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난류스케일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iffusion Flame by Analysis of Ion Currents Characteristics (이온전류의 특성을 이용한 확산화염의 연소특성고찰)

  • 안진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2
    • /
    • pp.146-155
    • /
    • 2000
  • 연료분출을 수반하는 원통형 보염기 후류에 형성되는 확산화염에 대한 이온전류의 특성과 화염의 안정범위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연소특성을 고찰하였다. 난류강도가 큰 경우의 화염일수록 화염의 안정성은 악화되며, 화염내 중앙의 평균 이온전류값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영역은 블로오프 직전상태에 비해서 안정시의 경우 더욱 하류측에 존재한다. 난류의 정도가 강한 화염의 경우 국소적으로 반응이 활발한 화염 덩어리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난류의 정도가 강한 화염의 경우에는 반응이 완만한 화염 덩어리가 저속으로 이동한다. 재순환영역에서 주류유동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기상관계수의 저하가 빨라지고 난류 시간스케일이 작아지며, 부염기 직후에서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자기상관계수의 저하가 늦어지고 난류시간스케일이 커진다. 주류공기에 강한 난류를 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큰 난류시간스케일에 대응되는 저주파수 특성이외에도 작은 난류 시간스케일에 대응되는 고주파수 특성이 나타나며 , 주류공기에 강한 난류를 가한 경우에는 큰 난류 시간스케일에 대응되는 저주파수 특성이 나타난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Turbulent Effect on Settling Velocity of Inertial Particles in Open-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난류가 관성입자의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

  • Baek, Seungjun;Park, Yong Sung;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1-171
    • /
    • 2022
  • 난류 수체에서 관성입자의 침강속도는 정지 수체에서보다 빠르고, 그 침강속도의 증가비율은 입자의 관성력과 난류의 길이 스케일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Wang and Maxey, 1993; Yang and Shy, 2003; Wang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흐름에서 난류의 영향을 받는 관성입자의 침강속도를 측정하고, 정지 상태의 침강속도에 대한 침강속도의 증가비율과 난류 인자의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관성입자는 비중 1.35, 직경 300 ㎛에서 2000 ㎛까지의 구형 플라스틱(PE; polyethylene) 입자이며, 해당 입자들의 침강속도는 PTV(particle tracking velocimetry) 방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기법을 통해, 개수로 흐름의 난류 에너지 소산율(energy dissipation rate, ϵ)과 그에 따른 Kolomogorov 길이 스케일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직경 조건에서 플라스틱 입자는 난류 흐름에서의 침강속도가 정지 수체에서의 침강속도보다 빠름을 보였으며, 그 비율은 입자 직경이 난류의 길이 스케일과 유사하거나 작아질 때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체 내에서의 관성입자의 거동에 대한 이론식과 비교하여 관성입자의 침강에 미치는 여러 힘들의 상대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 수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의 거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verview of Astrophysical Turbulence

  • Cho, Jung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27.1-27.1
    • /
    • 2015
  • 천문학적 유체는 대부분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난류상태에 있다고 믿어진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존재하는 자기유체역학적(MHD) 난류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가장 간단한 경우로 비압축성 유체에서 발생하는 MHD 난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경우, 평균자기장의 세기가 약한 경우와 강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 평균자기장의 세기가 아주 약한 경우 난류에 의한 자기장의 증폭 현상이 특히 중요하다. 평균자기장의 세기가 강한 경우는 난류의 스펙트럼과 구조가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둘째, 작은 스케일 난류와 초음속 압축성 난류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작은 스케일(이온의 자이로 반경 부근) 난류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분야 중 하나이고 초음속 압축성 난류는 해석적 연구가 어렵기 때문에 연구의 많은 부분을 수치계산에 의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MHD 난류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관측에 응용될 수 있는지 간단한 예를 들고자 한다.

  • PDF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난류 생성기를 장착한 선회기의 연소 현상

  • 류승협;손창현;이충원;이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4
    • /
    • 2000
  •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료와 공기의 충분한 혼합이 필요하다. 연료와 흡입되는 공기의 혼합은 큰 스케일의 난류 성분보다는 오히려 연소기내에서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작은 스케일의 난류 성분에 크게 지배를 받게된다. 이러한 혼합 촉진을 위해 연료와 공기의 경계면에서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압력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지만 혼합의 촉진에 의한 완전연소와 저 NOx화는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중략)

  • PDF

Large Eddy Simulaion of Turbulent Flows (난류유동의 대 와동 모사(LES))

  • 양경수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9
    • /
    • pp.698-704
    • /
    • 1994
  • 이 글에서는 난류유동의 수치모사 기법으로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LES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LES의 개념은 공간에서의 여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따라서 난류모델은 작은 스케일의 유동 구조에만 국한된다. LES의 이러한 장점은 DNS에 좀도 가까운 난류모델링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또한 그간 발전된 LES의 기법들에 대해 고찰해보았으며 LES는 DNS의 처선책으로서 난류유 동을 예측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 전망은 매우 밝다.

  • PDF

Analysis on the Modification of Near-wall Turbulent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Field in a Channel imposed with Linearly Increasing Wall Disturbance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벽면교란이 벽 근처 난류 온도장의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해석)

  • Park, Soo Hyung;Byun, Yung-Hwan;Na, Y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5
    • /
    • pp.101-112
    • /
    • 2013
  • Large eddy simu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nearly increasing wall disturbance on the modification of turbulent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field in the vicinity of the wall. It was noted that temperature variance increased monotonically whereas temperature dissip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noticeable reduction in both time and length-scales. A sudden drop in turbulent Prandtl number down to around 0.25 in the near-wall region indicated that the similarity between velocity and temperature fields decreases near the wall as a result of linear wall disturbanc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urbulence characteristics on flame propagation in swirl flow field (스월유동장의 화염전파에 미치는 난류특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Sang-Jun;Lee, Jong-Tae;Lee, Seong-Ye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0 no.10
    • /
    • pp.3282-3292
    • /
    • 1996
  • Flow velocity was measured using a hot wire anemometer. Turbulence intensity was in proportion to mean flow velocity regardless of swirl velocity. And integral length scale has proportional relation with swirl velocity regardless of measurement position. Flame speed calculated by radius of visualized flame wa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ccording to lapse of time from spark. Maximum flame speed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turbulence intensity. Burning speed and flame transport effect increased with increase of swirl velocity, but ratio of burning speed to flame speed decreased with increased of swirl velocity. Mass fraction burned versus volume fraction burned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urbulence intensity, caused by increase of combustion promotion effect according to increase of turbulence intensity and scale.

Experimental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with Swirl Number on Dump Combustor (모형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스월수에 따른 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Jae-Young;Han, Dong-Sik;Kim, Han-Seok;Song, Ju-Hun;Chang, Young-June;Jeon, Chung-Hwa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0 no.4
    • /
    • pp.338-345
    • /
    • 2011
  • The swirl flow applied for high efficiency and reduction of emission such as NOx, CO in a gas turbine engine makes recirculation zone by shear layer in the combustion chamber. This recirculation zone influences a decreasing flame temperature and flame length by burned gas recirculation. Also it is able to suppress from instability in lean-premixed flam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wirl flow field was characterized as function of swirl number using PIV measurement in dump combustor. As increasing swirl number, a change of flow field was presented and recirculation zone was shifted in the nozzle exit direction. Also turbulent intensity and turbulent length scale in combustor were decreased in combustion. It has shown reduction of eddies scale with swirl number increasing.

LARGE EDDY SIMULATION OF FULLY TURBULENT WAVY CHANNEL FLOW USING RESIDUAL-BASED VARIATIONAL MULTI-SCALE METHOD (변분다중스케일법을 이용한 파형벽면이 있는 채널 난류 유동의 대와류모사)

  • Chang, Kyoung-Sik;Yoon, Bum-Sang;Lee, Joo-Sung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6 no.2
    • /
    • pp.49-55
    • /
    • 2011
  • Turbulent flows with wavy wall are simulated using Residual-based Variational Multiscale Method (RB-VMS) which is proposed by Bazilves et al(2007) as new Large Eddy Simulation methodology.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are integrated using Isogeometric analysis which adopt the basis function as NURBS. The Reynolds number is 6760 based on the bulk velocity and averaged channel height. And the amplitude (${\alpha}/{\lambda}$) of wavy wall is 0.05. The computational domain is $2{\lambda}{\times}1.05{\lambda}{\times}{\lambda}$ in the streamwise, wall normal and spanwise direction. Mean quantities and turbulent statistics near wavy wall are compared with DNS results of Cherukat et al.(1998). The predic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reference data.

Interscale transport of the Reynolds stress in a turbulent boundary layer subjected to adverse pressure gradient (역압력 구배 난류 경계층에서 레이놀즈 응력의 스케일 간 수송)

  • Yoon,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 /
    • v.20 no.1
    • /
    • pp.38-44
    • /
    • 2022
  • An interscale transport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KE) and Reynolds shear stress (RSS) is examined in an adverse pressure gradient (APG) turbulent boundary layer (TBL). The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ata of an APG TBL at Reτ = 834 and β = 1.45 is employed. The TKE and RSS transport equations are divided into large and small scales,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interscale transport. The TKE mainly transfers from large scales to small ones in the outer region, and vice versa for the RSS. An interscale transport of TKE and inverse interscale transport of RSS are amplified by APG, and the latter results in the increase in large scales of TKE production. Some of outer large scales of enhanced TKE transfer to small scales and then dissipate by viscosity, and the remains dissipate turbulent-non-turbulent interfaces by turbulent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