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김제화강암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etrochemistry of Granitoids in the Younggwang-Kimje area, Korea (영광-김제 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 Park, Young-Seog;Kim, Jong-Kyun;Kim, J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1
    • /
    • pp.55-70
    • /
    • 2001
  • Granitoids in the Younggwang-Kimje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f granite. One is foliated granite (Cheongup and Kochang foliated granites) developed along the NE-SW direction kwangju fault system and the other is undeformed granite (Kimje and Younggwang granites) develop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area. $SiO_2$ content of study area, Younggwang granite is 62.8-74.0%, Kochang foliated granite is 64.5-74.4%, Cheongup foliated granite is 64.5-70.2%, Kimje granite is 63.4-72.0%.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se granitoids belong to the intermediate and acidic rock. In Harker's diagram, as $SiO_2$ increases, $Al_2O_3$, $Fe_2O_3$, MgO, CaO, $TiO_2$> $P_2O_{5}$s and MnO decrease, but $K_2O$ increases. In AFM diagram, Younggwang granite, Kochang foliated granite, Cheongup foliated granite and Kimje granite belong to calk-alkaline rock series. And in triangular diagrams of normative Qz-Or-Pl and An-Ab-Or, they are located in granodiorite and granite region. On the co-variation diagrams of trace elements with silica, Ba, Co, Li, Nb, An, Rb elements show increasing patterns. The diagrams of ACF and $Na_2O$ vs. $K_2O$ ratios indicate that granitoids of the study area belong to I-type.

  • PDF

전주전단대 화강암류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측정: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대한 고찰

  • 이승렬;이병주;조등룡;기원서;고희재;김복철;송교영;황재하;최범영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55-55
    • /
    • 2003
  • 호남전단대는 옥천대 남서부지역에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일련의 우수향 연성전단대로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북아 지역의 중생대 부가작용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조구조적 요소이며, 특히 북중국 대륙과 남중국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에 부가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동북아 지역의 중생대 지체구조 발달사를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구조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호남전단대의 정확한 운동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는 전주전단대가 지나가는 김제 금산사 지역과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를 대상으로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전단운동시기를 밝혔다. 금산사 지역은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섬록암이 흑운모 화강암에 포획된 명확한 지질학적 증거를 보이고 있는 곳으로 화강섬록암의 U-Pb 저어콘 연대는 172.7 $\pm$ 1.4 Ma이며 화강암의 연대는 169.6 $\pm$ 1.8 Ma과 167.5 $\pm$ 2.4 Ma로 구해졌다. 따라서 전주전단대의 전단운동은 약 173 - 170 Ma 기간에 일어났다. 특히 화강암 내에 포획된 화강섬록암 내에는 전반적인 우수향 전단운동 후기에 관입한 다수의 석영질 맥이 좌수향의 전단운동을 받은 증거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우수향의 전단운동 이후 화강암의 관입 이전에 좌수향의 전단 운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무안 지역은 전주전단대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곳으로 각섬석화강섬록암과 이를 관입한 각섬석화강암이 모두 우수향의 전단운동을 받았다. 화강섬록암의 U-Pb 저어콘 연대는 176.3 $\pm$ 1.7 Ma이며 화강암의 연대는 165.8 $\pm$ 2.0 Ma로 구해졌으며, 따라서 최종 우수향 전단운동의 시기는 166 Ma 이후로 생각된다.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과 화강암의 관입시기는 금산사 지역의 화강섬록암과 화강암과 각각 조화적이다. 호남전단대의 운동 시기를 밝히기 위해 전주전단대에 해당하는 금산사 지역과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U-Pb 저어콘 연대 측정을 실시한 결과 호남전단대의 특징적인 우수향 전단운동은 적어도 2회에 걸쳐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첫 번째 광역적인 전단운동은 약 173 - 170 Ma 시기에 일어났으며, 두 번째 전단운동은 166 Ma 이후에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기의 우수향 전단운동은 후기 화강암 관입 이전에 좌수향 전단 운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재활성 되었으며, 후기 화강암의 관입 이후에 재차 우수향 전단운동으로 활성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호남전단대는 쥬라기 중기에 발생한 광역적인 우수향의 연성전단운동이나, 운동 특성은 연속적이기 보다는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imension Stone Quarries in Korea (국내 석재산지의 지역별 분포유형과 특성)

  • Lee, Choon-Oh;Hong, Sei-Sun;Lee, Byeong-Tae;Kim, Gyeong-Soo;Yun, Hyun-So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s.45
    • /
    • pp.154-166
    • /
    • 2006
  • Though there are more than 600 active and non-active dimension stone quarries in Korea, most quarries are small-scaled and non-active. Main dimension stone belt in Korea is distributed in the Wonju-jecheon-Mungyeong-Geochang-Jinan-Nanwon-Geogumdo area with NNE direction, which occupies about 50% of domestic dimension stone quarries. The other dimension stone belts occur in the Gangyeong-Iksan-Gimje area, the Pocheon-Ujeongbu area and the Boryeong area. The dimension stones in Korea have been produced from at least fifteen rock types: granite, diorite, syenite, gabbro, homblendite, basalt andesite, rhyolite, tuff felsite, sandstone, marble, gneiss, schist and slate. However, seven or eight rock types such as granite, diorite and marble are currently produced. The dimension stones are quarried out 87% from plutonic rocks (mainly granite and diorite), 6% from sedimentary rocks (mainly sandstone), and 3% from metamorphic rocks (mainly marble). Main rock types of the dimension stones ar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ir production locality. In the Jeollanam-do area, most dimension stones are produced from diorite. Marble is mainly produced from the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areas. Black sandstone is exclusively quarried out from the Chungcheongnam-do area. Granite is most abundant dimension stone in Korea. Above 50% of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re medium-grained to coarse-grained granitic rocks, but fine-grained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10% of distribution. The color of the dimension stone varies with rock types. Most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dominant colors of whitish gray and gray, which are produced from the Wonju, Gapyeong, Iksan, Namwon and Geochang areas. Pink-colored granites are rarely produced from the Mungyeong area.

Soil Mineralogy (토양광물)

  • J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1
    • /
    • pp.36-4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8년 김제지방의 답 토양에 관한 연구로 (Dewan, 1958)시작되었다. 1960년대 시작하여 1970년대 까지는 주로 토양점토광물의 동정이 이루어 졌다. 점토광물의 동정(同定)에 사용된 잔적토(殘積土)(Residual Soil)로는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현무암(玄武岩),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제(第)3기층(紀層), 홍적층(洪積層) 유래 토양과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로는 과부식회색토(寡腐植灰色土), 염류토(鹽類土), 충적토(沖積土), 적황색토(赤黃色土), 화산회토(火山灰土), 퇴적토(堆積土), 갈색토(褐色土), 암쇄토(岩碎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이였으며,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과 작물수량성(作物收量性)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풍화에 대한 안정도와 1차광물의 동정이 행해졌으며, 이밖에 Kaolinite 입자의 전하에 관한 연구등 점토광물의 흡착과 활성 연구, 점토광물의 토양개량재로서의 흡착과 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와 점토광물의 토양개량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 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정량에 대한 자료가 축척되었고, 토양의 풍화에 대한 안정성과 생성기작, Zeolite와 새로운 광물이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광물을 이용한 농업과 산업광물로의 응용성 환경 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시도되었다. 토양의 점토광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는 토양 모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화강암(花崗岩)에서는 Halloysite,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에서는 Kaolinite, Metahalloysite, Illite, 산성암(酸性岩)에서는 Kaolinite, Venrmiculite와 Chlorite의 중간광물, 현무암(玄武岩)에서는 Illite, Kaolinite, Vermiculite, 석회암(石灰岩)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 Kaolinite와 Illite, 혈암(頁岩)에서는 Kaolinite, Halloysite, Illite 외 Vermiculite-Chlorite,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는 Allophane이 주광물이었다. Soil Taxonomy와 토양광물과의 관계에서, 답 토양에서는 Entisols의 주점토광물은 2:1형과 1:1형 광물이지만 Inceptisols와 Alfisols에서는 Halloysite가 대부분이다. 밭 토양의 경우는 Alfisols의 주점토광물은 Vermiculite, Illite, Kaolinite이었고, Ultisols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이었다. 산림토양에서는 Inceptisols중에서 Andept는 Allophane, Alfisols에서는 2:1 광물이지만, Ultisols에서는 Halloysite이다. 모재별 조암 광물의 풍화와 점토광물의 생성과정에서 화강암(花崗岩)과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이 밖의 운모광물(雲母鑛物), 녹니석(綠泥石), 각섬석(角閃石), 휘석(輝石)으로부터 생성된 illite, chlorite, vermiculite는 풍화중간에 혼층단계(混層段階)를 거쳐서 kaoline 광물로 풍화된다. 석회암(石灰岩) 토양의 smectite가 Mg농도가 높은 토양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생성되었거나 운모 또는 chlorite에서 유래된 vermiculite의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혈암(頁岩)토양의 점토에 illite가 주로 풍화에 저항성이 큰 미립자의 함수백운모(含水白雲母)로부터 유래되며, 현무암(玄武岩) 중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휘석(輝石)은 chlorite${\rightarrow}$illite의 풍화과정을 거친다. Zeolite, 함불석 Bentonite, Bentonite 등 우량점토 광물이 분포과 광물조성, 이화학적 특성이 조사되었고,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토양의 개량을 위해서 Bentonite, Zeolite, Vermiculite 등의 토양 개량재(改良材)로서의 기초연구와 이들 개량재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논토양에서 수행되었다. 점토광물과 수량관계를 보면 Montmorillonite를 주점토광물로 함유된 답 토양의 수도수량이 1:1 광물을 주점토광물로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서의 수도수량 보다 높았다. 토양광물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양이온교환능과 포화이온의 영향, 입자의 전기화학적 성질, 흡탈착 성질, 표면적과 등전점, 해성점토에 대한 압밀점토(壓密粘土)의 변형율(變形率)의 추정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부가가치가 낮거나 폐기되는 광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재 혹은 흡착제를 형성하는 연구가 알카리 처리에 의한 Zeolite 합성에 집중되었다.

  • PDF

Thermal and Uplift Histories of the Jurassic Granite Batholith in Southern Jeonju: Fission-track Thermochronological Analyses (전주 남부지역 쥬라기 화강암질 저반체의 지열사와 융기사: 피션트랙 열연대학적 해석)

  • Shin, Seong-Ch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5
    • /
    • pp.389-410
    • /
    • 2016
  • Wide ranges of fission-track (FT) ages were obtained from the Jurassic granite batholith in Jeonju-Gimje-Jeongeup area, southwestern Okcheon Belt: sphene=158~70 Ma; zircon=127~71 Ma; apatite=72~46 Ma. Thermochronological analyses based on undisturbed primary cooling and reset or partially-reduced FT ages, and some track-length data reveal complicated thermal histories of the granite. The overall cooling of the batholith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rapid earlier-cooling (${\sim}20^{\circ}/Ma$) to $300^{\circ}C$ isotherm since its crystallization and a very slow later-cooling ($2.0{\sim}1.5^{\circ}/Ma$) through the $300^{\circ}C-200^{\circ}C-100^{\circ}C$ isotherms to the present surface temperature. It is indicated that the large part of Jurassic granitic body experienced different level of elevated temperatures at least above $170^{\circ}C$ (maximum>$330^{\circ}C$) by a series of igneous activities in late Cretaceous. Consistent FT zircon ages from duplicate measurements for two sites of later igneous bodies define their formation ages: e.g., quartz porphyry=$73{\pm}3Ma$; diorite=$73{\pm}2Ma$; rhyolite=$72{\pm}3Ma$; feldspar porphyry=$78{\pm}4Ma$ (total weighted average=$73{\pm}3Ma$). Intrusions of these later igneous bodies and pegmatitic dyke swarms might play important roles in later thermal rise over the study area including hot-spring districts (e.g., Hwasim, Jukrim, Mogyokri, Hoebong etc.). On the basis of an assumption that the latercooling of granite batholith was essentially controlled by the denudation of overlying crust, the uplift since early Cretaceous was very slow with a mean rate of ~0.05 mm/year (i.e., ~50 m/Ma). Estimates of total uplifts since 100 Ma, 70 Ma and 40 Ma to present-day are ~5 km, ~3.5 km and ~2 km, respectively. The consistent values of total uplifts from different locations may suggest a regional plateau uplift with a uniform rate over the whole granitic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