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난류특성

Search Result 1,20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easurement Technique of Turbulent Flows (난류유동의 측정기술)

  • 성형진;고상근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9
    • /
    • pp.678-687
    • /
    • 1994
  • 이 글에서는 상대측정방법의 예로서 열선 유속계, 절대측정방법의 예로서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 가시화기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통하여 난류측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열선유속계와 레이저도플러유속계는 응답특성이 난류측정에 적합한 측정기술로서 입증되어 있지만, 가시화 기법에 의한 난류측정은 3차원 유동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영상처리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아직까지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PDF

Analysis of Turbulence on a Merge Influence Section in Uninterrupted Facility (연속류도로 합류영향구간 교통류 난류현상 분석)

  • Kim, Hyun-Sang;Do, Tcheol-Wo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217-228
    • /
    • 2009
  • Sections under the influence of merging in an uninterrupted facility create irregular interaction between vehicles, such as lane change, spee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because of the merging of ramp traffic flows which have traffic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 line. This causes a confused traffic flow phenomenon(turbulence), which is considered an unstable traffic characteristic between various continuous points in consideration of v conditions. In this study, in merge influence sections, detectors by lane-point were installed to create time and space-series -traffic data.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LSD), as the criteria for discriminating a significant speed change between points,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turbulence. As a result, turbulence in merge influence section was found to change the zones of such occurrence and the seriousness levels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 Thus, the maximum merge influence section due to the turbulence was created in the traffic condition before congestion when traffic increas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speed, merge influence section was divided into upstream 100m$\sim$downstream 100m(a section of speed reduction), and downstream 100m$\sim$downstream 400m(a section of reduced speed maintenance and acceleration).

  • PDF

A study for laminar and turbulent boundary layer theory around a Joukowski and NACA-0012 airfoil by CFD (Airfoil 주변에서의 층류 및 난류경계층 이론에 대한 수치해석)

  • Je, Du-Ho;Hwang, Eun-Seong;Lee, Jang-Hye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533-1539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theory with CFD data about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displacement thickness and momentum thickness. According to the freestream velocity, larminar and turbulent is decided and affect to the flow patterns around the airfoil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displacement thickness and momentum thickness affect to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irfoil(e.g. lift, drag and pitching moment). The separation point is affected by varying angle of attack.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Joukowski airfoil(c=1), and NACA0012 airfoil was used at CFD. The chord Reynolds number is $Re_c$=3,000, 700,000, respectively and the freestream velocity is 0.045, 10 m/s, respectively. In this paper, the data was a good agreement with that of experimental results, so we can analyze the various airfoil model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ulent Normal Stresses in the Fully Developed Bare Rod Bundle Flow (완전히 발달된 맨봉주위의 난류유동장에서 난류 응력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 Lee, Kye-Bock;Lee, Byung-J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6
    • /
    • pp.888-893
    • /
    • 1995
  • The turbulence structure for fully developed flow through the subchannels formed by the bare rod array depends on the pitch to rod diameter ratio. For fairly open spaced bare rod arrays, the distributions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turbulent normal stresses are similar to those measured in circular pipe. However, for more closely spaced arrays, the turbulence structure, especially in the gap region, depart markedly from the pipe flow distribution.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urbulent normal stresses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for fully developed turbulent flow through regularly spaced bare rod arrays has been developed. This correlation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theoretical analyses applied in turbulence research.

  • PD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of Turbulent Flows in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Fluids Engineering (환경 및 산업에서의 난류유동 이해와 응용)

  • 김경천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9
    • /
    • pp.666-677
    • /
    • 1994
  • 이 글에서는 난류유동의 개략적인 특성을 살펴보았고, 환경 및 산업에서 등장하는 난류유동 문 제의 종류들과 그 해결방법들을 살펴보았다. 기술의 역사를 반추해보면 과학적 진보로부터 얻은 연구결과가 응용됨으로써 많은 분야의 사람들에게 넓고 보편적인 개념으로 확장 적용될 때 기 술적 진보가 이루어졌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난류는 더 이상 복잡하고 어려운 학문이나 과학 으로 인식되어서는 안되며 누구나에게 보편적인 상식으로 파급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난류유동의 지식으로서도 충분히 해결가능한 문제들이 도처에 산재되어 있으며, 시급한 해결을 요구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전지구적인 문제로 부각된 환경문 제를 해결하고 산업기술의 획기적인 진보를 달성하여 지속가능한 기술적 미래를 창조하는 엔지 니어들은 더욱 큰 책임의식을 가지고 난류를 공부해야 할 것이다.

  • PDF

A Numerical Analysis of Flow through Open Channel Constrictions using Turbulence Model (난류모델을 이용한 개수로 급축소부 흐름의 수치해석)

  • Choe, He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01-210
    • /
    • 1997
  • To analyze the flow through open-channel constrictions using $\kappa$-$\varepsilon$ turbulence mode, a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The simulated results agree well with existing experimental data which attributes to the adequate input of turbulent eddy-viscosity by turbulence model. A stream function and velocity distributions enable the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at the downstream of constriction. Turbulent eddy viscosities over channel are spatially varied with stream pattern. For the evaluation of rapidly varied flow, the eddy-viscosity input by turbulence model is required instead of the empirical effective viscosity to solve a shallow water equation.

  • PDF

Turbulent Flow and Heat Transfer in Concentric Annuli Depending on Position of Wall Roughness (벽면거칠기위치에 따른 이중동심관내의 난류유동과 열전달)

  • 안수환;손유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2
    • /
    • pp.136-143
    • /
    • 1997
  • 직경 비가 0.56인 이중동심관에 내외측모두 매끈한 벽면, 벽면 거칠기를 안측, 외측, 그리고 양측 모두의 4경우에 대한 난류 유동과 열전달특성을 실험과 이론으로 연구하였다. 시간평균속도분포, 마찰계수, 그리고 최대 속도 지점과 전단응력이 0인 지점들을 피토튜브와 X형 열선 풍속계로 측정하였다. 이중동심관내에서 4가지 경우에 따른 사각돌출형 거칠기효과가 난류 유동과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수정난류모델을 기초로 하여 연구하였다. 직경비, 거칠기 위치, 레이놀즈수, 그리고 프란틀수 등의 여러 변수에 의해서 난류 유동과 열전달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적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게 열전달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거칠기 구조를 밝혔다.

  • PDF

Large-eddy simulation of a turbulent buoyant jet (난류 부력젵의 큰 와 모의)

  • 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34-134
    • /
    • 2011
  • 3차원 난류 부력젵의 혼합을 큰 와 모의(large-eddy simu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수치모의 한다. 개발된 수치모형은 3차원 열동수역학 모형을 이용하여 부력젵의 퍼짐, 자기 보존 그리고 주변류의 연행 등을 포함하는 난류젵의 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수치해석에서 하부격자규모 (subgrid scale, SGS) 난류 응력은 부력항을 수정한 Smagorinsky 모형을 이용한다. 여과된 엔탈피 수송방정식에서 하부격자규모의 스칼라 플럭스는 상수의 SGS Prandtl 수를 가지는 단순 경사수송 가설에 근거하여 모의한다. 계산된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며, 결과는 양호하게 일치함을 보여준다. 계산결과에 따르면 부력항의 수정이나 SGS 난류 Prandtl 수는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SGS 모형 상수인 Cs 값은 부력젵 확산 예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범용 전산유체 코드를 이용한 봉 다발에서의 난류 유동 수치해석

  • 인왕기;오동석;전태현;정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67-572
    • /
    • 1997
  • 범용 전산유체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코드인 CFX-F3D를 이용하여 봉 다발에서의 난류 유동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3$\times$3 봉으로 구성된 부수로 사이의 난류 횡류(Crossflow) 혼합유동과 평행한 4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벽 수로에서의 난류 유동구조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부수로 횡류 혼합유동의 경우 예측된 주 유동방향 평균 속도분포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나 벽면과 인접한 부수로에서의 난류강도 분포는 다소 큰 차이가 나타났다. 백수로의 경우 수로 중심선 근처의 주 유동방향의 속도변화는 크게 예측되었고 벽 전단응력은 유로가 협소해지는 영역에서 낮게 예측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실험결과와 유사한 유동특성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봉 다발에서의 난류 유동구조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과 더불어 CFX-F3D 코드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지지격자와 임계열유속 증진장치가 부착된 복잡한 형상의 핵연료 다발에서의 유동장 수치해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Effect of turbulence o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난류 강도에 따른 부유사의 입도 분포 변화)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8-248
    • /
    • 2019
  • 유사는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된다. 하천의 흐름을 통해 이동하는 유사의 대부분은 부유사의 형태로 이동하며, 부유사의 부유 거동은 난류 강도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부유사의 부유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침강 속도의 산정과 난류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유사의 침강 속도는 밀도와 크기로 대표되는 유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하천에서 부유사가 여러 크기를 갖는 유사 입자들이 혼재된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침강 속도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 입도 분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입자의 입도 분포에 난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래의 입도 분포가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를 것이라는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의 영향을 고려하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이 개발되었다.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에 따라 분포의 표준 편차와 같은 물리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흐름 내 유사의 이동과 흐름의 유사 이송 능력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는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은 유사 이동 모형과 결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