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이론섬유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Preparation of Nylon Elastomer and Its Application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나이론탄성체 제조와 전기방사응용)

  • Park, Jun-Seo;Ketpang, Kriangsa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4 no.3
    • /
    • pp.274-281
    • /
    • 2009
  • Nylon 6 and nylon elastomer were prepared by anionic polymerization route. Nylon elastomers, composed of hard segment of polyamide(PA) and soft segment of polyether(PE), were synthesized by use of TDI terminated polyol with caprolactam. The morphology of the electrospun webs of nylon and nylon elastomers, observed by FE-SEM, showed that the porous electrospun web was composed of nanofibers, whose diameter were in the range of 100 to 180 nm. Their behavior of melting and crystallization 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nylon elastomers were investigated by DSC and ATR FT-IR. Result of tensile testing indicated that nylon has higher tensile strength and lower elongation than nylon elastomers. Atmospheric plasma(APP) with $O_2$ and $N_2$ as reactive gas modified the surface of electrospun nylon and electrospun nylon elastomers allowing them higher hydrophilicity, while APP with $CH_4$ as reactive gas modified the surface of polymers allowing higher hydrophobic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tocking knitted with Silk/Nylon Compound Yarn (견과 나이론 복합사 스타킹의 품질 특성)

  • Kim, Yeong-Dae;Kim, Nam-Jeong;Song, Gi-Eon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6 no.1
    • /
    • pp.58-61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tocking knitted with silk/nylon(S/N) compound yarn. In SEM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most part of S/N stocking was well interlaced between silk and nylon yar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N stocking and nylon stocking in shrinkage at warm water and compressive resilience. The suction height and absorbability of S/N stocking was 4~8 times and 3 times higher than that of nylon stocking,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wearing test survey, most of wearers answered that the warmth, the hand and the feeling cool of S/N stocking were better than those of nylon stocking but reversed in elasticity, and they gave sprit opinion on durability responding good impression in total feeling of S/N stocking.

  • PDF

Effect of Reinforcing Fibe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of Porous Concrete with Hwang-toh (황토를 포함한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약품성에 미치는 보강섬유의 효과)

  • Lee, Jin-Hyung;Park, Chan-Gi;Park, Jong-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2A
    • /
    • pp.105-113
    • /
    • 2011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fiber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solution resistance of porous concrete with fiber type (jute, pulp, PVA and nylon fiber) and fiber volume fraction (0.0%, 0.1%, 0.2%, 0.3%). The tests that were carried out to analysis the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included compressive strength, void ratio, pH value, and chemical solution exposure with varying type and volume fraction of fiber were conducted. The type and volume fraction of fiber also affected the void ratio,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chemical solution exposure. Increased volume fractions of fiber resulted in improved properties of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void ratio.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H value and chemical resistance of porous concrete with fiber type and volume fraction was not significant.

Spalling Properties of 60, 8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ber (복합섬유(PP, NY)를 혼입한 60, 80MPa 3성분계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특성)

  • Kim, Seong-Deok;Kim, Sang-Yun;Bae, Ki-Sun;Park, Su-Hee;Lee, Bum-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4
    • /
    • pp.3-9
    • /
    • 2010
  • Fire resistance and materi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W/B 21.5%, 28.5%) with OPC, BS and FA were tested in this study. Main factors of the test consisted of fiber mixing ratio and W/B. Two types of fiber (NY, PP) mixed with the same weight were used for the test. The fiber mixing ratios were 0%, 0.05%, 0.1%, and 0.2% of the concrete weight. After performing the test, Under the W/B level of 21.5% and 28.5%, the spalling was effectively resisted by using the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ber mixing ratios of 0.05%~0.1%. Compressive strength, flowability and air content are similar those of the fiberless high-strength concrete with the same W/B.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zo Disperse Dyes Containing Ethyleneimine Derivatives (III) - Application to Microfibre Polyester and Nylon 6.6 Fabrics - (에틸렌이민 유도체를 갖는 아조계 분산염료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III) -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6.6 극세사 섬유에의 응용 -)

  • Sunwoo, Kong Hyun;Burkinshaw, S M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8 no.6
    • /
    • pp.9-26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에틸렌이민 유도체를 갖는 아조계 분산 염료의 나일론 6.6 섬유에의 응용과 최적화된 폴리에스테르 및 나이론 극세사 섬유 염색 조건의 확립이다. 세가지 아지리디닐 모노 아조 염료와 이들 염료의 가수분해 된 형태 그리고 디메틸아닐린계 아조 염료의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6.6 극세사 섬유에 대한 염색 및 견뢰도 성질이 조사되었다. 염색 조건 중 pH의 변화에 따른 섬유상의 염착량 변화 조사에서 뚜렷한 경향을 얻을 수 없었으며, 이는 극세사 섬유의 물리적 성질이 두드러지게 착용한 이유라 여겨진다.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섬유상에서, 아지리디닐 염료는 이들의 가수 분해된 형태 그리고 디메틸아닐린계 아조 염료의 비교하여 개선된 견뢰도 성질을 나타내었다. 아지리디닐 아조 염료의 나일론 극세사 섬유 염색 시 pH 증가에 따라 세탁 및 광견뢰도가 개선되었고, pH8의 염색 조건에서 최적 견뢰도 개선을 나타내었다. 아지리디닐 아조 염료가 이들 염료의 가수분해 된 형태 그리고 디메틸아닐린계 아조 염료와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섬유상에서 보다 개선된 견뢰도 성질을 나타내었고 이는 섬유와 염료간의 공유 결합으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 of Co-Nylon 6 (Co-Nylon 6사의 구조와 물성)

  • Park, M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27
    • /
    • 2011
  • 일반 나일론6 폴리머 대비 수축률이 높은 수축률을 가질 수 있는 나일론 고수축 개질 폴리머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권축/고벌키 특성이 우수한 세섬 20d급의 나일론/Co-나일론계 고권축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나일론 개질폴리머의 구조와 물성에 대한 연구 조사가 필요하다. 기존 나일론6 중합은 카프로락탐만을 사용하여 중합되므로 선형의 분자 구조를 가지게 되어 섬유형태로 방사했을 경우 수축률이 균일하게 되므로 수축율이 다른 나이론 폴리머를 만들기 위해서는 카프로락탐 외에 폴리머 분자구조를 변화 시킬 수 있는 공중합 모노머를 사용하여 랜덤하게 공중합을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중합 모노머는 말단이 -COOH나 -NH2로 되어서 카프로락탐과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이 사용되어 진다. 최근 수축률을 높이기 위한 공중합 모노머로는 SSIPA나 Meta xylene diamine과 같이 비 선형구조를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하여 폴리머의 구조를 변화시켜 수축율을 높이고 있다. 이를 일반 나이론 6와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를 하게 되면 두 폴리머의 수축율 차이로 인해 미케니컬 수축력을 발현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레저용 초경량 Nylon 박지에 적합한 자발신장 개념인 Nylon6 잠재권축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14^D$수준의 Co-Nylon6의 구조와 물성을 조사 검토하여 이를 실제 현장에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Concentration Effect of Silane Coupling Agents with Chloropropyl End Group on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Glass/Nylon 6 Composites (유리섬유/나일론 6 복합재료의 계면특성에 미치는 Chloropropyl 말단기를 가진 실란결합체 농도의 영향)

  • Cho, Donghwan;Yun, Suk Hyang;Bang, Dae-Suk;Kim, Junkyung;Lim, Soonho;Park, Mi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5 no.1
    • /
    • pp.21-28
    • /
    • 2004
  • In this work, glass fiber/nylon 6 and woven glass fiber/nylon 6 composites have been fabricated using glass fiber reinforcements sized with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CTMS) having a chloropropyl organo-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ar chain end.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of glass fiber/nylon 6 composite was measured using a single fiber microbonding test and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and the storage modulus of woven glass fabric/nylon 6 composites were measured using a short-warn shear test and 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respectively, informing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CTMS on the properties. With increasing CTMS concentration,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improved. The results on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nterlaminar failure pattern, and storage modulus with varying the CTMS concentration agree with each other.

  • PDF

Silk Sensibility Technology of Nylon Filament Using Fluid Texturing System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나일론 필라멘트의 실크감성화 기술)

  • 김승진;홍석민;김태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17-22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체스시템을 이용하여 나이론을 용제 개질하므로써 천연실크가 갖는 적당한 촉감과 광택을 가지면서 견명(silk scrooping)의 효과와 천연 silk 특유의 "노방"(여름 의류의 얇은 명주)촉감이 발현되며 심색성과 흡습성 그리고 제전성등의 물성이 뛰어난 기능성 실크감성화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한다. 또한 이러한 용제 개질은 제직준비공정에서의 사이징공정이 생략되며 개질처리가 사가공 기계에서 on-line으로 되므로 (목표처리속도 : 600m-800m/분)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개질 가공비가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나일론 원사의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용제 개질 기술은 선을 물리적으로 표층부에서 밀착시킴으로써 내부에 microcavity를 형성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기능성 약제를 캡슐화(capsulation)하여 내포시킬수 있어서 항균무취성, 방오성, 난연성, 자외선차폐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나일론 원사외의 타소재 섬유에 대하여서도 이러한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용제 개질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서 기존의 가공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실크감성화 선가공기술 확립이 기대되고 있다.이 기대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