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용하

검색결과 1,769건 처리시간 0.031초

3차원 심볼을 활용한 3차원 수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3D Digital Maps Using 3D Symbols)

  • 박승용;이재빈;유기윤;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17-424
    • /
    • 2006
  •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에서 3차원 수치지도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론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은 아직도 많은 부분들이 수작업이나 반자동 기법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3차원 수치지도의 제작 및 표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요시키게 되므로 3차원 수치지도의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 객체들을 심볼(symbol)의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으로 3차원 지형지도에 안착시킴으로써 3차원 수치지도제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3차원 심볼 라이브러리(library)를 구축하였으며, 2차원 수치지도와 항공레이저측량 자료를 활용하여 심볼의 분류 및 자동 안착을 위한 요소 값들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 실제 측량자료들을 활용하여 3차원 수치지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지도에 대해 심볼 선택 및 자동안착 과정에 대한 오류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구축된 3차원 수치지도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로부터 구축된 방법론들은 3차원 지도를 작성하는데 있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론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NN 기반 초분광 영상 분류를 위한 PCA 차원축소의 영향 분석 (The Impact of the PCA Dimensionality Reduction for CNN based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 곽태홍;송아람;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1호
    • /
    • pp.959-971
    • /
    • 2019
  • 대표적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 중 하나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은 고수준의 공간-분광 특징을 추출할 수 있어 초분광 영상 분류(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분광 영상은 높은 분광 차원이 학습 과정의 시간과 복잡도를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딥러닝 기반 초분광 영상 분류 연구들에서는 차원축소의 목적으로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를 적용한 바 있다. PCA는 데이터를 독립적인 주성분의 축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 분광 차원을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으나, 분광 정보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PCA의 사용 유무가 CNN 학습의 정확도와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를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PCA를 통한 분광 차원축소가 CNN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초분광 영상 분류를 위한 적절한 PCA의 적용 방법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PCA를 적용하여 초분광 영상을 축소시켰으며, 축소된 차원의 크기를 바꿔가며 CNN 모델에 적용하였다. 또한, 모델 내의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 방식에 따른 PCA의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2D-CNN과 3D-CNN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분류정확도, 학습시간, 분산 비율, 학습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축소된 차원의 크기가 분산 비율이 99.7~8%인 주성분 개수일 때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3차원 커널 경우 2D-CNN과는 다르게 원 영상의 분류정확도가 PCA-CNN보다 더 높았으며, 이를 통해 PCA의 차원축소 효과가 3차원 커널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EA(Iterative Error Analysis)와 분광혼합분석기법을 이용한 초분광영상의 변화탐지 (Change Detection Using Spectral Unmixing and IEA(Iterative Error Analysis) for Hyperspectral Images)

  • 송아람;최재완;장안진;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1-370
    • /
    • 2015
  •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변화탐지 기법으로는 Chronochrome(C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분광혼합분석(spectral unmixing) 등이 있다. 특히,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변화탐지는 변화객체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변화의 속성까지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나, 분광혼합분석을 활용한 초분광영상의 변화탐지 연구는 여전히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변화탐지를 위하여 Iterative Error Analysis(IEA)와 Spectral Angle Mapper(SAM) 등을 활용하여 두 영상에서 변화지역을 설명할 수 있는 동일한 endmember를 결정하였으며, 점유비율의 차영상을 통하여 변화지역을 추출하였다. 제안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의의 변화지역을 포함한 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CASI) 및 Hyperion 모의영상에 대한 변화탐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기법이 기존의 CC, PCA, N-FINDR를 이용한 분광혼합분석보다 효과적으로 변화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안기법은 사전정보 없이 자동으로 동일한 endmember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피복물질로 구성된 영상의 변화탐지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황약자(黃藥子)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ioscorea Bulbifera MeOH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In Vitro and In Vivo)

  • 정지윤;이종록;변성희;정지욱;김용한;김상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0-318
    • /
    • 2010
  • Dioscorea bulbifera is one of the traditional medicinal herb. It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hematemesis, epistaxis,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laryngitis, acute infectious disease in East Asia.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bulbifera MeOH extract (DBME) in macrophage cell line. To investigate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lipopolysaccaride (LPS)-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p-inhibitory ${\kappa}B{\alpha}$ (p-$I{\kappa}B{\alpha}$), an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in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he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DMEM + serum medium for 24 hrs. After serum starvation for 24 h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BME 0.03, 0.10, 0.30 mg/$m{\ell}$ for 1 h,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LPS (1 ${\mu}g/m{\ell}$) for activation of immune response. After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NO production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nitrite content in culture medium. The protein band of iNOS, COX-2, p-$I{\kappa}B{\alpha}$, and NF-${\kappa}B$ was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is and levels of cytokine were analyzed by sandwich immunoassays. There were three experimental groups: carrageenan, DBME 0.3, 1.0 g/kg. Rats were administrated either carrageenan (40% PEG) or carrageenan + DBME (0.3, 1.0 g/kg body weight) for 4 days (p.o.). To induce acute paw edema, rats were injected 1% carrageenan (100 ${\mu}{\ell}$/rat, dissolved in sterilized saline). The effect of DBME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As results, DBM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O, PGE2, TNF-${\alpha}$, IL-$1{\beta}$ and IL-6 and on the expression of iNOS, COX-2, p-$I{\kappa}B{\alpha}$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to nuclear from cytosol. In addition, DBME effectively inhibited the increases of paw edema induced by carrageenan treatment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DBME can inhibit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might be a useful source for treatment of acute inflammatory disease.

갑상선암의 임상적 관찰(제 3 보) (Clinical Study on Thyroid Cancer(The 3rd Report))

  • 최창운;문대혁;이명철;조보연;고창순;이문호;오승근;최국진;박성회;김용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9-65
    • /
    • 1986
  • Clinical features of 406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verified thyroid carcinomas were investigated from May, 1978 to April, 1985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thyroid cancer according to their histological classification was 79.8% of papillary carcinoma, 14.5% of follicular carcinoma, 1.5% of medullary carcinoma, 2.2% of anaplastic carcinoma, 2 cases of squamous carcinoma and 3 cases of lymphoma. 2) The age distribution showed the peak incidence in the fourth decade (25.1%), followed by the fifth and the third decade. 3)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1 : 6.1. The ratio is 1 : 5.9 in papillary carcinoma and 1 : 8.8 in follicular carcinoma. 4) The mean age was 40.2 year in papillary carcinoma, 37.4 year in follicular carcinoma. 36.5 year in medullary carcinoma, 60.3 year in anaplastic carcinoma, 62.0 year in squamous carcinoma, 59.7 year in lymphoma. 5) The diameter of the thyroid masses was smaller than 1.5cm in 19.9% of the patients, from 1.5cm to 5cm in 50.5%, from 5cm to 10cm in 25.4% and larger than 10cm in 25.4%. 6)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at diagnosis was noted in 44.2% of total patients, and distant metastasis was 5%, and local infiltration was 44.2%. 7) The clinical staging was revealed 42.1% of the patients in stage I, 9.1% in stage II, 35.7% in stage III, 5.2% in stage IV, and 7.9% in undetermined stage.

  • PDF

Planetscope 영상을 이용한 KOMPSAT-3/3A 영상의 기하품질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ometric Quality of KOMPSAT-3/3A Imagery Using Planetscope Imagery)

  • 정민영;강원빈;송아람;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43
    • /
    • 2020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난 피해 분석을 위해 재난 후 KOMPSA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3A Level 1R 영상의 기하품질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재난상황에 대한 데이터 수급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영상 수급이 원활한 Planetscope 정사영상과 KOMPSAT-3/3A 영상에 격자기반 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기법을 적용하여 RPC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 보정에 필요한 GCP (Ground Control Point, 지상기준점)를 취득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4월 강릉 산불 피해 지역의 KOMPSAT-3 영상과 토지피복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추가된 대전지역 KOMPSAT-3A 영상에 제안 기법을 적용하였다. 생성된 KOMPSAT-3/3A 정사영상의 기하품질을 검증한 결과, KOMPSAT-3 다중분광 영상의 위치오차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6.62화소에서 1.25화소로, KOMPSAT-3A의 경우 7.03화소에서 1.66화소로 감소되어 영상의 기하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기하품질이 향상된 KOMPSAT-3 정사영상은 산불 발생 전 Planetscope 정사영상과 비교되었으며, 이를 통해 향상된 기하품질이 산불 피해 지역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GCP 취득의 대안으로 Planetscope 정사영상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제안 기법은 재난 상황뿐만 아니라 Planetscope 영상의 수급이 가능한 다양한 KOMPSAT-3/3A 활용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갯벌지역 고해상도 지형정보 구축을 위한 항공 라이다와 UAV 데이터 통합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Airborne LiDAR and UAV Data for High-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of Tidal Flat)

  • 김혜진;이재빈;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5-352
    • /
    • 2020
  • 갯벌의 보존과 복원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갯골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포함하는 갯벌 지형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현장 측량이 어려운 갯벌 지역에 대해, 항공 라이다 측량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며, UAV (Unmanned Aerial Vehicle) 측량은 상대적으로 공간해상력이 우수한 데이터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갯벌 지형정보 구축을 위하여 항공 라이다와 UAV 포인트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통합을 수행하고, 갯골의 세부 지형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ICP (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두 이종 데이터를 자동 정합하고, 지면 필터링 기법인 CSF (Cloth Simulation Filtering)를 활용하여 갯골을 추출한 후, 갯골 영역에 대한 고점밀도 UAV 데이터와 평평한 지면에 대한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통합하였다. 통합된 데이터로부터 DEM (Digital Elevation Model) 및 갯골의 영역과 깊이 정보를 생성하여 대축척 갯벌 지도 제작을 위한 고해상도 지형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제안한 방법을 통해 GCP (Ground Control Point) 없이 UAV 데이터를 기하보정하고, 갯골의 세부 지형정보를 포함하면서 데이터 용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었다.

판막주위농양에 의해 발생된 판막주위누출 환자에서 승모판막 치환술과 승모판륜 재건술을 함께 시행한 후 재발된 판막주위누출 - 1예 보고 - (Recurrent Paravalvular Leakage after Mitral Valve Replacement with Annular Reconstruction for Paravalvular Leakage Due to a Paravalvular Abscess - A case report -)

  • 박찬범;김용한;권종범;박건;정미영;진웅;노태호;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68-272
    • /
    • 2008
  • 판막주위농양은 판막륜과 주변조직의 감염성 괴사로 인하여 판막을 치환하기 전에 괴사된 조직의 제거와 첩포 재건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되며, 수술사망률과 합병증 및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13년전에 기계판막으로 승모판막치환술을 받은 59세 여자 환자에서 외래 추적 관찰중 발견된 판막주위농양에 의한 판막주위누출로 승모판륜재건술과 함께 승모판막치환술을 시행 받았으나, 술후 15병일째 판막주위누출이 재발하여 다시 승모판륜재건술 및 승모판막치환술을 시행 한 경우를 치험하여 보고하며, 환자는 수술후 8개월째 외래 경과관찰중이다.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in Pursuit of Better Educational Effectiveness)

  • 김자미;김용;이원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38-1844
    • /
    • 2010
  • 원격교육에서 콘텐츠는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품질관리는 궁극적으로 원격교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작이라 하겠다. 콘텐츠 품질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평가도구 개발에 집중되었다. 실제 콘텐츠 품질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콘텐츠 품질분석을 위한 평가위원이나 콘텐츠 선정 등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원격교육에서 직무나 자격연수용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58개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 부문의 품질이 가장 높았다. 각 부문의 요소별 품질에서는 학습내용 부문의 학습수준과 학습내용 구성 요소의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교수설계 부문에서는 상호작용 요소의 품질을 개선해서 콘텐츠의 품질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나 제공자의 입장에서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부분의 품질이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안면 비대칭환자의 하악골체부의 시상 단면에 관한 연구 (Cross-sectional study of the mandibular bod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이재열;김용일;황대석;김용덕;신상훈;김욱규;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09-113
    • /
    • 2011
  • Introduction: To correct the facial asymmetry by mandibular jaw surger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anatomy of the mandible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positioning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cross-sectional surface in the body of the mandible between the deviated side and opposite side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7 adult patients composed of 2 groups, the asymmetry group (n=20) and non-asymmetry group (n=17). Using the cross-section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the distance from the buccal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outer aspect of the buccal cortex, distance from the buccal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ner aspect of the buccal cortex, distance from the inferior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ickness of the mandible, and cross-sectional surface area of the mandible were measured in each side of the mandible Resul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ndible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positioning in the deviated sid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opposite side in the asymmetry group. Only the distance from the inferior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in the ramus area of the deviated sid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pposite side. On the other hand, the bucco-lingual width of the asymmetry group was thinner than the non-asymmetry group. Conclusion: The cross-sectional area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of the mandible did not appear to be modified by the facial asym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