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지침식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oil erosion and sediment in the construction area (도로공사지역의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

  • Park, Sang-Deog;Ji, Min-Gyu;Shin, Seung-Sook;Kim, Ho-Sup;Lee, Jong-S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60-1763
    • /
    • 2010
  • 산지환경급변지역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다량의 토사유출은 하천유역내 사회기반시설을 파괴하는 재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환경급변지역 중 인위적인 지표교란 지역으로 대표되는 도로공사지역을 선정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6월, 7월, 8월의 강우사상별 강우에너지와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강우에너지가 커질수록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토양침식 조사를 위한 조사구에서 토양침식량은 식생요인과 관리상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는 강우에너지 증가에 따라 토양침식량이 증가한다. 도로공사지역에서는 심각한 지표교란뿐만 아니라 선행강우, 세류의 존재 여부, 그리고 외부적 요인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강우에 대해서도 다량의 토양침식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란이 발생하지 않은 인근 산지의 대조구와 공사에 의한 교란 나지사면 조사구를 비교해보았을 때, 평균 토양침식량은 약 7,352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섬유매트처리 및 사면포장처리 조사구처럼 인공적인 관리를 수행한 조사구와는 약 132배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인공적인 관리를 수행한 조사구는 지표사면관리의 영향과 야생종의 유입으로 지표가 안정되어 나지사면 조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토양침식이 발생하였다. 이는 지표교란이 심한 공사활동 지역에서는 지표특성에 따른 적합한 사면 응급처리 기법의 적용이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soil erosion from steep slope of sandy loam (사양토 급사면의 토양침식 특성)

  • Hwang, Yoonhee;Park, Sang Deog;Shin, Seung Sook;Yoon, Yun Min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7-137
    • /
    • 2017
  • 우리나라는 산지가 64%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침식 위험성이 큰 급경사지가 많다. 산지사면 토양은 대부분 사질토와 사양토로 이루어졌다. 급경사면에서의 토양침식이 많이 발생함에도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양토로 구성된 나지사면에 대한 토양침식 특성을 파악하고자 강우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모의 실험의 강우강도는 전국의 확률강우분포 3~200년 빈도의 30분 강우강도인 60mm/hr~130mm/hr의 범위였다. 사면경사는 급경사지 범위을 대표하는 $24^{\circ}$$28^{\circ}$에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발생하는 지표유출과 지표하유출를 수집하여 측정하였으며, 지표표면에 잉크를 뿌린 다음 실험을 동영상 촬영하여 속도를 측정하였다. 지표유출량을 건조로에 넣고 건조시켜 토양침식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강우운동에너지는 광학디스트로메터(Pasive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강우운동에너지를 측정한 결과 $800J/m^2{\sim}1700J/m^2$ 범위였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지표유출량과 토사유출량은 증가하였다.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토양침식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지표하유출량은 강우강도와 경사가 증가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강우 발생이 멈추면 즉시 감소하였다. 사양토의 점토성분이 강우의 침투를 저해하고, 모래보다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그러나 사질토보다 토양입자가 작은 사양토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토양침식이 발생하였다. 강우에너지가 증가하면 유사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강우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의 증가율에 비해 토양침식량의 증가율이 작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한라산 아고산 초지대 나지의 확대속도와 침식작용)

  • Kim,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6 s.117
    • /
    • pp.657-669
    • /
    • 2006
  •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were observed at Janggumokoreum(1,710m) and Minoruem(1,600m) in order to clarify some characteristics of turf exfoli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The bare patches have marginal terrace fronts with a maximum height of 85 cm. The terrace risers usually develop an overhanging edge 2 to 38 cm long that eventually hangs down and protects the riser beneath. The patches are largely covered with angular pebbles and cobbles. The mean rate of riser retreat for the period 2002-2004 is 39.2 mm, equivalent to 19.6 mm/yr. However, there is a disparity of the rate of riser retreat at individual sites. The maximum rate is 131 mm measured at Janggumokoreum patch while the minimum rate is 0 mm at Minoreum patch. The rate of riser retreat also varies with seasons. The thawing season of April exhibits a maximum rate of retreat. The freezing season of October and November and the rainy season of June and July show relatively high rates of retreat. Several Processes such as frost action, aeolian deflation, rainwash, rainsplash and fauna activity cause the denudation of bare patches. In particular, the needle ire action which is combined with rainwash or deflation plays a primary role in turf exfoliation due to the diurnal freeze-thaw cycles occurred over 100 days, melted snow and strong wind in the subalpine zone of Mt. Halla. Rainwash is also an important contributing process in the rainy season because Mt. Halla has the highest precipitation in Korea. By contrast, rainsplash erosion has a minor effect on the bare patch denudation due to the overhanging edge of terrace risers. Recent increase in roe deer appears to be responsible for turf destruction.

Analysis of soil loss using a physics-based model (물리기반 침식모형을 활용한 토사유출량분석)

  • Min Geun Song;Min Ho Yeon;Nguyen Van Linh;Gi H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1-231
    • /
    • 2023
  • 토양침식은 지표의 토양이 바람이나 물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되는 자연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물에 의한 토양침식이 발생하며 특히 단기간 집중적으로 내리는 강우에 의해 토양침식이 일어난다. 토양의 침식현상은 농경지 유실, 하공구조물에서의 퇴적토 발생, 수질 오염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강우의 빈도 및 강도 증가는 토양침식에 의한 피해를 증가 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경험적 방법에 의해 개발된 범용토양유실공식인 USLE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연간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기 위해 개발된 USLE모형은 강우기간이 짧고 강우강도가 높은 집중호우와 같은 단기 강우사상을 모의할 수 없고 모든 지역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단기 강우사상을 고려할 수 있는 물리기반 침식모형인 SSEM모형을 활용하였다. SSEM모형은 운동파 방정식의 수치해석과 물리적 기반 접근방식을 통해 토양침식과정을 계산하여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침식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의암댐유역 선정하였으며, 지형 및 강우 그리고 댐자료 등 기초자료 수집과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 대상에 대한 토양침식량 산정 및 매개변수 추정과 보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결과 다른 토지이용에 비해 농경지와 나지에서 많은 침식이 일어나며 도심지에서의 퇴적이 발생하였다.

  • PDF

Status of Damage and Restoration Planning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Seoul, South Korea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훼손 실태 및 복원방안 연구)

  • Han, Bong-Ho;Ki, Kyong-Seok;Noh, Tai-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923-9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argeting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in Seoul of South Korea, whose level of visitation and use pressure has been recently increasingly high, was to understand distribution and damage status of forest trail and accordingly, set up direction of how to improve forest trail in urban area. With regards to current damage on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the damaged trail with road width of over 2m and with erosion depth of over 30cm amounted to 20.3% and 36.3% respectively. And the trail section with bare land erosion, root exposure or rock exposure and the section whose impact rating class exceeded IV occupied 47.0% and 70.6%, indicating the forest trail was severely damaged. The severely injured trail route mainly included the main forest trail formed along the main ridge, the byroad connected to the main forest trail and the steep forest trail in low-lying a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ve types of restoration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were offered, including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closing forest trail and maintenance. Ecological restoration was additionally offered. The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was planned to prevent expanded width of forest trail where bare land was exposed. The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was planned to prevent erosion in the forest trail and exposure of roots. Th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was planned in a way to protect the severely damaged forest trail surface by using wood deck and wood stairs and surfacing the road.

The effect on interrill erosion of the surface cover to control raindrops impact (강우입자 충돌을 제어하기 위한 지표커버가 세류간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

  • Shin, Seung Sook;Nam, Myeong Jun;Lee, Seung Kyu;Park, Sang 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8-448
    • /
    • 2015
  • 급경사면의 세류간 토양침식은 지표면과의 강우입자 충돌에 의한 튀김현상과 면상흐름에 의한 토사이송 능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강우운동에너지와 면상흐름이 세류간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 발생에 있어서 상대적인 기여도에 대한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현상을 재현할 수 있는 강우모의 실험장비와 사면 토양침식 실험을 위한 소규모 토양플롯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강우모의에 의한 강우운동에너지는 자연강우의 운동에너지 산정식의 계산결과와 비교했을 때, 약 0.58배의 규모를 재현했다. 강우입자의 충돌을 제어하기 위한 스트립을 토양플롯에 올려놓은 경우와 커버가 없는 나지상태에서 강우모의 실험을 한 경우 사면에서 발생한 지표유출수, 지표하유출수 및 토사유출 자료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은 증가하고, 지표하유출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지표커버는 지표유출의 첨두유량 발생시간을 지연시켰으며, 지표유출량과 지하수량의 변화를 초래했다. 지표커버에 의해 지표유출량은 평균 1.82배 감소하지만, 토사유출량은 평균 4.93배로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단위수류력과 토사유출량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우운동에너지는 토양입자의 튀김현상에 의한 침식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지표유출수의 유속을 증가시켜 토사이송능력을 가중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Turfgrasses to Prevent Soil Erosion (잔디류가 토양유실 방지에 미치는 영향)

  • Ahn, Byung-Goo;Choi, Joon-Soo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2 no.4
    • /
    • pp.381-386
    • /
    • 2013
  • Recent climatic changes by global warming include increased amount and intensity of rainfal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possible roles of turfgrasses to reduce the impact of climatic changes, especially surface soil erosion. Soil erosions by intensive rain were measured after each significant precipitation from the artificially sloped plots of zoysiagrass, cool-season grass mixture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and other typical korean summer crops. Sodded zoysiagrass resulted in minimal annual soil erosion followed by strip-sodded zoysiagrass and cool-season turfgrass mixture while dry-field rice and bean cultivations eroded the surface soils of 5 to 10 MT $ha^{-1}yr^{-1}$ and pepper cultivation resulted in 7 to 14 MT $ha^{-1}yr^{-1}$ annual loss of surface soil. Annual loss of surface soil from bare land with hand weeding was up to 18 MT $ha^{-1}yr^{-1}$ while greatly reduced soil erosion was observed from weed grown treatment.

A Study on the injury of Trails of Nak-young Mt in Song-ni Mt National Park (속리산국립공원내 낙영산 탐방로의 훼손실태에 관한 연구)

  • 안태원;강현진;정정희;김명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5.04a
    • /
    • pp.41-47
    • /
    • 2005
  •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에 위치하고 있는 낙영산탐방로에 대하여 탐방로 관리와 공원관리에의 기초적인 자료제시를 목적으로 낙영산 탐방로 3곳에 대한 통행량 조사와 탐방로에 대한 훼손존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서 낙영산을 찾는 등산객은 대부분 공림사를 통해서 낙영산정상을 경유 매표소로 내려오는 비정규 탐방로를 이용하여 있었으며, 이를 분석해본 결과 주차장문제와 탐방객극 인식과 홍보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림사$\~$낙영산구간에 대한 훼손이 대단히 심각한 상태이며 뿌리노출이 가장 흔한 훼손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낙영산탐방로의 평균 나지폭은 2.6m이며, 평균최대침식깊이는 1.25m이며 종속변수인 침식에 대한 각 요인별 회귀분석결과 경도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입장객과 물매와는 양의 상관관계나 나타났다. 이는 탐방객의 홍보를 통한 인식의 변화와 탐방객의 입장에서의 적절한 탐방로의 지정과 출입통제와 현재 훼손된 지역에 대한 노면정비와 훼손지복구를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Effects of Vegetation Recovery for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in Burned Mountains, Yangyang (양양 산불지역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회복의 영향)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Cho, Jae Woong;Lee, Kyu S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B
    • /
    • pp.393-403
    • /
    • 2008
  • Whil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coverage were surveyed, also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for each rainfall event were measured to analyze effect of change of land cover conditions in mountain areas, Yangyang, directly after wildfire. Fifteen rainfall events were taken in total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result of this survey appeared that the amount of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are a great difference between plots with rapidly recovered vegetation and bare plots after wildfire. The burned plots where vegetation recovered rapidly generated two times or more of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than control plots, as burned plots with bare soil showed about ten times of surface runoff and sediment than control plot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in parameters of the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presented that rainfall factors and veget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unoff and soil erosion. The sensitivity of runoff and soil erosion showed 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vegetation indices. If the land surface disturbed by wildfire are recovered by natural vegetation as time passes, runoff and soil erosion may be decreased gradually. Because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areas with rare vegetation or bare soil are generated continuously, the discriminated mediation strategies would be established as condition of each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