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관수종액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난관수종액이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

  • 박준철;김정아;김동자;배진곤;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25-134
    • /
    • 2010
  • 목 적: 난관수종액내의 사이토카인 농도를 측정하고, 사이토카인 농도가 다른 난관수종액을 이용하여 생쥐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수종액은 자궁난관 조영술에서 난관수종이 진단되어 복강경을 통한 난관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난관 절제술 전에 난관으로부터 채취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만을 $-20^{\circ}C$에서 보관하였다. 난관수종액의 사이토카인의 조성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nterleukin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feron (IFN)-$\gam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1 등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기본 배양액에 난관수종액을 5%, 10%, 30%의 비율로 첨가하여 각 군별로 배반포로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결 과: 난관수종액내에서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FN-$\gamma$, VEGF, EGF, MCP-1가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정상 혈청 농도에 비하여 난관수종액-1은 IL-6,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난관 수종액-2는 IFN-$\gamma$, MCP-1 및 VEGF가 증가되어 있었다. 각 난관수종액의 Th1/Th2 비는 HSF-1의 경우 IFN-$\gamma$:IL-10이 3.69로 정상인 데 비하여 HSF-2의 경우 IFN-$\gamma$:IL-10이 61.14로 크게 증가되어 있었다. 난관수종액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에서는 배반포기 발달률은 76.7%이었고, 난관수종액-1군은 74%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27.7%로서 대조군 및 난관수종액-1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난관수종액-1의 경우 난관수종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농도에 증가함에 따라 배반포로의 발달이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난관수종액마다 사이토카인의 조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된 난관수종액이 배아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특정 사이토카인에 의한 작용을 규명하기는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쥐 배아의 체외배양 시 착상과정에 대한 난관수종액의 영향 (Effect of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Implantation in-vitro in a Murine Model)

  • 전진현;궁미경;임천규;김수경;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2호
    • /
    • pp.159-164
    • /
    • 2000
  • 연구목적: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이 감소된다는 보고들이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배아를 이용한 체외 착상모델에서 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이 착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관수종액은 난관수종으로 수술을 받은 8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생쥐의 포배기 배아는 2-세포기배아를 3일 동안 배양하여 그 중 상태가 양호한 포배기 배아만을 선별하여 투명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기본 배양액으로는 Ham's F-10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시 기본 배양액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Ⅰ으로 하였고, 기본 배양액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Ⅱ, 0.5% FBS와 50% HSF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Ⅲ , 100% HSF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Ⅳ,100% HSF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Ⅴ로 하였다. 투명대를 제거한 포배기 배아를 각각의 HSF에 대한 5종류의 배양액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체외 착상 유무는 부착 부위에서 크기가 커진 영양세포들을 관찰하여 판정하였으며, 착상 부위의 표면적은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결 과: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률은 group Ⅰ,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0%, 98.9%, 77.5%, 40.4%, 10.0%로 나타났으며, 착상 부위의 평균 표면적은 group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74,675{\pm}25,201{\mu}m^2$, $59,024{\pm}25,877{\mu}m^2$, $45,156{\pm}22,654{\mu}m^2$, $38,254{\pm}17,115{\mu}m^2$이었다. 체외 착상률과 부위의 표면적은 HSF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론: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은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과 영양배엽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원인이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낮은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난관수종액이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Hydrosalpinx Fluid on Sperm Motility)

  • 김태철;이상훈;김동호;배도환;허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21-29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ydrosalpinx fluid on sperm motilit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atients with hydrosalpinx show the outstandingly lower success rate than other patients having infertility by different factors. It is unclear that the cause of it is influenced by hydrosalpinx fluid directly or by secondary chronic inflammation of endometrium. We wanted to know if the hydrosalpinx fluid influences sperm motility parameters directly such that it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Therefore, using computer assisted semen analyzer (CASA), we observed, from February to July, 1997, how sperm motility, sperm progressive motility, sperm curvilinear velocity, sperm lateral head displacement, sperm straightness and sperm linearity change after treating normal sperm with hydrosalpinx fluid to evaluate sperm function on infertility. The result was that the study group (n=32) has the tendency to differ from the control group (n=32) on sperm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curvilinear velocity, lateral head displacement, straightness and linearity. We concluded that the hydrosalpinx fluid, with varying degree, directly has the harmful effects on sperm motility parameters, that is, curvilinear velocity, lateral head displacement and linearity of sperm which are related to the hyperactivation, hence decreased capacitation.

  • PDF

인체의 난관수종액이 생쥐의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II. 포배기내의 세포 수에 미치는 영향 (Adverse Effect of Human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 (II))

  • 궁미경;전진현;송상진;송지홍;홍수정;유근재;손일표;김정욱;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13-217
    • /
    • 1999
  • In our previous study, we observed that hydrosalpingeal fluid (HSF) adversely effect mouswe embryo development and hatch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SF as assessed by the blastocyst development rate (BDR) and by cell counting in vitro. HSF was collected from ninie patients undergoing salpingoneostomy to correct hydrosalpinx. Two-cell embryos were obtained from superovulated ICR mice. T6 medium and $T6{\pm}0.4%$ bovine serum albumin were used as control media. T6 medium containing 10% or 50% HSF and 100% HSF from each patient were used as test media. Nine to 15 embryos were cultured in micro drops prepared from each of these media. To assess the total cell number within each blastocyst, the blastocyst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Hoechst 33342 to facilitate cell counting. The mean BDR in two control media were 88.89% and 85.40%. The mean BDR in media containing 10%, 50%, 100% HSF were 85.87%, 89.58% and $75.57%^*$, respectively ($^*$: p<0.05). The overall mean cell count $({\pm}SEM)$ in control media were $87.6{\pm}9.65\;and\;90.12{\pm}11.38$. The BDR was affected adversely only by 100% HSF and not in media containing 10% or 50% HSF. Mean cell cou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blastocysts cultured 100% HSF ($63.8{\pm}13.66$; p<0.01) but not in blastocysts cultured in 10% or 50% HSF ($91.3{\pm}12.44\;and\;82.9{\pm}18.27$, respectively). Thus, it is concluded that HSF has no embyotoxic effect but has a mildly negatively effect on embryonic growth and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