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 관련 요인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률과 관련 요인 (The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 장인순;박은옥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9-10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falls occurring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community-dwelling-elderly in Je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via in-person interviews by five visiting nurses in October, 2012. Fall risk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CDC, K-ADL, HDS-K, and G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Results: A significant number of subjects (34.1%) had experienced a fall at least once within the last six months. Living arrangements, strokes, urinary incontinence, main daily activiti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se falls. Other risk factors included heavy use of medications, difficulties in walking and standing, needing arms to stand up from a chair, and hearing loss.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 critical factors related to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se information should be used to develop and implement fall prevention programs in communities.

만성뇌졸중 환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신체기능과 낙성전조동작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unction and Prelusive Movement to Falls to Promote Wellness in Chronic Stroke Patients)

  • 박창식;김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81-19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전조 동작과 다양한 신체 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낙상 연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고 N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낙상 유무에 따른 일반의학적 특성에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BMI, 진단명, 마비 유형, 유병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보행 보조 도구 사용(독립보행, 네발 지팡이, 외발 지팡이)에서는 비낙상군이 1회 낙상군과 다발성 낙상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전조 동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일어서기에서는 STS, FM-하지 운동 기능 순이었으며, 일어서기 시도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 STS, 연령, TIS-동적 균형, OLST-마비측 순이었다. 일어선 직후 균형 잡기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이 영향을 주었고, 서서 균형 잡기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 OLST-마비측, TIS-협응력 순이었다. 살짝 밀기에서는 FM-총합이 영향을 주었으며, 서서 눈 감고 균형 잡기에서는 STS, 연령, OLST-비마비측, FM-하지 운동 기능, TIS-정적 균형, OLST-마비측, TIS-동적 균형 순이었다. 360도 회전하기에서는 TIS-협응력, FM-하지 운동 기능, FM-상지 운동 기능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전조 동작과 다양한 신체 기능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마비측 하지 근력 강화와 더불어 정상적인 보행 주기 및 체중 부하에 입각한 집중적인 균형, 체간조절, 보행 대칭성 훈련 등이 필요하며, 외적인 자극에 대한 최적의 운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고유수용성 감각 훈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빈곤층 노인여성의 노인증후군 관련요인 분석 (The Relationship Factors Geriatric Syndrome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 황혜정;이무식;김남송;나백주;배석환;노영수;홍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69-672
    • /
    • 2010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취약한 노인여성과 노인증후군 관련요인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을 규명하여 취약한 노인 여성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시 효율적인 방안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전국 보건소에 등록된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동의된 65세 이상 노인여성 1,350명을 선정하여 훈련된 조사원이 직접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충분한 29명을 제외한 1,32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 t-검정, ANOVA, 사후검정은 Tukey를 이용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들을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약과 관련 있는 노인증후군위험요인은 우울, 요실금, 낙상력, 일상적 수행활동(ADL)으로 나타났다(p<0.05). 둘째,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75세 이상의 고령일수록, 우울과 요실금의 증상이 있을 때, 최근 낙상경험이 있을 때 허약의 증가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노인증후군의 위험요인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평생 동안 담배를 5갑 이상 피웠을 때, 당뇨병이 있을 때로 나타났다(p<0.05). 이상 결과를 볼 때, 취약 노인 대상으로 노인증후군, 허약의 향상을 위해서는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뿐 만 아니라 체계적인 근력강화 운동 및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충분한 확대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지표 및 Myokine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Fall Injury Index and Myokine in Older Adults)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9-1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지표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데 있다. 근감소증은 근력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고, 기능적 상태의 감소, 활동력의 저하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끝내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산소운동은 대근을 이용한 리듬과 반복적인 동작으로 특징 지워지고 주로 유산소성 대사를 통한 산소를 에너지 이용으로 심폐체력, 체성분 및 심장과 호흡계 건강에 기여한다. 한편 저항운동은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노인들의 근력관련 체력과 기능적 수행 개선에 기여한다. 근기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꾀하는 복합운동은 노년들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은 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지방세포 감소, 골격, 근육 및 인체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 요인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고영주;하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7-174
    • /
    • 2019
  • 본 논문은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 노인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실태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3일부터 3월 29일까지 4개의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전산 의무기록을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은 83.7%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신체적 억제대 유형은 침상난간으로 93.8%의 사용률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는 낙상 위험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MMSE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로는 낙상 위험점수, MMSE, 치료기구 개수가 신체적 억제대 사용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낙상위험도가 높은 노인 환자의 경우, 인지장애가 심한 경우, 치료기구의 개수가 많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적 억제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요인을 통해 노인 환자들에게 신체적 억제대가 아닌 대안을 먼저 적용 할 수 있도록 임상간호실무는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라인댄스 운동이 여성노인들의 보행 균형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ilver Line Dance Applied to the elderly on the Balance during Walking)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8
    • /
    • 2013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적용한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이 보행 시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방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8명을 12주간의 라인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을 산출하기 위해 보행 시 지면반력 자료를 수집해 이를 기반으로 압력중심 변동 폭, 압력 중심 속도, 자유 토크를 이용했다. 연구 결과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 후 보행 시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전후 평균 속도(p<.05)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 자유 토크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라인댄스 12주 운동 프로그램 적용은 보행 시 노인의 동적 균형성 능력 증진에 일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해 실제 낙상 빈도 등과 관련시켜 운동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낙상 사고에 의한 골절로 입원한 노인 환자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Fracture from the Fall)

  • 전미양;정현철;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3-453
    • /
    • 2001
  • Purpose: To identify age, gender, medication, seasons and place of fall, and areas of the fractures from the fall among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06 elderly patients admitted into a university hospital by fractures from the fal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99 to December 31, 1999. Data on the age, gender, medication, season and place of the fall, areas of the fracture were collected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Result: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were from 60 to 96 years old. The subjects were aged between 60-69 years old 49(46.2%), between 70-79 years old 31(29.2%), between 80-89 years old 24(22.6%), and over 90 years old 2(1.9%). Male patients comprised was 34(28.3%), while female patients comprised 76(71.7%). The fall occurred in Winter most frequently 34(32%). The place of the fall included room 81(76.4%), streets 13(12.3%), bathroom 6(5.7%), stair 4(3.8%), and mountain 2(1.9%). Twenty-two subjects (20.8%) had medication regularly, while 84 subjects (79.2%) had no medication. The areas of the fracture from the fall included upper extremities 20(18.9%) and lower extremities 86(81.1%). Radius fracture (7.5%) was the area where the fractur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upper extremities and femur fracture (52.8%) was the area where the fractur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lower extremiti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acture area by age, season and place of the fall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acture area by gender and medication. In all age groups, seasons and places of the fall, occurrence of fracture in lower extrem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upper extremity.

  • PDF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Activities for Hospital Fall Prevention)

  • 이인경;최자윤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ed with nurses' prevention activity against hospital fal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25 nurses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 City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21, 2011 to March 12, 2011. The data were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ain factor associated with prevention activity against hospital fall was the attitude towards hospital fall (${\beta}$=.26, p<.001), the next one was the educational level (${\beta}$=.16, p=.002), and the last one was the frequency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beta}$=.14, p=.009). The all factors could explain 11.1% of the variance in the nurses' prevention activities against hospital fall. Conclusion: Hospital managers need to make hospital culture to enhance the nurse's positive attitude about hospital fall prevention. In addition, educators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hospital fall prevention through academic curriculum and continuing education.

여성노인들의 라인댄스 활동이 정적 직립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ilver Line Dance Effects on the Elderly Balance During Static Standing)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20-130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15주간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한 후 자세 제어와 반응 메커니즘을 관찰할 목적으로 균형성 요인을 분석해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6명이 선정되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은 정적 직립 상태에서 압력 판에서 25초 서있는 동안 압력 판의 6가지(3방향 힘, 3방향 모멘트) 자료를 수집해 이를 바탕으로 좌우 및 전후 압력중심 변동폭, 이들의 압력 중심 속도, 흔들림 면적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라인 댄스 활동 후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평균 속도(p<.05)는 크게 감소를 보였다. 또한 흔들림 면적은 라인댄스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는 큰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운동 중재 효과를 실제 낙상과 관련해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균형성 판단 요인을 신체계뿐만 아니라 전정계, 감각계 등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농촌지역 주민의 영양결핍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근감소증 가능군과의 관련성 (Nutri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ossible Sarcopenia in the Rural Elderly)

  • 김보경;이경예;서애림;김미지;서성효;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2호
    • /
    • pp.90-98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근감소증 가능군과 영양결핍 그리고 사회심리적 요인 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농촌지역 주민 중 60세 이상인 1,019명이다.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성에 포함된 변수는 영양상태, 사회심리적 요인(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 사회적 고립, 사회적 자본)이다. 근감소증의 기준은 개정된 아시아 진단기준에 따라 종아리 둘레로 의심자를 찾은 다음, 악력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영양은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인 중에서는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이 근감소증 가능군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참여는 영양결핍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근감소증 가능군과는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영양결핍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자기효능감 저하 등이 있고 영양결핍에 사회적 참여도 관련이 있어 지역사회의 근감소증 대상 보건사업에서는 이들 변수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