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기술

Search Result 2,7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nvironmental Sensing Technology with Nanotechnology for the Clean Technology (청정공정구현을 위한 나노기술기반 환경 센싱 기술의 개발)

  • Kim, Younghun;Yi, Jongheop
    • Clean Technology
    • /
    • v.11 no.2
    • /
    • pp.75-81
    • /
    • 2005
  • With a development of nanotechonlog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has been changed from end-of-pipe to green or clean technology. Nanoscience or nanotechnology involves studying and working with matter on a nano-scale. In this article, we introduced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nsing/monitoring technologies with nanotechnologies for the clean technology.

  • PDF

선택적 단결정 씨앗층을 이용한 MgZnO 나노와이어의 밀도조절 및 수직성장 방법

  • Kim, Dong-Chan;Gong, Bo-Hyeon;Kim, Yeong-Lee;An, Cheol-Hyeon;Bae, Yeong-Suk;Jo, Hyeong-Gy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29.2-29.2
    • /
    • 2009
  • 21세기 제 3의 산업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나노기술(NT),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은 전 세계 과학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이 가운데 나노기술은 전자산업에 응용 시 그 기대효과는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의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나노기술에 특히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물질이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작아져도 벌크물질의 물리적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나노미터 크기가 되면서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물리적 특성들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그 특성에는 양자구속효과, Hall-Petch 효과, 자기효과 등이 있다. 나노기술의 구현은 양자점과 같은 영차원 나노입자,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나노리본 등과 같은 직경이 100nm 이하의 일차원 구조의 나노물질 및 나노박막과 기타 100nm 이하의 나노구조물들이 사용된다. 현재 일차원 구조를 이용한 전자디바이스화 연구는 결정성장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합성기술, 합성된 일차원 나노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지배하는 각종 파라미터들과 물리적 특성들과의 상관관계 정립,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Bottom-up 방식에 의한 조립기술 확보를 위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나노구조의 특성을 확인하는 형태의 연구일 뿐, 실제 디바이스 구현에는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 삼원계 단결정 씨앗층을 이용한 길이/직경 비가 매우 향상된 MgZnO 나노와이어를 interfacial layer 없이 수직으로 성장하여 산화물 전계방출 에미터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State-of-the-Art of Nanotechnology-based Food Products : Toxicity and Risk Assessment(II) (총설 - 나노기술을 적용한 식품의 독성 및 위해성평가 현황(II))

  • Chun, Hyang-Sook;Chang, Hyun-Joo;Ko, Sang-Hoon;Oh, Il-U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08-324
    • /
    • 2011
  • 나노기술을 식품에 응용하게 되면 영양소의 전달, 식품의 색, 향미, 물성 등이 향상되고 식품 포장재나 분석에 응용하는 경우 저장성 증진이나 시료 전처리 효율 및 기기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유기 및 무기 나노입자, 나노섬유, 나노에멀전, 나노크레이 등의 나노물질을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소재, 식품 접촉물질 등으로 응용하는 시도가 식품산업계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나노물질의 사용범위가 다양해질수록 나노물질의 환경 및 인체 노출가능성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아직 나노물질의 독성 및 위해성에 대해서는 초기 단계 수준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나노기술의 위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나노물질에 대한 유해성 자료의 생산뿐만 아니라 나노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노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수단이 확립되어야 한다. 나아가 식품에 나노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이익은 최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나노물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폐기 등에 관한 전 생애(lifecycle) 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PDF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기공소재의 환경응용

  • 김영훈;윤창연;강태욱;이종협
    •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73-183
    • /
    • 2004
  •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파인만 (Richard p. Feynman) 교수는 1959년 한 강연회에서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라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나노 세계의 가치를 처음으로 알린 계기가 되었으며, 21세기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과학기술로 자리 잡게 만드는 시발점이 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나노기술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신기술의 개발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단점 개선과 기술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술간의 융합이 이루어졌으며, 학문간의 벽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즉 바이오기술과 나노 (예, BioMEMS), 나노소재를 이용한 환경기술 등 기술융합은 진보된 새로운 기술들을 이끌어가고 있다.(중략)

  • PDF

Electrospun Nanofiber and its Applications (전기방사 나노섬유와 응용)

  • 천석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3.10a
    • /
    • pp.59-62
    • /
    • 2003
  • 최근 나노기술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과 함께 전기방사기술은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평가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거의 3종류 이상의 고분자들에 대한 나노섬유가 제조되었다. 또한, 나노섬유기술은 전통적인 섬유분야를 초월하여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섬유를 활용하는 응용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나노의료기

  • Korea Electrical Products Safety Association
    • Product Safety
    • /
    • no.9 s.153
    • /
    • pp.44-45
    • /
    • 2006
  • 21세기 신기술은 나노기술(Nano Technology,NT)을 통해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로마를 통하지 않으면 어디로도 갈 수 없었던 것처럼 작게 생각하지 않으면 첨단기술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이전에 재료공학자ㆍ기계공학자 불리던 연구자들이 미지 세계 개척자로서 작은 것들을 새롭게 창조하는 '나노의 방주'에 서둘러 들어서고 있다. 나노의 방주에는 화학뿐만 아니라 물리ㆍ건축ㆍ공학 등이 자유롭게 넘나든다. 이들은 혜성처럼 등장한 나노라는 화두를 중심에 놓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기술의 향방을 결정하고 있다. 나노기술이 열려라 참깨식의 마술적 주문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전능의 신 노릇을 하는 나노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다른 기술에 놀라운 능력을 부여하기도 한다. 종교인들이 신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듯 일상적 기술이 나노를 통하면 황금알을 낳는 신기술로 거듭나는 것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나노의료기는 현실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전략적 기업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었다

  • PDF

Nano-scale Observation of Nanomaterials and Nano-devices

  • An, Chi-W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1-86.1
    • /
    • 2012
  • 나노재료와 나노기술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하여 국가나노인프라인 나노종합팹센터에서 개발되고 있는 나노재료/나노현상의 실시간 관찰을 위한 SiN membrane chip 기술 및 나노그래핀 기반구축에 대한 최근 결과와 향후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나노재료의 합성, 배열, 구조 등의 실시간 관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작된SiN membrane chip은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에서 투명한 기판으로, 그 위에 나노재료를 합성, 배열하고 원하는 모양의 전극을 형성하여 나노재료 및 나노소자의 온도변화 및 전기적 특성 측정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은 Ag, Sn, Cu 등 nano-cluster의 percolation 소자, SiN 및 Graphene 나노기공 소자, SiGe, BiTe, Si, ZnO 나노선 및 CNT의 내부구조변화, 상변화 등 다양한 나노재료/나노소자의 나노현상 관찰 및 해석에 적용되었다.

  • PDF

나노기술의 현황과 전망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4 s.383
    • /
    • pp.47-71
    • /
    • 2001
  • 지금 세계는 나노기술시대를 맞고 있다.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이 되는 미세한 세계를 다루는 나노기술은 전자와 정보통신재료에서 의료에 이르는 광범한 분야에 큰 변혁을 몰아올 전망이다. 현재 전개되고 있는 나노기술의 전모를 소개한다.

  • PDF

나노(Nano)의 세계 - 세계 나노기술개발현황과 미래 "생명의 기본분자 탐지 멀지 않다"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2 s.403
    • /
    • pp.73-75
    • /
    • 2002
  • 스탠퍼드대학의 나노튜브 전문가는 올해 말께 평판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개량형 나노 튜브기술은 물론 약품발견에서 테러감시에 이르기까지 온갖 용도에 쓰일 초민감 나노 튜브 화학 및 생물학 탐지기의 시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했다. 10년 내에 수백을 헤아리는 세계의 나노 튜브연구소의 야심적인 연구들이 열매를 맺게 되면 전자공학의 세계를 바꾸기 시작할 것이다.

  • PD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고등학생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Kim, Hyun-Jung;Hong, Hun-Gi;Hong, Jee-Hy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5 no.1
    • /
    • pp.104-111
    • /
    • 2011
  •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a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gathered from 1704 high school students (five general high schools and two science high schools).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generally high perception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and correct knowledge toward nanotechnology rather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o. High school students get information on nanotechnology via various sources such as TV and internet, whereas they have rarely perceived to get information on nanotechnology in textbooks and science class. They think that newspaper and TV programs are proper methods to introduce new science technology and get information on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 internet and science teachers. High school students show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whereas they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 personal information chips and nano-taste enhancer. And they trust nanotechnology researchers and science teachers, whereas they rarely trust about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s, and in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