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꽃잎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1초

피부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아로마테라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in Care Treatment System Using Aromatherapy)

  • 이애순;이용일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0-64
    • /
    • 2006
  • 에센셜 오일은 고대로부터 향을 즐기거나 직접 상처 부위에 바르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해 왔다. 일반적으로 에센셜 오일을 얻을 수 있는 허브와 스파이스는 약 200종 정도이며 흔히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는 레몬이나 오렌지, 장미, 제라늄, 민트 등이 있다. 이들 식물의 꽃잎(장미), 잎사귀(유칼립투스), 뿌리(베티본), 고목(샌달우드), 송진(프랭킨센스), 줄기(버베나), 열매(베르가못) 등 여러 부분에서 독자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는 에센셜 오일은 식물의 강한 생명의 힘으로 종종 언급되었다. 이는 방향성, 비지방성의 100% 천연의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이며, 저마다의 고유한 향과 각기 다른 독특한 생명력과 치유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을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는 감정 치유와 신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든 에센셜 오일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을 지니고 있다. 연구 조사에 따르면 아로마(향)는 인간의 감정 센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이는 우리 신체의 감각 중심의 뇌에 직접적으로 아로마 향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후각을 통해 뇌 시스템을 직접 통과하여 감정, 행동, 냄새를 판단하는 것을 총괄하게 된다. 항상 아름다운 냄새를 통해 즐거워 하고 우리의 감정 균형을 유지시키므로 에센셜 오일을 사용함에 있어 그 향기가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 오일을 통해 우리의 감각신경이 균형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마음의 건강, 정신의 건강, 신체의 건강을 향상시키며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하는 것이 아로마테라피이다. 아로마테라피는 적게는 담배로부터 향수까지 광범위하게 가장 화려한 글로 설명되어 왔다. 에센셜 오일을 사용함에 있어 우리 신체의 가장 좋은 투입 방법으로 마사지 법이 있으며 우리 피부는 에센셜 오일을 놀라울 만큼 빠르게 흡수해 낸다. 이러한 효능의 에센셜 오일을 피부관리시에 적용하여 신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의 건강을 향상시키며 유지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Rhythmic Gesture(마리오네트의 꿈)사례를 중심으로 (Real-time Interactive Performing Arts using Particle System)

  • 유미옥;박경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17-125
    • /
    • 2010
  •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연구 분야의 발달은 문화 예술의 전반적인 흐름과 일상을 바꾸어 놓았을 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실시간 퍼포밍 등의 신선하고 흥미로운 문화 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컴퓨터 그래픽스의 파티클 시스템을 공연 영상에 접목 시켜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과정을 관객과 함께 이끌어 가는 감성적 표현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한 방법은 오브젝트 모델링에 영상을 입력받아 배우 움직임을 추적하여 파티클 시뮬레이션을 함으로서 마지막 최종 영상이 출력되게 하는 구조로 꽃잎 파티클 즉 오브젝트 모델링을 통하여 공연 영상을 실시간 파티클 시뮬레이션으로 표현한다. 이는 음향과 동작, 파티클 간에 동기화된 파티클의 생성과 위치 속도 등을 캡쳐링하여 과학기술과 예술의 접목이라는 실험적 구조 형태로 공연 영상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 공영영상 보다 다양한 비주얼 이펙트 효과 영역을 확대된 개념의 공연성과를 볼 수 있다. 이 실험적 공연은 로봇과 영상, 그리고 배우와의 교감되는 공연구성으로 인터랙티브 융합 공연을 함으로써 더 나아가 앞으로의 인터랙티브 공연예술에서의 영역을 확장하고 표현의 확대를 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다.

식물성(植物性) 색소(色素)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꽃잎 맨드라미(Amaranthus tricolor L.)의 Anthocyanin 색소(色素)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lant Pigments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 윤태헌;이상직;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4-202
    • /
    • 1978
  • In order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as an edible pig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nthocyanins. The anthocyanins present in leaves of Ganges Amaranth were extracted with 0.1% HCl in methanol. The extracted pigments were purified by organic solvent treatment and Amberlite CG-400 Type cation exchanger, and then separated into individual pigments by paper chromatography with n-butanol-formic acid-water(100:25:60, v/v) as a solvent system. The separated pigments were identified by their Rf values, sugar moieties, complete hydrolysis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in the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s. The amounts of individual anthocyanin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Chromatograms of the Ganges Amaranth extract developed with BFW yielded three anthocyanin bands. The two of the anothocyanin ba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malv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1 and peon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2. But the anthocyanin in band 3 was not identified due to extremly low concentration. 2. The amount of total anthocyanins was 101.57 mg/100g fresh weight of leaves in which 82.15 mg of mal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and 27.20 mg of peon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were contained per 100g fresh weight. Mai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the acid was, therefore, the most abundant pigment in the Ganges Amaranth.

  • PDF

대마참나물(Tilingia tsusimensis, 산형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al Review for Tilingia tsusimensis (Apiaceae))

  • 김무열;소순구;서은경;박혜림;한경숙;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9-543
    • /
    • 2007
  • 가야산, 금오산, 속리산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awa]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대마참나물은 삼출엽을 가져 참나물속이나 큰참나물속과 외부형태적으로 유사하나, 과실의 측륵과 배륵에 날개 대신 돌출된 늑선을 가지고 있고 이형의 흰색 꽃잎을 가지고 있어 이들 속들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또한 악치가 퇴화되고 과피가 다층인 특징은 Angelica속과 유사성을 보이나, 분과의 측륵이 날개형이고 배면으로 심하게 압착된 Angelica속과 구별된다. ITS 염기서열은 대마참나물이 Angelica속에 포함되거나 Angelica속과 밀접히 유연관계가 깊은 자매군임을 지지해 주었으나 더많은 근연 분류군을 포함하여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Tilingia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게 보인다.

미생물의 생육억제에 대한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 정용진;이명희;이기동;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9-304
    • /
    • 1998
  • 전통민속주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온 국화꽃잎에서 에탄올 추출하여 식품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과 최저 생육저해 농도를 조사하였다.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B.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소국은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산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8종의 부패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소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산국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60-70${\mu}\ell$/ml로 나타났다. 산국 에탄올추출물은 그람양성세균에서 보다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다소 높았으나, 100${\mu}\ell$ 농도에서는 그람음성 및 양성 세균 모두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따라서 전통민속주의 보존효과 측면에서 산국 에탄올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밝은 연녹색의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 '화이트그린' 육성 (Breeding of a New Saxifraga fortunei Cutivar (Hybrid) 'Whitegreen' with Light Green and White Colored Petals as a Pot Flower)

  • 서종택;홍수영;유동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8-592
    • /
    • 2014
  •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인 '화이트그린(whitegreen)'은 연한 녹색인 대우주(大宇宙)를 모본으로 하고 연한 노란색과 녹색이 섞인 광림(洸淋)을 부본으로 하여 2004년 인공교배에 의해 종자를 얻었다. 이후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고령지농업연구센터의 가온 온실에서 증식 및 재배를 하면서 개화특성을 검정하였다. '화이트그린'품종의 개화기간은 9월 20일부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약 33일간 이었으며 꽃은 385.7개로 대조품종보다 많았다. 화색은 밝은 연녹색(G-W 157B)을 띠며, 꽃잎 수는 11.4개로 겹으로 피었다. 화형은 큰대(大)자형이 아니며 화장과 화폭이 각 1.4, 1.4 cm로 대조품종보다 매우 작았다. 초장은 20.7 cm로 대조품종보다는 작았다. 엽수도 48.3개로 대조품종보다 적었다. 엽폭은 3.4 cm, 엽장은 3.0 cm로 역시 대조품종보다 작았다. '화이트그린(whitegreen)'품종은 201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이 등록(No. 3456)되었다.

작약 레드참 꽃잎의 이온화원-푸리에 변환 질량분석과 기능성 연구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FT-ICR) MAS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Flower Petal from Pa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and Evaluation of its Functional Activity)

  • 김준현;최용복;이하정;김용희;김준환;심정민;손영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8-597
    • /
    • 2016
  •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compared to that of its roo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we conducted the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FT-ICR) MAS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We detected the 24 different types of ingredients from the 70% ethanol extracts of flower petal of p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The main compounds were quercetin glucopyranosides, methyl gallate, paonioflolol and kaemperol glucopyranosides. We further tested its functional activity.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87.9-90.4% at 0.1mg/ml. This result showed that these flower extracts have approximately 5-fold stronger antioxidant potential than a previous report with root extracts (Bang et al. 1999). The result of tyrosinase inhibition assay of Paeonia lactflora extract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arbutin except significantly higher effect in the coral sunset extract at 0.1% concentration. Hyaluronidase inhibition assay showed 76.5% inhibition at 5% concentration of this flower extract, indicating that Peaonia lactiflora flower extracts have the majo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brightening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se three Paeonia lactiflora species extracts might provide the basis to develop a new natural brightening agent.

한국산 세포성 점균의 1신종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A New Species of Cellular Slime Molds from Korea,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 홍정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93-401
    • /
    • 1992
  • 한라산의 삼림 토양에서 앞서 보고된 신종 Dictyostelium flavidum Hong et Chang(노랑장대팡이)에 이어서 또하나의 신종이 기록되었다. 이것은 특징적인 넓은 꽃잎 모양의 집합체와 기부부근에 집중적인 긴 가지를 갖는 꽃모양의 군체를 나타내어 Dictyostelium floridum sp. nov. Hong et Chang(한국명 신칭 : 꽃구슬팡이)으로 명명되었다. D. floridum sp. nov.는 위의 특징 외에도, 1) 극낭이 뚜렷한 포자, 2) 기부에서 정단으로 올라갈수록 심하게 가늘어지는 자루, 3) 흔히 원뿔형이거나 구형이 기부, 4) 하나의 점액질에 단단히 묻혀 있는 여러 개의 기부, 5) 여러 층의 세포로 구성된 퇴형의 정단에 의해 특징된다. 또한 이 종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macrocyst나 microyst는 형성하지 않는다. 이 종은 처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계속적인 계대배양을 통하여 형태적 특징뿐만 아니라 발생과정 및 성장습성이 자세히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특징들과 데이터는 다른 유사한 종과 비교되었다. 이 종은 1990년 해발 1600 m 이상의 한라산 침엽수림 토양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약한 영양배지인 0.1% lactose-peptone 배지에서 Escherichia coli와 함께 $18-22^{\circ}C$에서 이원배양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주름버섯목(目)에 대한 보고(報告) (III) (Notes on Korean Agaricales (III))

  • 석순자;김양섭;박동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1-426
    • /
    • 1994
  • 한국산 주름버섯목에 대한 종 분포상 및 종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성군 청평사(1990. 9.), 경기도 수원 진흥청구내(1990. 6.),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1994.\;8{\sim}9)$,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1994. 9.) 등 4개 지역에서 주름버섯류를 조사한 결과 그중 고슴도치버섯속 Cystoagaricus Sing. 1속과 한국미기록 이란성무명버섯 Hygrocybe firma(Berk, & Br.) Sing. var. firma Sing.; 꽃잎꼬막버섯 Hohenbuehelia petalodes (Bull.: Fr.) Schulzer; 고슴도치버섯 Cystoagaricus strobilomyces (Murr.) Singer; 받침대먹물버섯 Coprinus domesticus (Bolt.: Fr.) S. F. Gray; 흰꼭지땀버섯 Inocybe autata T. Kobayshi & E. Nagasawa 5종이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자실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현미경 그림을 작성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인용된 색명은 Kornerup과 Wascher(1978)의 Methuen Handbook of colour을 참조하여 기술 하였다. 종 분류에 이용된 버섯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와 농업유전공학연구소 표본실에 보관중이다.

  • PDF

왕벚나무 꽃잎 추출물에 대한 견직물의 염색성과 색채특성 (Dyeing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s Dyed with Prunus yedoensis Matsumura Flower Extract)

  • 이은주;유은숙;한충훈;이안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4-206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ptimum dyeing conditions for maximum dye uptake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flower extract on silk fabric and to investigate hue/tone characteristics and fastness properties of the dyed fabrics. As results, the flower extract was found to contain flavonoids by FT-IR and to show yellowish shade by UV-vis spectrum. Silk fabric was optimized for maximum dye uptake to five repetitions of dyeing at $80^{\circ}C$ for 60 min with an extract concentration of 600% owf in terms of both K/S and color differences. Pre-mordanting was more effective to dye uptake than post-mordanting for all of the mordants used. Un-mordanted and pre-mordanted fabric showed YR(Yellow Red) while most of post-mordanted ones did Y(Yellow). Main tones of dyed fabrics were sf(soft) and lt(light) in the case of unmordanting or Al-mordanting whereas they were d(dull) and g(grayish) by post-mordanting with Cu, Cr, and Fe, respectively. The fastness grades to rub and dry cleaning were reasonably good for most dyeing conditions while those to light were poor. Finally dyeing condition for each hue/tone of the dyed silk with the flower extract was optimized considering fastness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