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기술

Search Result 2,79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arly Development of Policy and Public Understanding of Nanotechnology in Korea (한국의 나노기술:초기 정책 형성과 사회적 수용을 중심으로)

  • Lee, Eun-Kyou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1
    • /
    • pp.91-116
    • /
    • 2007
  • Under the strong support of the government, nanotechnology(NT) has been expanded rapidly in Korea. Korea was one of the countries that followed the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NNI) of the US very soon and set up their own policies for NT. This paper argues that the main rationale of the Korean version of NNI was so called 'catch-up strategy' by entering at the early stage of new technology. It stimulated 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various disciplines to do researches and to establish new education programs in NT. Unlike IT and BT, however, such fast and big investment in NT was approved by the public in the sense that there has been few criticism on the governmental NT policies and potential harness of NT. With the relative uninterestedness of the civil society and competititveness seeking policy in NT, ELSI in NT was not included in the Korean version of NNI and the results of technology assessments on NT were not introduced to the public at all.

  • PDF

Nano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bon Nanotube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나노 통신 시스템 연구)

  • Kwon, Tae-Soo;Hwang, Gy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9
    • /
    • pp.877-884
    • /
    • 2016
  • Nano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are future core technologies that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in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sizes in the range of hundreds of nanometers to tens of micrometers, which cannot be implemented by cur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In particular, novel nano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 CNT), does not simply miniaturize system modules, but suggests a new approach that changes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e, this paper surveys the state of the art on CNT-based nano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spects of system implementation, and proposes important research issues for convergence of nano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나노제품의 안전성 설계 기술 동향 및 전망

  • Kim, Jae-Hyeon;Lee, Hak-Ju;Choi, Byeong-Ik
    • 기계와재료
    • /
    • v.22 no.3
    • /
    • pp.66-77
    • /
    • 2010
  •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소재의 활용과 이를 이용한 나노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가 가속되고 있다. 나노소재의 우수한 특성과 이를 이용한 새로운 응용 제품의 연구는 매우 활발하지만, 나노소재가 동반할 수 있는 위해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한 상태이다. 본 원고에서는 나노소재를 이용하는 나노제품의 안전성 설계 기술에 대한 동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나노소재가 지니는 위해성에 대한 연구 동향, 나노소재의 노출에 대한 전주기적 평가 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 나노제품의 안전성 평가 및 전산해석 그리고 설계기술의 구축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제시한다. 가까운 장래에 나노제품이 일반화될 시점에서는 이러한 안전성 설계 기술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될 것으로 전망되며, 연구기관이나 관련 기업에서 이에 대한 준비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Social Issues of Nanotechnology (나노기술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Lee Young-He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4 no.1 s.7
    • /
    • pp.59-82
    • /
    • 2004
  • Nanotechnology is a rapidly expanding field, focused on the cre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devices, and systems through the control of matter on the nanometer scale. Recently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rushing into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Because the nanoscale is not just other step toward miniaturization, but a qualitatively new scale, progress in nanotechnology will have very far-reaching social, ethical, and environmental impac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cial issues and implications of nanotechnology development. To do so, this paper divides the issues around nanotechnology into several sub-issues: environmental, health-related, and societal issues. And then this paper reviews the debates and disputes around those sub-issues. Based on this review, this paper proposes some policy recommendation.

  • PDF

Synthesis of the nanostructured powder for thermal spray coating (나노 용사용 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 하국현;이구현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50-50
    • /
    • 2003
  • 용사 공정은 소재의 표면 특성을 개질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공정의 하나로서, 최근 항공기용 엔진 부품을 포함하여 자동차, 및 각종 산업 분야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산업 환경의 고도화로 용사 코팅층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고특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소재의 나노화는 이러 한 소재의 고 특성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서, 현재 많은 분야에서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노기술을 용사 공정에 응용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나노 분말 제조 기술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나노 분말을 용사 공정에 응용하기 위한 기술의 부족으로 나노 용사공정에의 적용은 제한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나노분말 제조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하고, 나노 분말 제조 기술과 용사 분말 제조 기술 그리고 용사 기술의 접목이 이루어 져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용사용 분말을 제조하기 위 한 원료용 나노 분말을 화학적 공정에 의하여 제조 한 후, 이 분말의 유동도 및 밀도 제어를 위한 후 처리 공정을 개발하였다. 제조된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약 150nm였으며, 용사 분말 제조후 분말의 겉보기 겉보기 밀도가 3.8g/cc로서 일반 용사용 분말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 PDF

Current Status of Nanotechnology Development for Space Exploration (우주탐사용 나노기술 개발 동향)

  • Lee, Ho-Sung;Chae, Yeon-Seok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6 no.1
    • /
    • pp.90-98
    • /
    • 2008
  • Nanotechnology(NT) refers to a field of advanced micro-technology covering the creation and manufacturing of materials on the atomic and molecular scale and requires interdisciplinary study with various fields including materials science, physics, chemistry, electronics and others. Whileas nanotechnology is a kind of micro and small scaled science, space technology(ST) is one of the larger and system technologies utilizing broad fields of mechanical, material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the functional items of nanotechnology for efficient application to be utilized in space technology, due to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nanotechnology within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 and nanomanufacturing. This paper provides the current state of art of nanotechnology in space technology by evaluating NASA's activities and the 9th frame of the project ANTARES(Analysis of Nanotechnology Applications in Space Developments and Systems) with the support of the German Aerospace Center (DLR), Space Flight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for Space Systems and Robotics. It h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nanotechnology to space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nanotechnology can bring the previously impossible things to reality. Since KARI plans to send an unmanned probe to the moon's orbit and land a probe on the moon's surface in 2025, it is urgently needed to incorporate nanotechnology to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

  • PDF

나노 패턴 성형 공정기술

  • 강신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9-9
    • /
    • 2004
  • 나노 패턴 성형 기술은 반도체와 같은 정보전자 소자 기술과 정보저장매체 기술 분야 및 광통신 분야에서 그 기술의 필요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정보저장 매체의 경우 저장밀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수년 내에 기존의 정보저장매체 제작방법으로는 더 이상의 저장밀도 증가가 불가능한 수준까지 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지리라 예상된다. 이에 따라 패턴드 미디어(patterned media) 및 초고밀도 광정보저장매체가 정보저장기술의 차세대 매체로서 제안되었으며 이의 실현을 위해 나노 패턴 성형기술의 시급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중략)

  • PDF

Policy Trend and Status of Aerosol Application Research on the Safety Issues of Nanotechnologies (나노기술 안전성 정책 동향 및 에어로졸 응용 연구 현황)

  • Ji, Jun Ho;Yu, Il Je
    •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
    • v.6 no.3
    • /
    • pp.107-121
    • /
    • 2010
  • The number of nanotechnology based consumer products are growing rapidly. Thus, the customer likely to be exposed to such products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applications expand. This article describes the international and Korea's policies on the EHS(Environment, Safety and Health) issues of nanotechnologies. The strategic plan and coordination of OECD and ISO were summarized. This article also examines several new findings of Korean researchers as well as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aerosol application study of EHS issues on the nanotechnologies.

직접 Printing 기술을 이용한 hydrogen silsesquioxane (HSQ) 아날로그 나노 패턴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

  • Yang, Gi-Yeon;O, Sang-Cheol;Lee, H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30.1-30.1
    • /
    • 2010
  • Hydrogen silsesquioxane (HSQ)는 spin-on glass (SOG)의 일종으로 spin-coating이 가능하며 $4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의 어닐링을 통해 silica로 변환되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95% 이상의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며 산화물로의 변환 공정이 간단하며 표면 개질이 용이하기 때문에 나노 바이오, 반도체, 광전자 소자 등의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기대되는 물질이다. 최근 나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나노 구조물을 이용하여 소자들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HSQ를 이용하는 소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쉽고 간단하면서 생산성이 높은 HSQ 나노 구조물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개발된 대면적 HSQ 나노 구조물 제작 기술로는 e-beam lithography, x-ray lithography, room temperature nanoimprint lithography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나노 패터닝 기술들은 생산성이 낮거나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dimethylsiloxane) (PDMS) mold를 이용한 직접 printing 기술을 통해 HSQ 나노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대면적에 간단한 기술로 HSQ 나노 패턴을 제작할 수 있으며 master mold의 패턴이 그대로 HSQ layer로 전사되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로운 아날로그 패턴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HSQ 직접 printing 기술을 이용하여 HSQ 아날로그 나노 패턴을 제작하고 이의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만수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0 s.377
    • /
    • pp.78-79
    • /
    • 2000
  • 나노입자의 제조 및 성장제어와 열 및 물질전달과 에어로솔 공학분야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최만수 교수(44세). 최근에는 나노입자의 융합속도를 제어하는 새로운 나노입자 성장제어 기술을 개발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교수는 앞으로 융합촉진을 이용하는 나노입자 제어기술을 복합나노입자를 포함한 여러 다양한 나노입자의 제조와 나노물질의 제조에 응용해 나갈 것이며 이론적 모델리의 개발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