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동강 중류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낙동강수계 영강의 어류군집구조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Yonggang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 채병수;남명모;양홍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76
    • /
    • 1998
  • 낙동강 중류의 1차지류인 영강의 어류상과 서식상황을 1997년 4월에서 11월까지 18개 조사지정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조사의 결과, 모두 10과 24속 32 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그 중 잉어과 어류가 17종(53.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기름종개과 어류가 5종(15.6%), 메기과와 꺽지과 어류가 각각 2종, 그리고 나머지는 1종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Gobiobotia naktongensis를 비롯한 13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40.6%를 차지하여 매우 높은 고유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천 전체로 보면 Zacco temmincki(32.78%)와 Moroco oxycephalus(15.10%)가 우점종이었으며, Zacco platypus, Pungtungia herzi, Niwaella multifasciata, Odontobutis platycephala의 4종은 보통종이었다. Lampetra reissneri,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Microphysogobio koreensis, Gobiobitia naktongensis, Cobitis rotundicaudata, Nemacheilustoni, Silurus asotus, Silurus microdorsalis, Siniperca scherzeri 및 Oreochromis niloticus의 11종은 상대풍부도가 0.1% 미만인 희소종이었다. 하천의 구배에 따른 지역별 종조성을 보면 상류에서는 Moroco oxycephalus, 중상류에서는 Zacco temmincki와 Moroco oxycephalus, 중하류에서는 Zacco temmincki와 Niwaella multifasciata, 하류에서는 Zacco platypus와 Microphysogobio속 어류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군집구조의 분석은 용암천의 중류인 St. 11과 본류의 중류인 St. 15와 최하류인 St. 18의 3개 지점이 가장 안정되고 다양한 군집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조령천의 최상류인 St. 1, 5, 7은 소수의 어종이 지배하고 있는 다양성이 낮은 군집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Main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 조가익;주기재;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23-238
    • /
    • 2001
  • 낙동강 본류 및 지천을 중심으로 20개 지점에서 1999년 7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지점별 3${\sim}$7회에 걸쳐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7과 48종 4,791개체가 채집되었다. 잉어과 (25종: 상대풍부도 (RA), 91.8%)가 우점하였으며, Zacco platypus (RA: 18.0%)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Opsariichthys bidens (17.1%),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13.2%), Hemibarbus lab대 (9.9%), Z. temmincki (8.2%)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종중 한국고유종은 모두 12종으로 나타났다(4과, 1,172개체 , 24.5%). 외래도입종은 Carassius cuvieri (25개체), Micropterus salmoides (214개 체), Lepomis macrochirus (14개 체), Oreochromis niloticus (6개체) 등 4종이 채집되었다. M. salmoides는 낙동강의 중류와 하류부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 결과 세집단으로 나뉘었으며, St. 10(구미)부터 하류집단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 후반 낙동강에 유입된 M. salmoides는 하류부에서 급격히 그 수가 증가하였다(하류 RA 8.8%). M. salmoides의 섭식은 Daphnia sp.가 일반적이었으며 (<100 mm), Cladocera (< 150 mm)와 Insecta (< 200 mm)는 특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천 퇴적물 중 PCBs 농도분포 및 발생원 해석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River Sediment)

  • 김영호;오정근;김종국;김경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995-1000
    • /
    • 2010
  • 하천 퇴적물 중 PCBs 농도수준 파악과 발생원 추정을 위해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21개 지점을 선정하고 지점당 3개씩 총 63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퇴적물 표층에서 검출된 DL-PCBs 농도분포는 3.0~6,600(평균440) pg/g-dry의 범위였고 TEQ값은

2차원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중류구간의 하천흐름 해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Reaches of Nak-Dong River using 2-Dimensional Numerical Analyis Model)

  • 한성대;최현;안창환;이제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2-1736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a river flow analysis are significant for river maintenance plan. At the present time, HEC-RAS,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mainly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 of a river flow. The shape of a river is somewhat in longitudinal linear form. It was suspected that the usage of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more economical.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models and computers are possible to calculate large volume. Hence, it is possible to adapt the analysis of the key stations by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The limitation of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that it is hard to evaluate structure affection of numerical simulation by energy loss coefficient at river structure analyzing. When adaptation of th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n river structure ensues, it takes more objective analyzing than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flow affection by river structur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consults with the different structure posi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water depth of shape and scope in vertical flow.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is possible to simulate with only energy loss coefficient for sudden river section changing, sudden waterway changing by curved.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use original geographical features. So the model removes technical subjectivity of faulty judgment. It is an objective analysis.

  • PDF

참갈겨니, Zacco koreanus(잉어과)의 NE형과 NS형의 서식처 분리 (Habitat Segregation between NE and NS Type of Zacco korean us (Cyprinidae))

  • 채병수;윤희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55
    • /
    • 2010
  • 참갈겨니 NE와 NS형의 서식범위 내에서 두 형이 공서하는 지점을 조사한 결과 낙동강과 섬진강의 각 지류의 상류지점, 남해로 흐르는 일부 하천에서 발견되었다. 두 형이 공서하는 하천에서의 분포양상은 NE형은 상류 지역에 NS형은 중류 지역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중간 지역에서는 같은 지점에서 동시에 출현하였으나, NE형은 여울에 NS형은 웅덩이 또는 흐름이 느린 곳에서 주로 서식하는 서식처 분리현상을 나타내었다. 유속과 출현개체수의 관계는 공서지에서는 유속의 증가에 따라 NE형은 개체수가 증가하는 반면 NS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각각 단독으로 존재하는 곳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낙동강 중류 지역의 통합적 유역환경평가 및 유형화 (An Integrated Watersh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the Mid-Nakdong River Region)

  • 정성관;박경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3호
    • /
    • pp.137-151
    • /
    • 2004
  • Many of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gional in scope and their effects overlap and inte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d a simple method for an integrate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cross the Mid-Nakdong River Region, by combining data on land use, impervious cover, roads, streams, riparian areas, forest patches, population, pollutant loadings, soil erosion and topography. A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groups of sub-watershed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mean value for each group was used to find watershed that may be more vulnerable to future environmental degradation. Watersheds in cluster I and II had high amount of forest, but the amount of riparian vegetation was low. Watersheds in cluster III, which located in the middle Geumho River and the main course of Nakdong River, had a greater proportion of their agriculture, a greater proportion of agriculture on steep slopes, and less forest adjacent to streams. Watersheds in cluster IV and V were in the most urbanized areas of the region. The principal adverse impacts for watersheds in this group were high scores for urban area, impervious cover, pollutant loadings, population density, forest fragmentation, and low amounts of forest and riparian forest cover. Notwithstanding the exploratory nature of cluster analysis, it appears to be a useful tool for grouping watershed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붕어에서의 납, 카드뮴과 아연의 함량 (Contents of Lead, Cadmium and Zinc in Bone, Muscle and Fin of Carassius carassius from Middle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김두희;김용구;장봉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07-319
    • /
    • 1988
  • 낙동강 중류의 수질과 그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와 납, 카드뮴 및 아연과의 관계를 붕어를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한 표본은 비교적 갈수기라고 인정되는 3월 초순에 안동댐, 낙동교, 왜관, 강정, 개포 인근 그리고 낙동강의 주 오염원이 되는 금호강에서는 팔달교 부근에서 채취하였으며 수중 중금속 및 조직 중 납, 카드뮴과 아연은 원자흡광분광광도계(IL-551)로 분석하였다. 낙동강의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올수록 납, 카드뮴, 아연 함량은 증가하였고, 팔달교 부근은 강정 상류보다 $3{\sim}5$배 더 높았으며 이는 낙동강과의 하류지점에서 약 40km 하류에 위치한 개포의 수질보다 약 1.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붕어의 뼈, 근육, 지느러미 중의 납, 카드뮴 함량도 상류에서 포획한 것보다 하류에서 포획한 것이 많았다. 강정을 포함한 상류보다 오염수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개포 및 팔달교 근처의 붕어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붕어의 뼈조직 중 납, 카드뮴, 아연의 함량은 조사 전역에 걸친 그들 수환경보다 각각 $771{\sim}2,856$배, $188{\sim}564$배, $663{\sim}1,327$배이었으며 근육에서는 각각 $170{\sim}516$배, $62{\sim}169$배, $247{\sim}389$배이고 지느러미에서는 각각 $484{\sim}1,770$배, $122{\sim}360$배, $509{\sim}983$배 이었다. 이들 붕어의 성장 햇수별 납, 카드뮴 및 아연 함량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했으며 각 수역에서의 동일 연령군까지 비교했을때는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많았다. 팔달교에서의 $0{\sim}1$세군에서의 뼈 중 납의 함량은 개포의 $4{\sim}5$세군과 근사하며 강정 상류의 $3{\sim}4$세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요약하면 낙동강은 금호강의 탁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오염 수역에서 포획한 어군은 비오염수역의 어군보다 중금속 함량이 유의하게 높으며 성장 햇수가 많아짐에 따라 중금속 함량은 높다는 것을 알 수있다.

  • PDF

Chlorophyll-a의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한 녹조발생 우심지역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Algal Monitoring Points by Histogram Analysis of Chlorophyll-a)

  • 이새로미;안창혁;박재로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hlorophyll-a (Chl-a)값을 빈도분석인 히스토그램(histogram)을 통해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을 분류 하고자 하였다. 누적도수분포곡선(ogive curve)에 따라 지점별 녹조발생정도를 분석하였고, 히스토그램의 형태에 따라 관리지점을 3단계로 분류하였다. 4대강 중 한강에서 저농도의 Chl-a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금강과 영산강 지점에서 높은 농도의 Chl-a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히스토그램의 패턴에 따라 녹조의 관리 정도를 분류 할 수 있었는데, 한강의 경우 집중관리가 필요한 지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금강과 영산강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녹조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동강은 중류 및 하류 지점부터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빈도분석이 녹조발생의 우심지역 판단의 보조지표 활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새로운 평균하상 개념과 낙동강의 하상 변동 경향성 분석 (New Concept of Average River Bed and General Trend of River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 류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86-494
    • /
    • 2011
  • 유역이나 하천의 변화에 따른 하상의 상승이나 하강은 하천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천의 하상 변동을 분석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의 변화이다. 이 때 평균하상고는 계획 홍수위에 대한 하상의 평균이다. 본 연구는 하상 변동 분석에서 기존의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지적하고, 연평균 홍수위에 대해 하상을 평균하는 새로운 평균하상고 개념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낙동강의 1983년, 1993년, 2005년의 3개년의 하상 자료를 이용하여 하상 변동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에서는 1983~1993년 사이에는 대규모 하상 저하는 없었으나, 1993~2005년 사이에는 상당한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1993~2005년 사이에 중류부인 120~200 km 구간에서는 평균적으로 2~3 m, 최대 5 m 정도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고, 그 상류부인 200~240 km 구간에서는 1~2 m 정도의 비교적 작은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내성천 합류점보다 상류 구간 (240 km 이상의 구간)에서는 하상 상승과 하강은 거의 대부분 국부적인 현상에 머물고 있으며, 대규모 하상 변동이 없다. 이러한 낙동강 하상 저하의 주 원인은 대규모 골재 채취임을 밝혀내었다.

낙동강 중류 수계에 있어서 Alkylphenol Polyethoxylate의 오염원과 잔류특성 (Sources of Alkylphenol Polyethoxylate and their Fate in the Central Nakdong River Basin)

  • 이세한;이순화;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77-1284
    • /
    • 2005
  • 낙동강중류에 있어서 APE(Alkylphenol Polyethoxylate) 및 APE의 분해산물인 NPnEO(Nonylphenol polyethoxylates), NPnEC(Nonylphenol carboxylic acid), NP(Nonylphenol)의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각 지점에 있어서 APE의 농도분포는 낙동강과 금호강에서는 $0.62{\sim}11.70\;{\mu}g/L$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공장폐수 및 가정하수가 유입되는 3공단천과 달서천에서는 $70.00{\sim}212.50\;{\mu}g/L$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 APE는 생물분해와 흡착 등에 의해 87%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APE의 분해생성물인 NPnEO와 NPnEC는 생물처리에 의해 NP($n=4{\sim}10$)EO 및 NP($n=4{\sim}10$)EC가 NP($n=1{\sim}3$)EO 및 NP($n=1{\sim}3$)EC로 분해 혹은 슬러지 등에 흡착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천에서는 하류지역이 상류지역보다 생물분해가 덜 진행된 NP($n=7{\sim}10$)EO의 분포분율이 높았다. 따라서 하수처리장과 같은 점오염원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어진다. APE의 최종 분생생성물인 NP는 공장폐수 및 가정하수에서 각각 $4.33\;{\mu}g/L$, $1.70\;{\mu}g/L$를 나타내었고, 하수처리장에서 평균 90%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천에 있어서 NP의 농도는 미국 및 유럽에서 환경유해농도로 규정하는 $1.0\;{\mu}g/L$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0.1\;{\mu}g/L$ 이상 전 지역에서 검출되어 NP의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