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 사고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다중 센서를 이용한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 (Risk Situation Detection Safety Helmet using Multiple Sensors)

  • 최우용;김효상;고동현;이장훈;이승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26-127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 재해의 주요 원인인 추락 및 낙상 사고와 가스 누출에 중점을 둔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를 다루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을 통해 추락 상황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80%의 추락 및 낙상 감지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스 센서를 통해 위험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188 이상의 디지털 값이 출력될 경우 가스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였다,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추락 및 낙상 상황 경고 메시지와 가스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불안정판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경;박용군;김성현;유미;권대규;홍철운;김남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94-294
    • /
    • 2004
  •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사회 노년층의 증가로 낙상사고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전정계 이상 및 체성감각계의 기능 손상에 의한 자세균형 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균형 제어력의 소실이 환자의 재활치료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자세균형제어에 관한 연구는 주로 힘판을 이용하여 특정 감각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제한하거나 외력에 의해 평형 유지를 방해했을 때, 신체 전이(displacement), 압력중심의 움직임(Center Of Pressure; COP), 자세 유지 시 작용하는 근육의 활동전위 등을 측정하는 연구와 더불어 균형에 어려움을 느끼는 환자를 위한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을 적용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중략)

  • PDF

노약자를 위한 변기 리프팅 시트 연구 (A study on the toilet lifting seat for the elderly)

  • 김민서;손혜민;조진호;김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459-464
    • /
    • 2024
  • 본 연구는 화장실 변기 사용 과정 중 일어나는 노인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변기 리프팅 시트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설계에 앞서 화장실 사용과 관련된 규정과 법률 및 국가표준을 통해 보조 기구 설치 가능 공간을 결정하였으며, 고령자의 신체 치수 및 작동 범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외부의 도움 없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변기 시트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기립 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구 작동 시 시트 상승과 각도 조절이 동시에 구현되게 복합 4절링크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Linkage 프로그램과 UG NX를 이용하여 적절한 링크 형상과 치수를 결정하였다. ANSYS Workbench를 이용한 FEA 해석 및 실제 제작을 통해 기구 작동 과정의 링크 안전성 검증 및 리프팅 시트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 박민경;김현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6-18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based on their health belief factor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given to 127 emergency room nurses from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four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LSD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ER nurs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mean of $3.78{\pm}0.50$. Eigh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 factors accounted for 30.8%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by factors, such as ER career and perceived severi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enhancing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to improv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dditi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for ER nurses who have worked in local medical institutions fo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5 years.

후향적 자료분석을 통한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중심으로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Retrospective Data Analysis)

  • 강영옥;송라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hospitalized adult patients in South Korea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by comparing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s,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Morse Fall Scale (MFS), Bobath Memorial Hospital Fall Risk Assessment Scale (BMFRAS), and Johns Hopkins Hospital Fall Risk Assessment tool (JHFRAT). Methods: A total of 120 patients who experienced fall episodes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from June 2010 to December 2013 was categorized into the fall group. Another 120 patients, who didn't experience fall episodes with age, sex, clinical departments, and the type of wards matched with the fall group, were categorized to the comparison group. Data were analyzed for the comparisons of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three tools. Results: MFS at a cut-off score of 48 had .806 for ROC curves, 76.7% for sensitivity, 77.5% for specificity, 77.3% for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76.9% for negative predictive value, which were the highest values among the three fall assessment scales. Conclusion: The MFS with the highest score and the highest discrimination was evaluated to be suitable and reasonable for predicting falls of inpatients in med-surg units of university hospitals.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Fallers)

  • 이선우;이경진;송창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on th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 Methods: Fifty on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6-88 years) with a recent history of fall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an experimental group (EG, n=25) and to a control group (CG, n=26). The EG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week for 6 weeks.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with the a computerized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screen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ic balance (center of gravity) and dynamic balance (Functional reach test, Timed "Up & Go" test, Berg balance sca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end of training.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demonstrated within the EG (p<.05), but not in the CG. Conclusion: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s.

중소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와 관련 변인 간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Fall Prevention Behavior of Registered Nurses in Small-to-Medium Sized Hospitals)

  • 박지현;손정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9-28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model to predict the fall prevention behavior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382 nurses from 13 hospitals who responded to the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model was based on previous study of fall preven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The modified model generally showed higher levels than recommended level of model fit indices and acceptable explanation. Of 17 hypothetical paths, 14 were supported. Predicting variables explained 51.6% of fall prevention behavior. The fall prevention behavior of nurses showed a direct influence of fall prevention expectations, fall prevent threat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fall prevention, and intention to prevent falls and an indirect of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ttitude toward fall prevention, and the subjective norm. Conclusion: Findings show a need to identify a range of barrier factors to increase the benefits of fall prevention behavior and enhance the perceived control of fall prevention so that nurses will be able to promote fall prevention behavior in hospitals. Also, it is critical to increa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간호·간병 통합병동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 (Effect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for Older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 심송미;김은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0-21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 related knowledge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of the elderly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Method: A quasi experimental study wi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as used. A total 62 elderly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30) and the control group(n=32).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to December, 2017.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25.0. Results: Experimental group reported higher score in fall related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t=-10.28, p<.001). Participants who viewed DVD and received the leaflet education reported higher score than those with routine admission education(t=-6.51,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ll related knowledge and fall prevention behavior(r=.21, p=.015). Conclusion: The fall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fall-related knowledge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among elderly patients. Since the DVD plus leaflet edu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evention behaviors, it might be included in routine orientation on admission for the elderly patien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고령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낙상 예방 운동유형 확인 (Identify the Type of Exercise to Prevent Falls for Healthy Elderly Life)

  • 박양선;김미예;박성원;이옥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61-373
    • /
    • 2019
  • 낙상은 노인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총체적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어떤 운동유형이 노인의 균형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인 낙상 예방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이었다. 65세 이상 80세 미만의 여성 노인들을 스텝운동집단(21명), 코어근육운동집단(20명), 통제집단(21명) 중 한 집단에 무선 할당하였고, 8주 동안, 주 2회, 회당 20~30분의 운동을 처치하였다. 운동 효과는 기능적 균형검사(한발 정적균형검사)와 자기보고식 균형검사(낙상효능감, 균형자신감)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보다 기능적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눈을 뜨고 측정하는 한발 정적 균형검사에서 스텝운동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보고식 균형검사에서도 스텝운동이 코어근육운동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운동보다 낙상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운동보다 노인의 균형 능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하지 근육의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고, 다양한 지면 변화 속에서 스텝운동을 수행하므로 낙상 발생 환경과 유사하며, 발목 고유수용성 강화에 적합한 운동유형이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위해서 노인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조사하고, 이에 기초하여 과제지향의 발목 고유수용성 감각강화 운동 중재 프로그램 및 운동 장비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도시형 생활주택신축공사의 추락재해 발생대비 모의훈련 실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 Manual for Simulation Training in Preparation for the Fall Disasters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Construction Works and Apply)

  • 김성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9-49
    • /
    • 202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0년 12월 말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산업별로 산업재해 대상이 되고 있다. 건설업별 사고사망자 수, 사고유형별 사고사망자 수, 사업장 규모별 사고사망자 수는 5~49명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대부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규모 건설현장으로 낙상사고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재해 발생을 위한 가을 모의훈련은 공공부문의 대형 건설 발주기관 위주로 실시되며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주택건설업체가 실시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 본 연구는 도시생활주택의 정의, 시공특성, 안전관리 실태 등을 분석·제시하고 추락사고 발생시 긴급구호절차 매뉴얼을 개발·확산하여 사망을 최소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