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동강 하류

Search Result 43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ultipurpose dam effects on flood controls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spatially propagated flood event data (홍수유출 공간 확장 자료를 활용한 홍수조절에 대한 댐의 영향 분석 - 낙동강 유역 중심)

  • Jung, Yong;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0-4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규모가 비슷한 두 개 댐의 홍수조절 경향성과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고 하류에 미친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의 안동댐과 임하댐을 선정하였다. 댐 하류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성주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의 시작은 1995년 3월로, 이를 기준으로 2010까지의 31개 홍수 사상에 대해 홍수조절 능력과 영향을 검토하였다. 홍수사상의 관측치를 기준으로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류함수법을 활용하였다. 관측치에 대한 모의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자연상태의 홍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홍수 조절에 대한 댐 영향을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의 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수위관측소의 평균저감률과 유역면적의 비와 비교하였다. 댐 운영에 따른 Resevoir Index (RI)를 활용하여 댐에 따른 하류지점에서의 영향성을 분석하였으며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한강유역에서 분석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의 유사성을 통해 다른 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Fluvial Geomorphology and Bed Elevation Changes on the Lower Nakdong and Tan Rivers using the HEC-6 Model (HEC-6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류 및 탄천의 하상변동 및 하천지형학적 변화 분석)

  • Lim, Jong-Chul;Han, Seung-Won;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03-1707
    • /
    • 2008
  •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와 골재 채취, 댐과 저수지의 건설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은 하천의 평형 상태를 파괴하고 유사이송 문제 및 하상변화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본연구의 대상하천인 낙동강 하류에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인해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하구둑 상류에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상류 수로의 홍수 통수력을 확보하기 위해 준설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한편 다른 대상하천인 탄천은 최근 들어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의 수지, 구성, 죽전지구 등 상류유역에 대규모 택지지구가 건설됨에 따라 유역의 지형학적, 수문학적 변화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평형상태인 자연하천에서의 하상변동 및 지형학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표적인 두 대상하천에 대해 HEC-6 모형을 이용하여 하상변동과 지형학적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Geographical Images of Nakdong River Region Re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현대시를 통한 낙동강 수계 지역의 지리적 이미지 연구)

  • Kim, Soo-Jeong;Cho, Chul-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4
    • /
    • pp.673-690
    • /
    • 2015
  •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ographical images of Nakdong River region re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aspect of the poetry around Nakdong River area shows the social phenomenon of population movement, economic deprivation symptoms, the Korean W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industrialization and spatial inequalities,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etry, and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etc. Second, the poetry about Nakdong River can be classified by geographical area, showing a humanistic geographical image of the sense of place, natural geographical images about geomorphology and climate, and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inally, the large number of poetry describes the beautiful terrain and the sense of place of poet, among ones targeting the upsteam of Nakdong River. The one in middle and downstream areas, however, reflected the reality and was social criticism mostly. This is because that, compares to the upstream, many large cities are distributed in the downstream area and the river becomes increasingly contaminated as it flows to the downstream.

  • PDF

Effects of Water Level Reduction in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by the Flood Plan (치수종합계획에 따른 낙동강 하구둑 부근의 수위 저감효과 분석)

  • Lee, Bae-Sung;Hawng, Man-Ha;Lee, Sang-Jin;Kang, Sh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24-1229
    • /
    • 2007
  •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막대한 홍수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는 전국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유발하였다. 낙동강 유역에서는 이 기간동안 유입유량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유입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남강유역 및 밀양강의 유입량 규모는 예년 홍수규모에 비해서 상당히 큰 유입량이 발생하여, 제방과 저수지가 붕괴되어 수많은 재산피해를 남겼다. 이에 건설교통부에서는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을 수립, 검토하여 유역의 항구적인 수해방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부근의 치수종합대책(안) 중 우안배수문의 확장방안($47.5{\times}9.2{\times}6$련)에 대하여 홍수위저감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치수방재대책수립에 만전을 기하고자 하였다.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시 선정된 수리특성분석 모형으로는 유한요소법에 기반을 둔 RMA-2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상류단의 경계조건으로는 유역종합치수계획과 동일한 200년빈도 설계홍수량 조건을 선정하였고,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낙동강 하구둑 하류 10km지점에 위치한 명지 조위관측소의 예측조위를 하류단의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최대수위 발생시간은 대조기 창조시인 약 60시간 후이고, 하구둑 우안배수문을 확장할 경우 하구둑 내측수위가 최대 약 1.32m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Trophic Structures and Energy Flows in Aquatic Ecosystem of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 수 생태계의 영양구조와 에너지 흐름)

  • Jang, Sung-Hyun;Zhang, Chang-Ik;Na, Jong-Hun;Lee, Ju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6 no.4
    • /
    • pp.292-30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ophic structures and the energy flow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using the Ecopath model (Walter et al., 1997). The sampling and analyses were carried out at 6 sampling sites of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on May and November in 2007. Total of 9 groups detritus, macrophytes, phytoplankton, zooplankton, zoobenthos, Cyprinus carpio, Hemibarbus labeo, Micropterus salmoides and other fishes were considered to assess the trophic relationship, energy flows and interactions among them in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was consisted of producers (Detritus, Macrophytes, Phytoplankton), primary consumers (Zooplankton, Zoobenthos, Cyprinus carpio, Hemibarbus labeo, Other fishes) and secondary consumer (Micropterus salmoides). The total system throughput was estimated at 2.7 kg m$^{-2}$ year$^{-1}$ including a consumption of 52%, exports of 9.1%, respiratory flows of 18.0% and flows into detritus of 20.9%. MTI (mixed trophic impacts) analysis demonstrated that Pseudobagrus fulvidraco had positive impact on Cyprinus carpio, Carassius cuvieri and Carassius auratus. On the other hand, other fishes had negative impact on Cyprinus carpio, Carassius cuvieri and Carassius auratus. Also, all the functional groups except detritu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mselves.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Nakdong River due to Restoration Project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수질 변화 예측)

  • Kim, Min-Ae;Seo, Dong-Il;Bae, Soon-Y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8-218
    • /
    • 2011
  • 낙동강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8개의 보(상주보, 낙단보, 칠곡보, 강정보,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가 하천 내에 건설되고 약 4억톤의 준설이 실시되면서 지형적으로 막대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낙동강은 상류의 안동댐 및 임하댐에서 방류수, 중류의 구미 및 대구 등의 오염원 그리고 하류의 남강에 의한 영향 및 낙동강 하구언에 의한 정체에 의한 영향으로 지역적으로 수질 및 수리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낙동강에 건설되는 수중보들 또한 이러한 유입 및 경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질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발생 가능한 악영향에 대한 대안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4대강 사업에 의한 지점별 및 시기적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 EFDC와 수질모델 WASP을 연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동댐 방류지점에서 낙동강 하구역까지의 총 334km의 지역을 포함하였으며 하천의 폭 방향, 수심방향 및 흐름방향에 대하여 3차원으로 격자를 구성하여 하천을 표현하였다. 수리 및 수질 보정에 필요 한 입력자료는 국토해양부 및 환경부 등에서 발표 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07년을 기준으로 모의를 실시하였다.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한 8개의 보 건설 및 낙동강 전역의 준설의 영향을 예측하여 사업 전 및 사업 후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사업 후 체류시간의 증가와 준설로 인한 수심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수질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후 낙동강의 각 수중보 출구 부근 지점에서 예측된 수질 특성은 사업전에 비하여 $BOD_5$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나, TN 및 TP 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hl-a 농도는 상류와 중류에서는 체류시간의 증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수질이 양호한 상류 지역에서 특히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언 지역은 Chl-a 농도가 사업에 의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여타 구간과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동강 하류의 Chl-a 농도가 이미 매우 높은 상태에서 체류시간에 의한 성장 촉진 보다는 수심증가로 인한 광량제한 효과가 더욱 지배적으로 나타난 것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 PDF

Water Quality Forecast in the Mulgeum Using WASP 7.2 and Forecasted Zooplankton (WASP 7.2와 예측된 동물성플랑크톤을 이용한 물금의 수질예측)

  • Choi, Jung-M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79-1683
    • /
    • 2008
  • 낙동강 하류지점인 물금은 2003년${\sim}$2005년의 대부분이 부영양화의 기준을 넘고 있다. 하구둑 건설이후, 담수화 된 하구둑 상부에서는 부영양화가 가속화되었다. 수질의 악화는 물론 강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까지 초래되었다. 지난 $7{\sim}8$년 간 낙동강 하류 지역은 갈수기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의 대거 번성으로 인한 부영양화로 연중 심각한 수질 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WASP 7.2 모형과 예측된 동물성플랑크톤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하류 지역인 물금의 부영양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2005년의 관측값을 초기조건으로 고정하고 DO, $NO_3$-N, $PO_4$-P, 기상청에서 예보되는 기온을 사용하여 동물성 플랑크톤을 신경망 모형으로 예측한 뒤, 수온 대신 기상청의 기온을 입력하여 $1{\sim}3$일 후의 단기 수질을 예측하였다. 부영양화 예측결과와 2005년의 월별 수질 관측값을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sim}3$일 후의 예측결과 수질항목 중 부영양화의 기준이 되는 클로로필-a, 총 질소, 총 인의 경우는 예측기간 모두 관측값에 적합하게 모의되었다. WASP 7.2 모형의 수질항목 관측자료를 초기값으로 입력하고, 예측된 동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와 기상청에서 예보되는 기온을 사용한 수질모의는 낙동강의 단기 수질예측에 유의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truction of hydraulic flood prediction model for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수계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 구축)

  • Lee, Jae Yeong;Kim, Ji Sung;Kim, Tae Hyung;Choi, Kyu Hy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4-394
    • /
    • 2020
  •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슈퍼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4대강 사업을 통해 주요 국가하천에 대한 정비를 마친 바 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하천 환경에 대한 홍수예측 모형의 반영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및 지류의 최신 단면자료를 수집하여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모형에 비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적용성을 검증하고 이를 반영한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류에 대한 최신 횡단면 측량자료를 활용하여 1차원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2012년 태풍 산바 사상에 대한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대상구간은 안동조정지댐으로부터 낙동강 하구둑 하류 8km지점이며, 상류단 경계조건은 안동조정지댐 방류량을 입력하고 하류단 경계조건은 가덕도 조위관측소의 조위를 활용하였다. 또한, 반변천, 내성천, 위천, 감천, 금호강, 황강, 남강 등 7개 지류에 대한 하도를 하도추적이 가능한 네트워크 모형으로 구축함으로써 지류에 대한 홍수예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낙동강 본류의 하도 길이는 340km, 824개의 단면으로 구성하였으며, 지류를 포함한 전체 하도 길이는 572km, 1,570개의 단면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낙동강 본류에 위치한 8개의 다기능보와 지류에 위치한 횡단구조물의 반영을 위해 다기능보의 제원 및 하천기본계획을 참고하여 내부경계조건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낙동강 본류 및 지류의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낙동강 유역에 대한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 등 홍수특보 발령 업무에 활용함으로써 정확한 홍수예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nalysis on Change of Nakdong River Water-column Mixing by Nam River Inflow (남강유입에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 분석)

  • Han, Eun Jin;Kim, Young Do;Lyu, Siwa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68
    • /
    • 2017
  • 남강은 낙동강 우안으로 합류되는 지류로 남강댐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강댐 하류의 하천은 댐 방류량이 남강 유량에 지배적인 하천이다. 낙동강에 우안에서 합류되는 제 1 지류인 남강은 하폭 대 수심비가 비교적 큰 하천이며 유량 또한 비교적 많은 편이다. 이러한 남강이 낙동강 본류에 유입되는 과정에 낙동강 본류 수체에서는 혼합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혼합의 변화를 관측하고자 현장계측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남강의 유입에 따른 낙동강 본류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남강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남강의 유량의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rophic Structures and Energy Flows using the Ecopath Model in the Lake Namyang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Ecopath 모델을 이용한 남양호와 낙동강 하류 생태계의 영양구조 및 에너지 흐름 비교)

  • Jang, Sung-Hyun;Lee, Ju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5
    • /
    • pp.747-75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rophic structures and the energy flows in the Lake Namyang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using the Ecopath model. The sampling and analyses were carried out at 6 sampling sites of the Lake Namyang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respectively on March and November in 2007. As a result, the Lake Namyang was consisted of producers(Detritus, Macrophytes, Phytoplankton), primary consumers(Zooplankton, Zoobenthos, Carassius cuvieri, Carassius auratus, Other fishes) and secondary consumer(Cyprinus carpio, Pseudobagrus fulvidraco)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was consisted of producers(Detritus, Macrophytes, Phytoplankton), primary consumers (Zooplankton, Zoobenthos, Cyprinus carpio, Hemibarbus labeo, Other fishes) and secondary consumer (Micropterus salmoides). The food-chain length of the Lake Namyang was relatively short when compared with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The shortness of food-chain length in the Lake Namyang could be attributed to the low biomass of the top predators. The total system throughput of the lake Namyang was estimated at 14.3 kg $m^{-2}\;year^{-1}$ including a consumption of 39.0%, exports of 21.0%, respiratory flows of 12.0% and flows into detritus of 28.0% and the total system throughput of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was estimated at 2.8 kg $m^{-2}\;year^{-1}$ including a consumption of 52.0%, exports of 9.1%, respiratory flows of 18.0% and flows into detritus of 20.9%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