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류특성

검색결과 1,203건 처리시간 0.026초

동해에서 potential vorticity와 해류순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current circulation in the East Sea)

  • 이충일;조규대;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9-92
    • /
    • 2004
  • 포텐셜와도는 해류의 순환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동해에서 포텐셜와도의 분포 특성을 이용하여 쓰시마난류를 포함한 상층부의 해류순환을 설명하였다. 상층부를 표층부분과 쓰시마난류의 분포 층 그리고 수온약층 분포 수층으로 구분하였다. 극전선남쪽은 쓰시마난류가 해류순환의 중심을 형성하며, 포텐셜와도는 쓰시마난류와 극전선의 분포 특성을 잘 나타내어준다. 포텐셜와도의 분포로부터, 극전선 북쪽은 일본 분지와 그 서쪽해역의 순환 세포로 구분된다.

  • PDF

가스발생기 비-반응 유동의 난류 혼합에 대한 LES 해석 (LES of Turbulent Mixing of Non-Reactive Flow in Gas Generator)

  • 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171-1179
    • /
    • 2008
  • 난류고리와 스플래쉬 판에 의한 난류 혼합과 난류 생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LES 해석이 가능한 CFD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LES 해석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난류고리는 유동장에 매우 강한 난류를 생성하여 후류에서 난류 혼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난류고리 후류 방향으로 스플래쉬 판을 설치하면 난류고리만을 설치한 경우와 매우 다른 형태의 난류 에너지와 엔스트로피 생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경우의 난류혼합은 판 뒤에 생성되는 매우 강하며 집중적인 난류의 생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압력강하는 초기 압력의 1%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또한 계산결과에 의하면 난류고리의 형상이나 돌출 길이 변화는 생성되는 난류의 특성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난류 혼합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판의 위치에 관한 연구 는 진행하지 못하였으나 지금까지 계산결과에 의하면 스플래쉬 판이 설치되었을 때 압력 강하도 낮은 수준이며 난류 혼합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수부 자유 표면 부근의 와 유동과 난류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s on Vortical Flows and Turbulence beneath the Free Surface around Bow)

  • 정우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23
    • /
    • 1998
  • 뭉툭한 스트럿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유 표면의 난류 현상에 대한 기본 특성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지배 방정식으로는 3차원 Navier-Stokes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지배 방정식은 유한 차분법으로 이산화 하였다. 물체앞 자유 표면에서의 난류 유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임의의 작은 외부 교란을 도입하여 Large Eddy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물체앞 자유 표면은 어떠한 속도 이상에서 격렬하게 진동하는데 그 기본 특성은 물체 주위의 난류 흐름과 유사함을 수치 계산으로 보였다.

  • PDF

주유동의 난류강도가 막냉각홀 주위의 열/물질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 Stream Turbulence Intensity on Heat/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Around a Film Cooling Hole)

  • 이동호;김병기;조형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6-6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주유동의 난류강도 변화에 따른 복합각도로 분사되는 단일 막냉각홀 주위에서의 국소 열/물질전달계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일 막냉각홀 시편은 평면에 대하여 $30^{\cire}$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횡방향으로는 주유동에 대해 $45^{\cire}$의 각도로 분사하여 복합각도 분사시 주유동의 난류강도 변화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막냉각제트의 분사율을 0.5에서 2.0까지 변화시켜가며, 주유동의 높은 난류강도조건에서 분사율 변화시 막냉각홀 주위의 열/물질전달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유동의 난류강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막냉각홀 상류에 난류발생격자를 설치하였다. 격자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주유동의 난류강도는 0.5%이며, 난류발생격자의 종류 및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난류강도를 3%에서 10%까지 변화시켜가며 실험하였다. 막냉각홀 주위에서 국소적인 열/물질전달계수 값을 얻기 위하여 물질전달 실험방법인 나프탈렌 승화법을 사용하였다. 주유동의 난류강도가 낮은 경우 분사홀 주변에서 막냉각제트 혹은 주유동에 의한 열/물질전달 촉진영역이 뚜렷한 경계를 갖지만, 난류강도가 증가하면서 전 영역에 걸쳐 열/물질전달이 촉진되었으며 주유동과 막냉각제트의 활발한 혼합작용으로 인해 영역의 구분이 점차 소멸되었다. 또한 주유동의 높은 난류강도 효과는 막냉각제트의 분사율이 높은 경우 뚜렷이 나타났다.

  • PDF

온라인 시스템에 의한 난류의 통계학적 해석력법

  • 노병준;;최유진
    • 기계저널
    • /
    • 제25권3호
    • /
    • pp.216-224
    • /
    • 1985
  • 최근에는 온라인 시스템(on-line system)에 의하여 난류의 신호를 직접 신호분석기에서 받아 분석하여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풀롯터(plotter)에 의해 도시함으로서 유동의 특성을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해석해 나가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온라인시스템에 의한 난류의 통계 학적 측정방법과 기본적인 이론 및 측정도시에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실린더 내 공기유동 측정 및 난류운동에너지 해석 (In-Cylinder Air Flow Measurements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Analyses)

  • 유성출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1
    • /
    • 2007
  • 본 연구는 SI기관 실린더 내의 유동장 변이 과정을 3차원 LDV 측정 기술을 사용하여 흡입과 압축과정 동안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헤드에 각각 2개의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갖는 기관이 모터링되는 공회전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지난 30년 동안 텀블과 스월은 실린더 내의 평균 유동 정량화에, 난류운동에너지는 난류 측정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텀블은 solid body 회전 유동을 비교하는데 적절하며, 서로 다른 유동 패턴 비교에는 부적절 하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3차원 LDV시스템의 우수한 공간 분석 능력은 순간적인 유동장구조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미세한 유동장의 구조 까지도 측정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유동장의 난류운동에너지 등가면을 계산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실린더 내의 난류 유동장 특성을 난류운동 에너지 등가면 정보를 이용하여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등밀도 수로흐름에서 의 난류모형 비교 (Comparison of Turbulence Models in Homogeneous Channel Flows)

  • 이종찬;최병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6
    • /
    • 1995
  • Blumberg와 Mellor(1987)의 2 방정식 난류모형, Bleackadar(1962)의 1 산정식을 이용한 1 방정식 난류모양 및 Prandtl(1925)의 혼합거리식을 이용한 0 방정식 난류모 양을 일련의 등밀도 문제에 적용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정유량이 주어진 수심이 급변하는 수로의 흐름, 유한수로에서 의 조류의 연직구조 및 일정수심 수로에서 의 정 상상태 취송류 문제에 대하여 비교되었다. 불규칙한 수심에 일정유량이 주어진 수로 흐름 및 점모양을 이용한 조류의 수치실험에서는 적용된 난류모양 모두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적 관측된 유속구조와 부합하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정 상상태의 취송류 경우에는 2 방정식만이 관측된 유속과 부합하는 유속구조를 재현하 였으며, Blackadar의 l 산정식을 이용한 1, 0 방정식 난류모형은 수면근처의 유속을 관측치보다 작게 계산하였다. 이류항 및 수평확산항의 영향이 작은 조류 및 취송류의 경우, 2 방정식 난류모형에 의한 연직와점성계수 이류항 및 수평확산항의 영향이 작은 조류 및 취송류의 경우, 2 방정식 난류모양에 의한 연직와점성계수 및 특성길이의 연 직분포는 중간수심에서 최대값을 갖는 포물형이었으며, Blackadar의 l 산정식을 사용 한 1, 0 방정식 난류모형에 의한 연직와점성계수 및 혼합특성길이의 연직분포는 수면 에서 최대인 선형에 가까웠다.

  • PDF

수평축 풍력터빈의 공력 하중 비교 (I): 난류 유입 유·무 (Comparison of Aerodynamic Loads for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I): with and without Turbulent Inflow)

  • 김진;강승희;유기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391-3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난류 유입조건을 갖는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공력 하중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난류모델은 풍속과 방향에 대한 변동을 포함하며, 그 특성은 난류 강도와 표준편차로 표현된다. IEC61400-1에서는 정상 난류 모델과 정상 풍속 측면도에 대해서 피로해석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력 최적설계 절차를 통해 얻어낸 MW급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 허브와 저속 회전축에 대한 공력하중 해석을 수행한다. 공력하중 성분은 수치적인 절차를 통해 얻어내며 이를 블레이드 회전 특성을 고려하여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난류 조건을 고려했을 때의 최대 추력과 토크의 변동치는 난류 조건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값들에 비해 5~8 배 더 큰 값을 보였다. 따라서 난류 조건을 반영한 하중 해석은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구조설계에 있어서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수제 주위의 난류 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 연구 (Flume experiments for turbulent flow around a spur dike)

  • 전정숙;강석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707-7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직선 개수로 내에 설치된 수제 모형 주위에서 발생하는 난류 흐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Froude 수가 0.100과 0.185인 두 가지 흐름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시간평균유속과 난류 응력을 구하기 위하여 초음파 유속계를 이용하여 3차원 순간 유속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수제 하류에서 난류 응력이 큰 재순환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Froude 수가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전반적인 평균 유속 분포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최대 무차원 난류 응력과 최대 무차원 바닥 전단응력은 Froude 수가 증가할수록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