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훈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27초

방사선 조사 닭고기에서의 휘발성 조사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 차용준;김훈;박승영;조우진;윤성숙;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50-1056
    • /
    • 2000
  • 방사선 조사된 닭고기에서 방사선 조사선량에 대해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을 구명함으로서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닭고기를 시료로 하여 LLCE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29종의 휘발성성 분이 방사선조사된 닭고기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 (62종), 방향족화합물류(44종), 알데히드류(9종), 케톤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비조사된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으면서 방사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대해 그 함량의 변화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로서 2-methylpentanal, 4-methylcy clohexne 및 cyclotetradecene 등 3종의 화합물이 선정되었으나 방사선 조사선량 증가와의 상관성을 고려한 결과 cyclotetradecene만이 닭고기의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로 선정되었다.

  • PDF

방사선 조사 쇠고기에서의 휘발성 조사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eef)

  • 차용준;김훈;박승영;김소정;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42-1049
    • /
    • 2000
  •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쇠고기를 시료로 하여 LLCE법으로 휘 발성 향기성 분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함으로써 방사선 조사선량과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을 구명하여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물질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150종의 휘발성 성분이 방사선 조사된 쇠고기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 방향족화합물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acid류, 에스테르화합물류 및 기타화합물류로 구성 되어 있었다. 이중 탄화수소류(71종)와 방향족화합물류(35종)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휘발성 조사물질로서는 (E)-2-hexenal, nonene, 2-nonenal, cyclodecene, dodecene 및 cyclododecene등 총 6종의 화합물이 선정되었다. 하지만 검출 조사선량 범위와 상관계수값을 고려하였을 때 dodecene과 cyclododecene은 표지 물질로서는 부적당하였으며 (E)-2-hexenal, nonene, 2-nonenal 및 cyclodecene 등 4종의 화합물이 쇠고기의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로 선정하였다. 이중 방사선 조사선량 증가에 대해 가장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낸 화합물은 cyclodecene(r=0.88)이었으며, 다음으로 (E)-2-hexenal, nonene 및 2-nonenal 순이었다.

  • PDF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김은정;김훈;조우진;유미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15-1521
    • /
    • 2004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고증 및 자문을 통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숙성온도를 $5^{\circ}C$, $20^{\circ}C$, 변온(10일간 $20^{\circ}C$에 숙성후 $5^{\circ}C$에서 저장) 구간으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정미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식해의 일반성분은 숙성중 큰 변화가 없었고, 전당은 5.63~13.41% 범위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이 감소하였다. pH는 $5^{\circ}C$에서 저장한 식해를 제외하고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여 3.8~4.4 범위를 유지한 반면에 총산, 아미노질소 및 VBN함량은 숙성기간과 함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의 증가폭이 컸고 변온의 경우는 이러한 함량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불휘발성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acid의 순으로 식해의 신맛에 영향을 미쳤다. 유리아미노산(taste value로 환산한 경우)에서는 단맛과 감칠맛과 관련이 있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ysine과 쓴맛을 내는 valine, methionine 등이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hypoxanthine이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엑스분질소(Ex-N)의 함량은 숙성기간중 277~581 mg% 범위였으며, Ex-N의 1/2이상을 아미노질소가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총 creatinine-N, TMAO-N 및 TMAN순이었다.

현미 및 백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가 및 향기 패턴 분석 - 연구노트 -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Analysis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 성지혜;김훈;최희돈;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13-6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현미는 $30^{\circ}C$ 항온기에 넣고 30일간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였고 백미는 저장기간의 차이를 두기 위해 생산 년도에 따라 시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현미와 백미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가가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차이를 둔 현미 및 백미의 향기패턴 변화를 SMart No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미와 백미사이에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변수들의 판별력에 가장 차별성을 높게 표현하는 18종류(41~81 amu)의 질량을 선택하여 주성분 분석 결과 현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95.64%, 2.78%로 나타났고 백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81.18%, 13.85%로 나타났다. 백미보다는 현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두 시료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PCA1값이 음의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쌀의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고 향기패턴이 변화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SMart Nose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방식들보다 더 용이하게 쌀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선조사 고추가루로부터 휘발성 표지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 -induced Volatile Marker Compounds in Irradiated Red Pepper Powder)

  • 김훈;안준석;신영민;이영자;이경혜;변명우;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6-242
    • /
    • 2005
  • 방사선 조사된 고춧가루의 휘발성 화합물로부터 방사선 조사 표지물질의 선정에 의한 새로운 검지방법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시료로 하여 SPME법 및 P&T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PME법 및 P&T법에 의해 각각 51종과 34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 중 방사선 조사선량과 유의 적 상관성 (p<0.05 또는 p<0.01)을 가지는 총 25종의 화합물이 SPME법 및 P&T법에 선별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4종, dodecane, tridecane, tetradecene, pentadecane), 알데히드류(7종: propanal, 2-methylpropanal, 2-propenal, hexanal, (E)-2-octenal, benzaldehyde, (E)-2-noneal), 케톤류(1종: 2,2,6-trimethyl-cyclohexanone), 알콜류(3종: 1-ponton-3-ol, hexanol, 1-octen-3-ol), 방향족화합물류(4종: toluene, ethyl benzene, o-xylene,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에스테르 화합물류(2종,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및 기타 화합물(4종: p-cymene, tetra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beta$-ocimene)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방사선 조사선량과 화합물의 함량 간의 회귀분석에 의한 결정계수($R^2$) 0.80 이상을 나타내며, 방사선 조사된 시료에서만 검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화합물은 1,3-bis(1,1-dimethylethyl)benzene 1종 뿐이었으며, 1,3-bis(1,1-dimethylethyl)benzene이 SPME법 과 P&T법에 의한 고춧가루의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휘발성 표지물질로 선정되었다.

한국 소아청소년 중독 환자의 경향: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 (Trends in Korean Pediatric Poisoning Patients: Retrospective Analysis of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 이경재;김경환;신동운;박준석;김훈;전우찬;박준민;김현종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9-7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features of infant, child, school aged and adolescent patients treated for acute poisoning in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s (E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data pertaining to patients under 19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for acute poisoning in nationwide EDs from 2013 to 2015.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fant and child group' (0 to 5 years), 'school age group' (6 to 12 years) and 'adolescent group' (13 to 18 years). General characteristics, Korea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7^{th}$ (KCD-7) codes and results of care were collected. Results: There were 14,500 pediatric poisoning cas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istribution of patient age was bimodal with two peaks among infant, child and adolescent group. The proportion of alert mentality at the ED visit of the infant and child group was 99.3%, while that of the adolescent group was 86.4%. The proportion of intentional intoxication was higher in the adolescent group (40.7%) than other age groups. Among children less than 13 years of age, various poisonous substances and therapeutic drugs were common. Conclusion: There were some clinical differences in acute poisoning patients between age group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eventive pla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by age. Since the KCD-7 code has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oisoning pati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gistration system of poisoning patients.

불량반응군에서 GnRH Antagonist와 Agonist Long Protocol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GnRH Antagonist and Agonist Long Protocols in Poor Responders)

  • 최지영;구승엽;김훈;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39-244
    • /
    • 2010
  • 목 적: 본 후향적 연구는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와 길항제 (GnRH antagonist) 치료를 받은 불량반응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172회의 체외수정시술 주기에서 GnRH agonist 또는 antagonist protocol로 과배란유도를 시행받고 채취된 난자의 수가 5개 이하인 불량반응군을 대상군으로 하였다. 난포 및 채취된 난자의 수, 수정률 등의 결과를 두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GnRH agonist long protocol과 antagonist protocol 두 군 간에 난포 및 난자의 수와 수정률은 차이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반면, 과배란유도 제7/8일의 혈중 $E_2$ 농도는 GnRH antagonist군에서 더 높았던 반면, 사용한 평균 성선자극호르몬의 용량은 유의하게 적고 과배란유도 기간은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p<0.01). 결 론: 불량 반응군에서 GnRH agonist long protocol에 비하여 GnRH antagonist protocol의 경우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한 반면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고려할 때, GnRH antagonist protocol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Salivary Gland Tumors)

  • 장경훈;장유철;정환우;양훈식;김훈;김춘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77-286
    • /
    • 1997
  • 저자들은 1988년부터 1996년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수술적으로 치료한 47례의 타액선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호발연령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악성종양의 경우 양성종양보다 호발연령이 높았다. 2) 여자에서 남자보다 호발하며 그 비율은 1.5;1 이었다. 3) 발생부위는 이하선이 가장 많아 48.9% 였으며, 악하선, 소타액선의 순이었으며 소타액선 종양은 구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4) 악성의 빈도는 소타액선에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악하선, 이하선 순이었다. 5) 가장 많은 증상은 무통성의 종물이었다. 6)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진단적 정밀도는 88.9% 였다. 7) 가장 흔한 타액선종양은 혼합종으로 전체의 57.4 %였다. 8) 악성종양 중 경부임파절 전이율은 22.2%였다. 9) 수술적 치료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19.1% 였으며 일시적 안면신경마비가 가장 많았다.

  • PDF

Thermotoga maritima로부터 고온성 β-glucosidase (BgIB)의 클로닝과 필수아미노산 잔기의 확인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Essential Residues for Thermostable β-glucosidase (BgIB) from Thermotoga maritima)

  • 홍수영;조계만;김용희;홍선주;조수정;조용운;김훈;윤한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48-1157
    • /
    • 2006
  • 초고온성 세균인 Thermotoga maritima로부터 ${\beta}-glucosidase$ 유전자를 클로닝한 후 대장균 숙주에서 발현시켰다. 이 효소는 salicin, arbutin, $_pNPG$과 같은 탄소원의 ${\beta}$-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였다. 721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2,166 bp의 DNA 염기서열로된 유전자이였다. 다른 ${\beta}-glucosidase$ 효소들과 단백질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glycosyl hydrolase family 3에 속하였으며 MUG-nondenaturing PAGE와 SDS-PAGE에 의해 확인된 단백질의 크기는 약 81 kDa이었다. 효소활성은 pH 7.0, $8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는 두 개의 아미노산 잔기 (232번 글루탐산과 242번 아스파르트산 잔기)를 알라닌으로 치환시켜 활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 두 잔기가 효소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순열 태아에서 3D 산전 초음파를 이용한 치조열 및 구개열의 동반 유무 진단 및 산전상담 (Prenatal Diagnosis of Accompanying Alveolar Cleft and Cleft Palate in Fetuses with Cleft Lip Using Prenatal 3D Sonographic Identification and Antenatal Counseling)

  • 고경석;김훈;최종우;원혜성;김선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81-185
    • /
    • 2007
  • Purpose: Cleft lip and/or palate is the most common congenital facial anomaly whose incidence is about 1 in 500~1000 live births. As this anomaly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rious chromosomal anomalies or the multiple organ abnormalities resulting in the fetal loss or perinatal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careful prenatal counseling with early and accurate detection is important. Although conventional prenatal ultrasound(US) examination in midterm pregnancy has been applied for screening of cleft lip, there are definite limitations in the diagnosis of accompanying cleft palate or alveolar cleft. We applied high-resolution 3D US along the serial axial, coronal and sagittal plane so that we could diagnose the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n fetuses with cleft lip. Methods: From May 2005 to September 2005, 20 fetuses with cleft lip were examined with prenatal 3D US. Average maternal age was 28.8 years old(24-35 years old), and average gestational age was 24.8 weeks(17.6 to 34.2 weeks). Consecutive axial, coronal and sagittal multislice view were obtained via prenatal 3D US examination and diagnosis of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n cleft lip fetuses was followed. Results: With noninvasive and safe prenatal 3D US examination, 17 of 20 cleft lip fetuses were demonstrated to have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Prenatal counseling according to the result was made. Conclusion: Existing prenatal US examination is suitable for screening the cleft lip fetuses but has limitation in identifying the related existence of cleft palate and/ or alveolar cleft. Authors verify the presence of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acquiring the successive multislice axial, coronal, and sagittal view with prenatal 3D US examination. Therefore, prenatal 3D US examination could be regarded as a noninvasive and secure screening modality in fetuses with cleft lip for confirming whether cleft palate and/or alveolar cleft is accompan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