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꽃게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3초

민꽃게(Charybdis japonica)장의 식품 성분 (Food Composition of Crab(Charybdis japonica) Preserved in Brine)

  • 박일웅;김현수;최규홍;최선남;김종배;임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95-106
    • /
    • 2008
  • 민꽃게(Charybdis japonica)를 이용하여 만든 게장은 우리의 식생활에 밀접하게 접근되어 있으나 이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지역마다 게장을 만드는데 필요한 장에 여러 가지 양념류가 첨가되어 있어 게장 본래의 화학적 성분 조성을 밝히기 쉽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꽃게의 화학적 성분 조성과 염지한 민꽃게장을 온도별($5{^{\circ}C}$, $15{^{\circ}C}$, 상온)로 저장하여 저장일수(10, 15, 20, 25, 30일)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꽃게의 일반성분 함량을 보면 수분(77.5%), 회분(2.3%), 조단백(19.7%), 조지방(0.5%)이었으며 저장기간 중 수분과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회분 함량은 수분 함량의 감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민꽃게와 민꽃게장의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민꽃게는 2.3mg/100g로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는 30일 경과 후에도신선도(20.8mg/100g)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나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에서는 25일 이후에는 초기부패의 상태(31.2mg/100g)를 나타내었다. 상온에서는 민꽃게장 저장 10일만에 초기부패의 상태(34.7mg/100g)를 나타내었으며 30일 경과 시 부패취(51.4mg/100g)를 내었다. 이로서 민꽃게장의 저장은 상온보다는 $5{^{\circ}C}$, $15{^{\circ}C}$등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소에서 보관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민꽃게와 민꽃게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면 생시료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00mg/100g로 나타났으며 민꽃게장의 저장 중 콜레스테롤 변화를 살펴보면 $5{^{\circ}C}$에서는 저장기간 중 변화량이 적었는데 건물량으로 환산하여 보면 민꽃게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444.4mg/100g였으나 저장일수 10일에 306.3mg/100g, 저장일수 30일에 395.3mg/100g로 약 11-31% 감소하였으며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는 저장기간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건물량으로 환산하면 저장일수 10일에 272.0mg/100g, 저장일수 30일에 440.6mg/100g로 약 0.8-38.76%로 감소하였다. 상온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도 $5{^{\circ}C}$$15{^{\circ}C}$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건물량으로 환산해보면 저장일수 10일에 332.2mg/100g, 저장일수 30일에 408.9mg/100g로 약 8-25%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4. 민꽃게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보면 hydroxyproline(1015.8mg/100g), urea(731.2mg/100g), arginine(256.6mg /100g), taurine(215.9mg/100g), glutamic acid(109.7mg/100g), alanine (106.3mg/100g)의 순서로 정량되었으며 glutamic acid(109.7mg/100g), alanine (106.3mg/100g)의 순서로 정량되었으며, 민꽃게장에서도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 온도대별($5{^{\circ}C}$, $15{^{\circ}C}$, 상온), 저장기간(10, 15, 20, 25, 30일)에 따라 양적변화는 약간 있지만 대체로 그 함량이 많았다. 정미성분인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을 보면 $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25일 경과 시,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15일 경과 시, 상온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20일 경과 시 다른 저장일수에 비해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민꽃게에서 타우린 함량은 215.9mg/100g로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5{^{\circ}C}$와 상온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 내었으 며,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의 타우린 함량의 변화폭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꽃게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Blue Crab)

  • 김지현;박기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6-259
    • /
    • 2014
  • 본 연구는 김치의 염도를 낮추고 영양과 기능성을 높이고자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의 꽃게첨가김치제조 표준레시피를 확정하고자 실시하였다. 꽃게살을 10g, 30g, 50g, 70g, 90g으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였고, $5^{\circ}C$에서 1일, 15일, 3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일반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꽃게살 90g을 첨가한 경우 15일, 30일 경과 후 4.10,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 4.02, 4.13으로 나타나 꽃게 첨가량이 많음에 따라 숙성과정 중 pH변화가 적었다. 산도는 0일째에 대조군 0.5%, 꽃게첨가군 모두 0.7%였으며, 꽃게살 70g 첨가 15일 숙성김치 0.87%, 30일 숙성김치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도는 대조군 1.26%, 꽃게살 70g 첨가시 1.00%, 90g첨가시 0.93%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살을 증가시킴으로써 염도는 감소하였다. 유산균수는 꽃게살을 50g 첨가한 김치가 숙성되는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다. 김치숙성 중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은 대조군 372.6mg%, 꽃게를 첨가한 김치 537.5mg%로 꽃게를 첨가한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taurine, threon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phenylalanine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꽃게육수와 꽃게살을 50g첨가하고 $5^{\circ}C$에서 15일간 보관한 김치의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는 숙성되어감에 따라 감칠맛, 숙성된 맛의 기호도가 증가하고 염도는 감소하며 산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간장으로 염지한 꽃게장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Blue crabs Preserved in Soy Sauce)

  • 이범수;이진철;정동식;양호철;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14-719
    • /
    • 2001
  • 생꽃게의 영양학적 조성에 대한 조사와 간장에 침지한 후 꽃게장의 영양학적 및 화학적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수분함량은 생꽃게보다 꽃게장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회분함량은 꽃게장이 생꽃게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생꽃게의 식염함량이 1.50%인데 반해 꽃게장은 7.89%로 염장 후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도 염장 후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꽃게에서는 소량으로 검출되었지만 염장후에는 그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fructose가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진일보의 연구가 필요하다. 생꽃게와 꽃게장의 아미노산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염장후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유리아미노산은 염장후 증가하였다. 생꽃게와 꽃게장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rginine 및 aspartic acid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proline 및 alanine이었다. 지방산함량은 염장 후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EPA 및 DHA이었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2. 그물통발류에 대한 민꽃게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2. Behavior of Crab, Charybdis japonica, to Net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8-354
    • /
    • 1987
  • 실험실에서는 민꽃게 대상으르 생각될 수 있는 그 물통발을 4가지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통발에 대한 민꽃게의 행동을 수조실험을 통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민꽃게의 색이행동은 시각과 후각에 의하며, 입롱시 매우 강한 경계행동을 보였다. 2) 민꽃게의 통발접촉수는 통발투하후 점차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다. 3) 민꽃게의 입롱은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났고,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4) 통발에 접촉한 민꽃게가 입구쪽으로 유도되는 것은 평면형상이 원형인 통발에서 쉬웠고, 입구부근에서 입구속으로 유도되는 것은 입롱과 출롱은 근본적으로 입구가 하부에 난 통발에서 쉬웠다. 5) 입구 끝이 통발내로 휘어저 들어간 것은 민꽃게의 출롱방지에 효과가 있었다. 6) 입구끝에 혀그물이 있으면 민꽃게의 입롱이 심하게 방해되나, 출롱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 PDF

두점박이민꽃게(갑각강, 단미목, 꽃게가)의 유생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the Swimming Crab,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Crustacea, Brachyura, Portunidae), Reared in Laboratory)

  • 황상구;김창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5-482
    • /
    • 1995
  • 두점박이민꽃게의 유생을 수온 22$^{\circ}C$, 염분농도 33.3%의 해수에서 사육하고, 전체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였다. 본 종은 7 단계의 zoea유생기와 1 단계의 megalopa유생기를 가지며, 부화로부터 megalopa까지는 최저 32일이 걸렸다. 두점박이민꽃게의 제 1 zoea 유생은 갑측극이 있고, 미절과 제2촉각의 형태가 각각 A와 B형이며, 제1소악과 제2소악의 내지가 각각 1+6, 6의 강모식을 가지는 점에서 이미 보고된 민꽃게속 내의 다른 종들의 유생들의 특징과 일치하고 있다. 두저박이민꽃게의 유생들과 이미 보고된 민꽃게 속의 다른 종들의 zoea 및 megalopa 유생 사이에 서로 구별될 수 있는 형태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

꽃게, 중하 및 징거미새우의 유생과 성체에 대한 황화수소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hydrogen sulfide to larvae and adults of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hite shrimp Metapenaeus monoceros and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

  • 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1997
  • 유용 갑각류인 꽃게, 중하 및 징거미새우의 유생과 성체에 대한 황화수소의 급성독성 실험 결과로부터 이들 갑각류에 대한 독성수준, 독성순위 및 유생과 성체와의 독성차를 검토하였다. 황화수소에 대한 꽃게, 중하 및 징거미새우 유생의 96시간 반수치사농도(96hr-$LC_{50}$)는 각각 7.3, 9.3 및 $9.0{\mu}g/\ell$으로 독성순위는 꽃게>징거미새우>중하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체에 대한 황화수소의 96hr-$LC_{50}$값은 꽃게 $42.5{\mu}gS/\ell$, 중하 $37.8{\mu}gS/\ell$, 징거미새우 $56.6{\mu}gS/\ell$로 독성순위는 중하>꽃게>징거미새우 순으로 유생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화 수소는 꽃게, 중하 및 징거미새우의 유생에 대하여 성체에 비해 각각 5.8, 4.1, 6.3배의 강한 독성을 나타냈다.

  • PDF

꽃게의 소리와 행동 (II) (SOUND PRODUCTION AND BEHAVIOUR OF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MIERS) (II))

  • 김상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8-36
    • /
    • 1974
  • 꽂게 (Portunus trituberculatus) 240미, 민꽂게(Charybdis japonica) 78미 등을 2월 21일 부터 8월 7일 까지 사육하면서, 이들이 먹이를 먹을 때 내는 소리를 녹음실의 간이 수조속에서 녹음하고,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녹음된 소리를 증폭시켜 무향 수조 속에서 수중 스피커로 방성하였을 때, 수조속 꽃게들의 반응결과와 녹음된 소리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꽃게들이 내는 소리의 음압은 크기별, 군별로 다르며, $52\~124db$이고, 주파수는 $250\~1000Hz$이다. 2. 꽃게의 내는 소리를 방성할때 추음효과는 약 $70\%$이다. 3. 꽃게의 추음속도는 $3\~6cm/sec$이며, 스피커에 도달한 게는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4, 꽃게의 소리를 이용하여 음향어법에 적용할 때 꽃게의 크기는 갑장 $5.6\~6.5Cm$, 갑폭 $12.6\~15cm$인 암컷이 적당하다.

  • PDF

민꽃게 통발의 개량에 관한 연구 (Modification of Fishing Baskets for Crab , Charybdis japonica)

  • 장덕종;김대안;김용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2호
    • /
    • pp.90-96
    • /
    • 1997
  • 민꽃게를 대상으로 하는 통발 어구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통발의 형상, 입구의 수 등 주로 강조적인 측면을 개선하는데 주력하였을 뿐 민꽃게의 은신행동 등 민꽃게 자체의 기본적 습성을 충분히 이용하였다고는 볼 수 없고, 그물 통발이 가지는 민꽃게 수입 성능상의 한계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다고 생각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민꽃게의 수입 성능적 그물 통발은 한계가 있다고 보고, 민꽃게의 습성을 고도로 이용함으로써 수입성능을 높일 수 있는 2종류의 어구를 고\ulcorner 하여 수조실험과 해상실험을 통해 금.고(1987, 1990)가 개발한 통발과 비교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 통발과 파이프형 통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민꽃게의 접촉율과 반응율은 금.고(1987.1990)가 행한 사구식 각주형 그물 통발의 실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지만, 평판형 얽애그물에서는 접촉율이 잠깐 증가하였다가 바로 감소하였고, 반응율은 급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대치를 보인 후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 차이가 있었다. 2) 민꽃게의 입농시작 시간은 평판형 얽애그물에서 민꽃게가 그물에 접촉하기만 하면 신체의 일부분이 곧바로 그물에 얽혀버렸기 때문에 포획에 걸리는 시간이 다른 통발 어구에 비해 가장 짧게 나타났고, 다음이 파이프형 통발이며 그물 통발에서 가장 늦게 나타났다. 3) 민꽃게의 통발내 분포율을 나타내는 접촉율 곡선과 반응율곡선과의 시폭은 평판형 얽애그물에서 가장 빨리 그리고 많이 벌어져 민꽃게의 체포자체에 있어서는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파이프형 통발의 경우 직경의 차이(${\phi}$ 150, 250mm)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그물 통발에 비해 성능이 높게 나타났다. 4) 파이프형 통발은 입농한 민꽃게에 대해 통발내에서 정제하는 은신행동을 수발하게 하여 민꽃게의 은신처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그물 통발과 파이프형 통발 및 평판형 얽애그물에 대한 어획 실험에서 어구 하나당 평균 어획량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그물통발이였으며, 평판형 얽애 그물에서 가장 적어 수조실험과는 차이를 보였다.

  • PDF

5종(種)의 해산(海産) 갑각류각피(甲殼類殼皮)에서의 Chitin 및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itin and Protein Contents in Shells of 5 Marine Crustaceans)

  • 이미숙;서정숙;모수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7-312
    • /
    • 1984
  • 바다의 무척추동물(無脊椎動物) 중(中) 갑각류(甲殼類)에 속하는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두점박이꽃게(Charybdis bimaculata),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홍새우(Metapenaeus intermedius) 및 바다가재(Squilla oratoria) 등(等) 5종(種)을 택하여 이들의 말린 껍질에서 Ca과 같은 무기질(無機質)을 제거(除去)하여 chitin-protein complex를 얻었다. 이 chitin-protein 복합물(複合物)에 대하여 추출조건(抽出條件)을 달리하여 분리(分離)시켜 얻은 단백질량(蛋白質量)을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각(各) 껍질시료(試料)를 $H_2SO_3$ 등(等)으로 처리하여 얻은 조(粗)chitin질(質) 및 이것을 다시 정제(精製)하여 얻은 정제(精製) chitin질(質)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하였고 한편 정제(精製) chitin질(質)을 위상차현미경(位相差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총단백질량(總蛋白質量)은 3.1%에서 10.9%까지였으며 아주 어린 동물(動物)을 사용한 두점박이꽃게가 3.1%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단백질(總蛋白質) 중(中) EDTA처리로 분리(分離)된 단백질(蛋白質)은 홍새우의 6.4%에서 두점박이꽃게의 26.7%까지이었으며 주(主)로 수소결합(水素結合)을 끊은 7M urea용액에 의해 분리(分離)된 단백질(蛋白質)은 보리새우의 0.1%에서 바다가재의 6.9%까지로 나타났다. 공유결합(共有結合)된 단백질량(蛋白質量)을 구하기 위하여 알칼리 처리를 하였는데 격렬한 조건(條件) 즉(卽) 1N NaOH용액으로 $100^{\circ}C$에서 48시간 처리로 분리(分離)된 단백질량(蛋白質量)은 두점박이꽃게의 51.7%에서 홍새우의 86.9%까지로 총단백질(總蛋白質)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조(粗)chitin질(質)의 함량(含量)은 꽃게가 말린 껍질의 31.8%, 두점박이꽃게 13.6%, 보리새우 34.1%, 홍새우 35.0% 및 바다가재 32.6%이었으며 정제(精製)chitin질(質)의 함량(含量)은 꽃게가 21.1%, 두점박이꽃게 6.2%, 보리새우 20.2%, 홍새우 27.1% 및 바다가재 25.5%로서 두점박이꽃게가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점박이꽃게의 경우 다른 것들과는 달리 매우 어린 동물(動物)을 사용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정제(精製) chitin질(質)과 공유결합(共有結合)된 단백질량(蛋白質量)과의 비(比)는 꽃게, 보리새우 및 홍새우가 다같이 2.7:1이었으며 두점박이꽃게가 3.0:1, 바다가재가 6.1:1이었다. 3. 정제(精製)chitin질(質)의 현미경소견(顯微鏡所見)을 보면 각 표본(標本)에 있어 모두 섬유상(纖維狀)의 형태(形態)를 갖추고 있었다.

  • PDF

건강 레시피-게살크림 스파게티

  • 현지현
    • 건강소식
    • /
    • 제32권5호
    • /
    • pp.24-25
    • /
    • 2008
  • 5월은 꽃게의 계절이다. 제철 음식이 좋다는 건 누구나 아는 상식일 터. 특히 5월 꽃게는 알이 꽉 차있고 살이 단단해 그 맛이 일품이다. 이번 호에서는 입안에 넣으면 사르르 녹을 것만 같은 게살크림스파게티 만드는 법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