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Ferric iron을 Ferrous iron으로 환원시키기 위해서 철환원 박테리아(IRB, Iron-reducing bacteria)를 이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IRB가 Ferric iron을 환원시키기 위해서 Ferric iron을 용해를 한다는 concept으로 실험을 해보았다. 실험은 증류수(DI water, De-ionized water), DI-water에 배지를 포함한 용액, 그리고 DI-water에 배지 및 IRB가 포함된 용액, 이 3가지 조건으로 수행했다. 실험결과 $Fe^{3+}$의 용해가 IRB가 포함된 용액, 배지가 포함된 용액, 증류수 순으로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막-생물반응조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의 처리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by Membrane-Bioreactor Process)

  • 강민수;김성수;황규대;강종림
    • 멤브레인
    • /
    • 제7권4호
    • /
    • pp.175-182
    • /
    • 1997
  • 혐기-호기의 생물반응조 공정과 막분리 공정을 조합한 막-생물반응조 공정을 이용하여 염색폐수 중의 난분해성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염색폐수 원수를 직접 막분리공정에 적용한 결과 심각한 fouling을 초래하였다. 반면 생물반응조로 1차 처리한 후 막분리공정에 적용한 경우 생물반응조가 막의 오염원을 상당부분 제거하여 fouling현상이 현저리 감소하였으며, 막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염색폐수의 처리효율 및 fouling현상은 막의 기공 크기나 구조보다는 막의 재질에 더욱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중공사막 module의 사용 방법 및 중공사막 내부의 유속에 따라서 제거효율 및 투과유량이 변화하였다. 생물반응조나 막분리 단독공정보다 두공정을 조합한 공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염색폐수 처리능력을 보였다.

  • PDF

Humic Acid 분리막의 제조와 이온교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and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Humic Acid Membranes)

  • 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7권3호
    • /
    • pp.136-141
    • /
    • 1997
  • 토양 유기물에서 생물학적 난분해성인 부식물질을 알카리에서 추출하고 산성영역에서 침전되는 성분인 부식산을 정제, 추출하였다. 부식산의 주성분인 카르복실기가 이온교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PVA와의 불균질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이온인 $K^+$, $Na^+$의 이동 및 이동속도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이동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특히 $10^-1$,$10^0$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K^+$, $N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선택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소이온농도 $10^0$ 일때는$K^+$이 2배정도 빠르게 이동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활성 이온의 선택성 및 이동속도의 향상으로 부식산이 이온교환막의 새로운 재료로서의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

1,4-dioxane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현장 적용성 검토 (Field application o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removing 1,4-dioxane)

  • 박두리;이강훈;전문휘;염익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3-283
    • /
    • 2015
  • 1,4-dioxane은 페인트, 광택제 및 코팅제의 제조시에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인간에 대한 발암 가능성과 수중에서의 지속성으로 인해 EPA priority pollutant로 지정되어 있다. 이에 최근 고도산화법을 이용한 처리가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UV/$H_2O_2$ 공법을 통하여 수계에서 발견되는 난분해성 유기 오염물의 제거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고도산화공정(AOP)은 다량의 에너지 소모와 산화제 투여로 인한 높은 운전비용이 현실적인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1,4-dioxane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생물학적 분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1,4-dioxane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주로 분해미생물의 분리동정 및 회분식 분해특성에 대한 연구들 위주로 보다 실질적인 연속적 처리반응조의 운전결과들은 거의보고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ab scale 연속처리반응조의 장기운전 후 pilot plant 현장적용에 앞서 인공폐수와 합성폐수에서의 분해효율 비교 회분식 실험을 통해 합성폐수내 생물학적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inhibitor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미생물의 배양 조건에 따른 분해효율 비교 회분식 실험과 modeling을 통하여 현장운영 효율을 예측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추후 진행예정인 pilot plant의 현장 적용성 검토 및 최적 설계인자 도출, 장기운전에서의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