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까치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탈 오디오 제너레이터를 이용한 조류 퇴치기 개발 (Development of Bird Exterminator using Digital Audio Generator)

  • 박명관;이수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558-2560
    • /
    • 2001
  • 조류가 인간의 생활 영역에서 피해를 미치는 경우는 송전탑 위에 집을 짓기 위해 나뭇가지나 쇳조각을 이용함으로서 정전사고를 일으키기도 하며, 과수원을 포함하는 논, 밭에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전이나 농가에서는 이러한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조류 퇴치방안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조류 중에 특히 까치의 경우는 소리에 대한 면역성질이 강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퇴치가 어렵다. 본 개발에서는 동물 행동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조류 퇴치음을 발췌하여 압축하여 memory에 저장한 후, 조류가 근접하는 것을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감지하여 random하게 복원하여 조류를 퇴치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 PDF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林)과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 장규관;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14-222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낙엽 활엽수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신갈나무림을 분류하기 위하여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및 중왕산의 자연 식생 중에서 100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1. 신갈나무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면 신갈나무-당단풍 군락군의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 전형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및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은 다시 복장나무 하위 군락 및 전형 하위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TWINSPAN에 의하여 분류하면 신갈나무-복장나무 군락,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곽, 신갈나무-당단풍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3.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 방법은 상호 보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남해에서 채집된 바다뱀과 엽상자어(Leptocephali)의 형태 및 분자 동정 (Molecular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Ophichthid Leptocephali from the South Sea of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4
    • /
    • 2010
  • 2010년 9월 남해 상주 앞바다에서 정치망으로 바다뱀과 엽상자어 4개체(TL 109.8~129.7mm)를 채집하였다. 형태적으로 엽상자어는 8개의 소낭이 항문 앞까지 존재하고, 전체 근절수가 141~151개, 전장에 대한 체고가 10% 이하인 점, 흑색소포가 항문 뒤부터 꼬리지느러미 앞까지 8~9개 분포하는 특징에 따라 까치물뱀속(Ophichthus sp.) 어류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형태적 결과와는 달리 미토콘드리아 DNA 12S rRNA 826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엽상자어는 돛물뱀속(Pisodonophis sp.) 성어와 100% 일치하였고, 돌기바다뱀(Pisodonophis cancrivorus) 성어와는 98.1%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형태 동정결과가 분자 동정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까치물뱀속과 돛물뱀속 엽상자어기의 형태적 구분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채집된 돛물뱀속 엽상자어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한국 주변해역 바다뱀과(Anguilliformes: Ophichth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Snake-eels Family Ophichthidae(Anguilliformes) from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6-60
    • /
    • 2011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바다뱀과 6속 10종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계수에서는 척추골수가 바다뱀이 201~209개로 가장 많았으며, 둥근물뱀(178~183개), 돛물뱀(179~182개), 돌기바다뱀(153~164개), 날붕장어(152~158개), 갯물뱀(155~156개), 까치물뱀(150~154개), 자물뱀(137~148개), 갈물뱀(135-138개) 제주바다뱀(124~134개) 순으로 나타났다. 계측에서는 두장에 대한 주둥이길이(바다뱀속 27.2~31.2 vs. 날붕장어속 18.0~27.7 vs. 까치물뱀속 12.3~21.5 vs. 돛물뱀속 16.5~20.8 vs. 갯물뱀속 11.4~11.9 vs. 자물뱀속 9.1~9.4)에서 잘 구분되었다. 한국 주변해역 바다뱀과 6속 10종의 종 검색표를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치악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 -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Guryong Temple - Birobong Area -)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내 주 이용대상지인 구룡사-비로봉 일대 삼림군집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간 간섭의 정도 및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4개 조사지를 선정하고 총 45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인간의 간섭이 심한 저지대 계곡부의 경우 비교적 천이단계가 낮은 소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조사지 I ), 비교적 인간의 간섭이 심한 고지대 계곡부(조사지 II)와 근래에 입산금지가 된 계곡부(조사지 III )에서는 층층나무. 주등산로가 있는 고지대 능선부(조사지 IV)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종다양성은 조사지 III, II, I, IV의 순으로 높았는데, 이것은 능선부인 조사지 IV를 제외할 때, 인간 간섭의 정도와 역의 관계였다. 종상관성 분석결과 소나무는 타수종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가지는 경우는 비교적 많았으나 정의 상관을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대체로 순림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치악산 구룡사 계곡의 DCA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 표고 및 환경인자에 의해 3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stand ordination에 따라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소나무-갈참나무, 갈참나무-서어나무, 층층나무-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천이과정은 능선 및 중복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및 참나무류, 팥배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로, 계곡저지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참나무류$\longrightarrow$층층나무, 까치박달나무로 진행되는 과정이었다.

  • PDF

까치복, Fugu xanthopterus의 조직별 독성차이 (Difference of Toxicities among Tissues in the Pufferfish Fugu xanthopterus('Ggachibog'))

  • 김현대;김동윤;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63-368
    • /
    • 1991
  • 부산 시내 어시장에서 구입된 까치복어, Fugu xanthopterus의 조직부위별 독성과 특정부위의 독성간 상호관계를 mouse bioassay법에 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즉, 개체당 전체 독량이 0-36,816 MU로써 개체에 따라 독성차이가 있으며, 간, 난소 그리고 내장의 평균독성은 각각 $110.0\pm25.0,\;115.0\pm33.0\;$$73.0\pm20.3\;MU/g$(평균치$\pm$표준편차)이었다 또한 각 부위별 독성의 빈도순서는 간$(88\%)$, 난소$(80\%)$ 내장$(75\%)$, 정소$(71\%)$, 담즙$(71\%)$, 껍질(54\%)$, 그리고 근육조직$(13\%)$의 순이었다. 한편 간과 내장, 껍질, 난소조직의 독성은 그 상관계수가 각각 r=0.93, r=0.79 및 r=0.83으로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백색광에 대한 까치복의 반응 (Response od Striped Puffer to the White Light)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44-149
    • /
    • 1988
  •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까치복 Fugu xanthopterus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쪽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대체로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서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다소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298.56 lux(188.44~444.96 lux)로써 주야간에 같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47.30%, 야간에 50.43%로써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 PDF

피음처리를 실시한 3개 활엽수종의 광합성과 생장 특성 (Photosynthetic Responses and Growth Performances in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pecies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 조민석;권기원;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62-469
    • /
    • 2007
  • 본 연구는 인위적인 피음처리 수준을 4단계(상대 투광율; 100%, 54~65%, 26~37%, 8~13%)로 조절한 생육환경 하에서 생장시킨 튜울립나무, 거제수나무, 까치박달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과 생장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튜울립나무와 거제수나무의 광합성률은 전광 처리구에서 13.59, $16.29{\mu}mol\;CO_2{\cdot}m^{-2}{\cdot}s^{-1}$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피음처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합성 능력, 생장 및 물질생산량을 보였다. 까치박달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26~37%)에서 광합성률이 $9.47{\mu}mol\;CO_2{\cdot}m^{-2}{\cdot}s^{-1}$으로 가장 높았으며, 생장과 물질생산량도 가장 많았다.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Gayasan National Park by the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 이경재;조재창;우종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41
    • /
    • 1989
  • 가야산 국립공원과 홍류동 및 치인지구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의 정량적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40개의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에서 최종적으로 8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건조형군집은 소나무 및 잣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습윤형은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습윤형은 다시 표고에 의해 구분할 수 있었으며 낮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졸참나무가, 높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DCA에 의한 ordination결과는 제1축에서 소나무가 우점종인 군집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TWINSPAN의 제1 division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DCA의 제1축과 토양수분, 토양산도, 표고, 최대종다양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각군집간에 매우 낮은 값이었으며, 각 군집의 종다양성분석에서는 각 군집의 우점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개체수와 종수와의 관계는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수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