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나노캡슐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4초

기능성 우유 개발을 위한 키토올리고당의 나노캡슐화

  • 최희정;안정좌;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37-340
    • /
    • 2004
  • 본 연구는 키토올리고당이 우유에 첨가되었을 때에 색과 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토올리고당을 나노캡슐화하여 우유에 첨가하여 그 변화를 연구하였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기능이 있는 키토올리고당은 우유 첨가 시 원래의 특성을 변형시키나 나노캡슐 첨가시에는 88.08%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며 0.5% 첨가시 점도와 색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토올리고당 나노캡슐은 온도에 크게 영향 받지 않으며 저장기간이 동안에(증류수 25일, 우유 15일)캡슐의 감소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 평가시에는 나노캡슐 1.5%의 농도까지 시유와 유의적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실험 결과, 키토올리고당의 우유 적용시 적색화와 점도 저하를 나노캡슐 적용을 통해 해결하고 나노캡슐의 저장에 따른 안정성이 온도에 안정한 물질이라 판단된다. 또한 나노캡슐을 우유에 적용시 관능적으로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키토올리고당의 나노캡슐화는 우유에 적용이 가능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인 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성 우유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베타카로틴 함유 키토산/하이알루론산 나노캡슐의 용해도 및 재분산성 특성 (Properties of β-carotene-loaded chitosan/hyaluronic acid nanocapsules: solubility and redispersibility)

  • 안은정;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6-74
    • /
    • 2022
  • β-Carotene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키토산을 기본 피복물질로 사용하면서 TPP와 HA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세 종류(CS/TPP, CS/TPP/HA와 CS/HA)의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모든 종류의 나노캡슐에서 95%가 넘는 높은 포집효율이 관측되었다. β-Carotene 에멀젼의 저장안정성이 취약한 pH 2-3 조건에서 8일동안 저장하였을 때 CS/TPP/HA와 CS/HA 나노캡슐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β-carotene의 용해도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β-Carotene의 용해도를 나노캡슐의 건조 전과 후 관측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나노캡슐화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CS/HA 나노캡슐은 용해도와 재분산성의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서 CS/HA 나노캡슐은 β-carotene과 같은 난용성 활성성분의 용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식품산업에 활용가능한 전달체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uffins with acai berry concentrate-loaded nanocapsules)

  • 박재범;이광연;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1-186
    • /
    • 2021
  • 본 연구는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을 첨가하여 제조한 머핀의 항산화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머핀 제조 전 나노캡슐의 물리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머핀에 적용한 후 품질특성 및 베이킹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의 물리적 특성은 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피복물질인 키토산과 아라비아 검의 농도가 높은 나노캡슐 중에 PDI 값 0.26을 선택하여 제조한 후 총 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 환원능을 측정한 결과, 모두 캡슐화하지 않은 아사이베리 농축액이 나노캡슐화 한 아사이베리 농축액보다 높았는데, 이는 나노캡슐화에 의해 아사이베리 농축액이 포집되어 충분한 활성을 내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머핀의 색도는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과 농축액을 첨가한 머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L* 값, b*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pH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과 농축액을 첨가한 머핀이 농축액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캡슐화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머핀의 외관 및 수분함량은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과 농축액을 첨가한 머핀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와 씹힙성(chewiness)은 나노캡슐화에 따라 증가하여 대조군 및 free 머핀과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낸 반면에, 탄력성(springi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샘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경도(hardness)는 샘플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증가(p<0.05)한 반면에, 탄력성(springiness)은 샘플 간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cohesiveness)은 샘플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씹힙성(chewiness)은 경도(hardness)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의 베이킹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170℃에서 0, 20, 40분 단위로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환원능을 측정한 결과 머핀이 완성되는 40분에서 나노캡슐 첨가 머핀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아 아사이베리 농축액의 열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을 첨가한 머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품질적 특성은 거의 유사했고, 아사이베리 농축액의 열 안정성은 개선되었는데 이는 아사이베리 농축액 함유 나노캡슐을 활용한 기능성 베이커리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칼슘-펙틴 미세 및 나노캡슐의 제조와 입자 크기에 따른 캡슐특성 (Preparation of γ-oryzanol-loaded pectin micro and nanocapsu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이슬;김은서;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0-116
    • /
    • 2017
  • 감마오리자놀의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천연 다당류인 펙틴과 칼슘이온의 이온결합을 이용한 펙틴 겔 미세캡슐과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의 입자특성은 펙틴, 염화칼슘, 감마오리자놀 농도와 경화시간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포집 효율과 방출 조절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펙틴 2%, 염화칼슘 4%, 경화시간 60분에서 제조한 미세캡슐과 펙틴 0.05%, 염화칼슘 4%, 감마오리자놀 5%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을 선정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두 캡슐 제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감마오리자놀 포집 효율은 입자 크기 증가로 인한 내부 포집공간 증가로 미세캡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효량 섭취의 효율측면에서 경구투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펙틴 캡슐 모두가 산성에서 방출이 억제되고 중성으로 갈수록 방출이 촉진되어 체내 소화환경에서 효과적인 전달체의 특성을 보였으며, 미세캡슐에 비해 나노캡슐의 방출 조절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 감마오리자놀의 장기 저장과 활성유지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TC법을 통한 지질산화 저해능 평가에서는 저장 5일 이후 유리 감마오리자놀의 산화방지 활성이 감소한 데 반해 감마오리자놀 함유 미세와 나노캡슐은 지속적인 지방산화 억제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와 나노캡슐화는 감마오리자놀의 안정성 및 지질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이며, 제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초 추출물 함유 키토산 나노캡슐의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aracteristics of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loaded chitosan nanocapsu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김민정;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79-485
    • /
    • 2021
  •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키토산의 ionic gelation 특성을 이용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키토산/TPP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먼저 반응표면분석을 통해서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감초의 최적 추출조건은 83.01% 에탄올 농도에서 32.6분 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감초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각각 20.47 ㎍ RE/mg과 22.32%/mg로 관측되어 예측값과 모두 표준편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감초 추출물과 키토산 농도에서 나노캡슐을 제조한 결과, 약 280-370 nm 범위의 캡슐크기를 나타냈으며 0.3 이하의 PDI를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균일한 나노캡슐이 형성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집효율 및 함유효율을 고려하여 감초 추출물과 키토산 농도를 각각 0.8과 2.0 mg/mL로 결정하였다. 지방과산화 억제능을 통한 APF 측정 결과, 나노캡슐화되지 않은 감초추출물은 반응 후에 급격히 상승되어 반응 4시간에 가장 높은 APF를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된 반면, 감초 추출물 나노캡슐은 초반에는 약한 APF를 나타내다가 꾸준히 증가한 후 유지되어 반응 6시간 이후에는 모든 농도에서 유리 감초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감초 추출물은 키토산 나노캡슐화에 의해서 산화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항산화 활성의 유지기간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키토산 나노캡슐화는 감초추출물의 항산화 안정성 증대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zelaic Acid 함유 밀크 나노분말과 여드름 나노화장품을 위한 나노캡슐의 최적화 공정 (Optimization of Nanoencapsulation Process for Azelaic Acid-Milk Nano Powder and Acne Nanocosmetics)

  • 김동명;최지은;김덕훈;이준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53
    • /
    • 2011
  • 여드름 나노화장품(nanocosmetics) 개발을 위하여 azelaic acid-milk nano powder의 nanoencapsulation을 fluid-bed processor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유입공기온도($60{\sim}80^{\circ}C$) 분무속도(0.5 ~ 0.9 mL/min) 및 분무압력(1.2 ~ 2.0 kg/$cm^2$)을 달리하여 나노캡슐(nanoencapsule)을 제조하고, 나노캡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나노캡슐의 예측된 수율의 최대값은 70.97 %로 수율은 유입공기온도, 분무속도 및 분무압력 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시료의 입자크기는 유입공기온도가 높고 분무속도가 빠르며, 분무압력이 낮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식염수에서 나노캡슐의 용출율은 모두 유입공기온도 및 분무속도에 의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수분함량은 분무 속도가 증가하고 분무압력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수분활성도는 수분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색도인 L값과 b값은 유입공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수율이 높고 입자크기가 작으며, 피부적합성 나노캡슐 제조의 최적조건은 유입공기온도 $67{\sim}73^{\circ}C$, 분무속도 0.6 ~ 0.8 mL/min 및 분무압력 1.8 ~ 2.0 kg/$cm^2$ 범위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예측범위 내의 임의의 점에서실제 실험한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캡슐화된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오실레이터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arbon Nanotube Oscillator Encapsulating Nanowire)

  • 이준하;김형진;김정환;주아영;이흥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54-157
    • /
    • 2006
  • 구리 나노와이어를 캡슐로 싼 탄소 나노튜브 오실레이터에 대한 특성을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탄소-탄소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으로 인한 초과 힘은 탄소-구리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에 의한 초과 힘보다 더 크고 구리 원자의 질량이 탄소 원자의 질량보다 더 크기 때문에 탄소 원자는 구리 원자보다 더 쉽게 촉진되고 안쪽 나노튜브와 캡슐로 들어간 구리 나노와이어 사이의 충돌은 전체 초과 힘을 감소시키는 반발 힘을 만든다.

  • PDF

화학기상 응축법에 의한 나노분말의 제조 및 응용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Nanoparticles by the Chemical Vapor Condensation Process)

  • 김진천;하국현;최철진;김병기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9-248
    • /
    • 2005
  • 1990년도 초반에 개발되어 나노분말의 제조 공정으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온 화학기상응축공정은 고강도용 나노분말 소재이외에 기능성 자성재료로의 응용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응용이외에 나노분말의 표면을 다양한 이종 소재로 응용하고자하는 나노캡슐(혹은 core/shell)화 제조 공정으로 진보되어 다양한 합금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Particles 2005, Surface Modification in Particle Technology 학회에서는 나노금속 혹은 세라믹 분말에 PMMA, PE등 polymer의 유기화합물의 코팅하여, DNA나 RNA를 부착하거나 추출해내는 나노캡슐화 공정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나노 캡슐의 개발은 약물전달계(Drug delivery system), 온열치료용 및 MRI 조영제 등의 바이오재료로의 응용가능성이 크게 기대되어 이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니에멀젼 중합에 의한 파라핀 왁스의 나노캡슐화 및 상변환물질로서의 열적 특성 (Nanoencapsulations of Paraffin Wax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and Their Thermal Properties as Phase Change Materials)

  • 신대철;이 경우;김정수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15-21
    • /
    • 2013
  • 폴리스티렌을 쉘 물질로 하여 상변환물질인 파라핀 왁스 코어 물질을 나노캡슐화하는 방법과 형성된 입자들의 열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나노캡슐화의 방법으로는 미니에멀젼 중합법을 채택하였다. 중합시 사용된 가교제의 성질, 유화제의 양, 상변환 물질과 단량체의 비율, 개시제의 친수성 등이 나노캡슐화된 상변환물질의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스왈드 숙성에 의한 입자의 크기 변화, 형태 변화는 캡슐 입자의 열적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폴리스티렌 쉘의 친수성과 가교밀도도 캡슐 입자의 형태 변화와 이로 인한 열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캡슐화 상전이 물질 처리 직물의 역학 특성과 촉감 감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Tactile Sensation of the Fabrics Treated with Nan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 최계연;채진희;조길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48-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의류소재로서 나노캡슐화 상전이 물질 처리 직물의 적합성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직물의 역학적 특성과 촉감 감성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면직물과 폴리에스테르직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최대 하중시의 신장성, 전단강성, 표면마찰계수, 인장선형성, 두께 총 5가지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역학적 특성이 면직물과 폴리에스테르직물의 촉감 감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두 직물 모두 R2가 0.7이상으로 예측력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