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일성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북한 도서관의 발전과정에 김일성이 미친 영향-김일성저작집을 중심으로 한 사적 고찰 (The Influences of Kim Il-Sung on Development Process of Libraries in North Korea)

  • 송승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3-102
    • /
    • 2001
  • 본 연구는 해방이후의 북한 도서관의 발전과정에 김일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먼저, 김일성 저작집의 도서관관련 내용을 조사·분석하고, 다음 이와 관련된 문헌과 자료를 통해 사실의 진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북한 교육계에 종사했던 탈북 인사의 증언과 이 글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였다.

  • PDF

북한 신년사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지속과 변화 (Possible Continuity and Change of North Korea Though Analysis of, Kim Jong-un's New Year's Message)

  • 이성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1호
    • /
    • pp.75-87
    • /
    • 2014
  • 집권 3년차의 김정은 시대 북한의 지속과 변화 분석은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한 결과 보다 합리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의 신년사를 활용하였다. 북한에 있어서 신년사만큼 영향력 있는 사항은 드물며 북한사회의 제 분야에 있어서 한해의 길라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 신년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종합된 신년사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구분하여 발표방법, 내용구성, 기타사항을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북한 정권별 신년사 특징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의 지속과 변화를 전망해 보았다. 먼저 지속적인 사항으로 제시한 사항은 사회주의 체제 고수와 선군정치의 통치방식이다. 변화사항으로는 (1)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부분적인 개방문제, (2) 북한의 핵문제, (3) 자본주의 성격의 유입과 사회주의 통제력 약화, (4) 김정은의 해외 유학경험 등을 4가지 사항을 변화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김정은 시대의 북한 사회의 변화와 지속요인은 복합적으로 작동될 것이다. 김정은 시대의 북한의 지속과 변화문제는 남북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핵심 사항들이다.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국론결집 노력 강화와 변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첨성대 - 풍수, 기, 몸 보신

  • 정경희
    • 과학과기술
    • /
    • 제30권10호통권341호
    • /
    • pp.22-23
    • /
    • 1997
  • 풍수지리설과 같은 의사과학이 우리사회에 범람하고 있다. 돈푼이나 있는 사람치고 명당자리 가족묘지터를 사놓지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라고 하며 김일성이 조상묘탓에 죽었다는 풍수지리책이 베스트셀러가 됐었다. 또한 몸 보신과 양기에 좋다면 물불을 안가리는 것이 현 세태다. 우리사회와 문화의 합리적 발전을 위해서는 이들을 계몽하고 교육하는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북한의 책.독서.출판풍경 스케치

  • 유영구
    • 출판저널
    • /
    • 통권245호
    • /
    • pp.8-9
    • /
    • 1998
  • 북한의 책값은 2원 이하인데 이는 공장노동자 월급 70-80원 수준에 보면 비싼 편이다. 정책적으로 대량발간하는 김일성.김정일 서적이 중심이 되므로 책은 다양하지 못하다. 대중적인 인기가 높은 책은 역시 문예물이다. 오락수단이 적은 탓인지 평양시내나 산책로 등지에서 독서에 열중하거나 지하철.전차에서 책 읽는 주민들도 많은 편이다.

  • PDF

북한 노후소득보장에서 가족의 역할에 대한 연구: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시대의 비교 (Changes of Family Role on the Elderly Income Security in North Korea)

  • 조성은;민기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35-167
    • /
    • 2017
  •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시장-가족이라는 복지제공의 3주체가 어떻게변화해 왔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눈덩이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25명의 북한이탈주민 인터뷰를 통해 노후소득보장 실태를 중심으로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김정은 시대를비교함으로써 복지제공의 3주체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북한 노인의 삶은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김일성 시기에는 국가주도책임, 시장책임부재, 가족보완책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김정일 시기에는 국가책임약화, 시장책임등장, 가족보완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복지제공 주체에서 제도와 현실 간의 괴리가발생함으로써 북한 노인은 공적 소득보장제도에서 배제되어 있다. 북한의 법령, 즉 제도적 차원에서는 시장의 복지책임이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시장의 복지책임이 최소 20년 전부터나타났으며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복지제공 주체 측면에서 김정일 시대에 공고화된 '약화된 국가와 강화된 시장'은 김정은 시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북한 노인들을 위한 공적 소득보장정책이 국가차원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다.

테러방어과학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2호통권393호
    • /
    • pp.45-74
    • /
    • 2002
  • [테러리즘 현황] - 현대사회 테러리스트 공격에 속수무책, 유형ㆍ시대따라 달라도 늘 빈틈노려 덮쳐/[무력테러] - 인터넷 등 첨단기술이용 무기 현지조달, 국가안보차원서 테러 대처능력 갖춰야/[생물테러] - 생명공학 접목ㆍ소량으로 대량살상 가능, 무미ㆍ무취에 은밀ㆍ잠재성 커 무기화 박차/[화학테러] - 1차 대전때 겨자가스공격 1백30만명 사상, 북한은 61년 김일성지시에 따라 5천톤 비축/[방사능테러] 원자력발전소 등 각종 핵시설 공격 목표, 한국은 북한의 핵위협 예방 종합대책 필요/[사이버테러]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전산망 파괴 가능, 미래 전쟁은 네트워크 파괴가 성패 갈라

  • PDF

소련의 헬기(2)

  • 강극수
    • 국방과기술
    • /
    • 9호통권151호
    • /
    • pp.56-64
    • /
    • 1991
  • 과거 지상군이 기동수단으로 각종 차량을 운용하였듯이, 미래 2000년대의 전장에서는 헬기가 주요 기동수단의 하나로 발전할 것이라는 점도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전망에서 우리는 김일성 부자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고 주요 무기체계의 자급이란 목표달성을 위해, 앞서정부가 황무지에서 군용차량 자급을 이룩해낸 70년대의 방위산업 투자를 다시한번재현하여, 2000년대 "공중기동차량" 자급을 이룩할수 있도록 서둘러 정부차원의 항공산업 육성책을 마련해 추진하여야 할것이다

  • PDF

1994년 북한 GNP 추정결과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9호통권175호
    • /
    • pp.38-41
    • /
    • 1995
  • ‘94년중 북한경제는 석탄, 전력 등 성장선행부문의 성장이 부진했던 데다가 핵문제 등으로 인한 대외 경제협력 환경의 악화, 김일성 사망 이후의 정치사회적 불안정 등으로 산업생산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여 실질 GNP가 1.7% 감소하였음.(5년 연속 부의 성장을 기록) ’94년중 북한의 경제규모를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명목 GNP는 212억달러로 한국(3,769억 달러)의 1/18수준, 1인당 GNP는 923달러로 한국(8,483달러)의 1/9 수준에 머물러 전년에 비해 경제력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음. 또한 산업구조면에서 북한은 농림 어업 광업 등 원시산업부문의 비중이 우리나라보다 크게 높은 반면 건설업과 제조업, 서비스부문 등의 비중은 우리나라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 PDF

북한의 천문학 교육 및 연구현황 분석연구

  • 민영기
    • 천문학논총
    • /
    • 제8권1호
    • /
    • pp.207-24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발행된 출판물을 통해서 북한의 천문학 교육과 연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남한의 실상과 비교하였다. 북한에는 국가 천문대로서 과학원 소속의 평양천문대가 있다. 이 천문대의 시설은 연구보라는 주로 실용성의 천문 관측을 위한 것들이다. 북한에는 교육용천문대로서 김일성종합대학 천문대, 평양학생소년궁전 천문대, 만경대소년궁전 천문대가 있다. 북한에서는 천문학 교육이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천체현상의 원리를 이해시키기보다는 현상의 설명에 치우치고 있다. 김일성 종합대학에서 천문학자가 양성되고 있으나 독립된 학과는 없고 물리학과에서 천문학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남북한의 용어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북한 용어의 특징은 우리말로 풀어서 만든 용어가 맡은 것이다. 북한에는 천문학의 단독학술지는 없고 단행본의 수도 극히 적다. 북한에서 발표되는 연구논문의 수는 매년 수편에 불과하다. 북한의 역서는 천문력과 항해력을 합친 것으로 방대한 분량을 수록하고 있다. 출판물에 나타난 북한의 천문학자수는 42명이고 그들 중 21명이 국채전문연맹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북한학자들은 천문학의 기초 분야보다는 태양 관련 분야나 위치천문, 인공위성 등 실생활과 관련 있는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앞으로 남북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남한의 기초와 북한의 응용 분야가 결합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천문학 수준 향상을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