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긴급 서비스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지상파 DMB 기반의 긴급재난 방송 서비스

  • Jo, Min-Ju;Jang, Tae-Uk;Choe, In-Hwa;Hwang, 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10
    • /
    • pp.25-31
    • /
    • 2009
  •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재해나 방사능 유출, 가스폭발 등에 의한 인재는 예보방송도 중요하지만 사고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현재의 상황 정보를 전달하고 행동지침 요령을 전달하여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재난 지역 및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긴급 재난 방송 또한 매우 중요하다. 지상파 DMB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개인 휴대 단말기와 결합된 형태로 보급되어 보급률 및 사용률이 매우 높으며 이동 중에도 별도의 비용 없이 양질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 재난 방송 서비스를 시행하는데 있어 가장 최적화 된 모델로 평가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재난방송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상파 DMB를 이용하여 어떻게 긴급 재난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지 서비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또, 향후 긴급 재난 방송이 우리 생활에 끼치는 영향과 앞으로의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A Emergency Call System of Internet Telephony integrated with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위치정보제공자와 연계한 인터넷전화 긴급전화 시스템)

  • Park, Jun-Su;Kim, He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283-286
    • /
    • 2010
  • WLAN 기술의 발전과 AP의 증가로 WLAN 기반 인터넷전화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전화의 긴급 통화 서비스 제공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국내외에서는 긴급통화 서비스를 인터넷전화의 필수요건으로 규정하고, 기술표준을 제정하여 인터넷전화 사업자들에게 이를 적용하고 있다. WLAN 인터넷전화는 이동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긴급통화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정보 전달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위치정보제공자와 연계를 통한 인터넷전화 긴급전화 서비스 제공 구조를 제안한다.

  • PDF

An Architecture Supporting Emergency Service in WiBro Mobile VoIP Networks (와이브로 모바일 VoIP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구조)

  • Lee, Kye-Sang;Lee, Il-Jin;Kang, Sin-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414-416
    • /
    • 2010
  • WiBro network technologies developed mainly by Korea are one of very promising 4G technologies. WiBro has been standardized as international standard called Mobile WiMAX, and has been deployed in many countries. Emergency Services are infrastructural servicesa and very essential to induce subscribers from other types of networks. This paper propose a network architecture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for mobile VoIP services in WiBro networks.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based on WMF's architecture for internationa compatibilities, and reflects national considerations on interfacing PSAP for domestic compatibilities.

  • PDF

A Survey on IEEE 802.11 Standardization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in WLANs (무선랜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IEEE 802.11 표준 동향)

  • Lee, Kye-Sang;Jung, Ok-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456-458
    • /
    • 2010
  • VoIP services are growing fast and WLAN VoIP phones are being used in widespread. Emergency services are very critical in WLAN VoIP as in other traditional networks. This paper summarize recent standards of IEEE 802.11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in WLANs. Two standards are discussed. The 11u deals with the aspect of access in WLAN emergency services, and the 11v deals with the location services.

  • PDF

A VoIP Emergency Services Model with RFID (RFID를 이용한 VoIP 긴급서비스 모델)

  • Kim, Jin-Hong;Lee, Kil-Sup;Lee,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02-204
    • /
    • 2005
  • 통신 네트워크 발전 추세에 따라 데이터와 음성회선을 통합하고 PSTN을 통한 전화 서비스보다 저렴한 통신비용과 다양한 부가서비스 구현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진 VoIP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VoIP서비스의 긴급서비스에서 위치식별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VoIP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으로 부여된 발신전화번호 정보를 송출하지 않아 발신자의 위치 및 해당지역 PSAP의 식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물 내 LAN 환경에서 VoIP 단말기와 연결하는 실내의 모든 이더넷 포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지정된 VoIP 단말기와 연계시킴으로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단말기 이동시마다 위치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oIP서비스에 서 RFID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 위치를 식별하는 긴급서비스 지원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가입자 위치정보 획득 및 관리, 호 라우팅 등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VoIP 망에서 단말기 이동에 대한 위치 확인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5G-based Text Alert Service Requirements and Scenarios for Realizing Active Geo-Targeting (능동적 Geo-Targeting을 위한 5G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시나리오 연구)

  • Lee, Tae-Gyeom;Kang, Seung-Woo;Kim, Yewon;Oh, Seung-Hee;Jo, Ohy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1
    • /
    • pp.23-30
    • /
    • 2021
  • Due to the recent advanceme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igh mobile phone penetration rate, researches on emergency text alert service for enhancing the accessi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further accelerates the efforts for the alert services. Existing emergency text services are simple and efficient. However, unclear reception area may cause unintended alert messages frequ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5G-based text-alert services to derive service requirements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n we propose an emergency disaster text service scenario using Active Geo-Targeting that enables active disaster text reception of terminals. In addition, we newly define an interface protocol that is CIB(Control Information Block) to operate the proposed scenario.

Trend of Emergency Service Regulation on VoIP in U.S.A. (미국의 VoIP 긴급 통화 정책 동향)

  • Huh, M.Y.;Park, S.O.;Kang, S.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1 s.103
    • /
    • pp.140-150
    • /
    • 2007
  • 차세대 유무선 통신망이 급속하게 All-IP 기반으로 전환되어 감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기존 유선전화를 빠르게 대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적절한 규제없이 서비스가 진행됨에 따라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발생되고있다. 따라서,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는 2005년 5월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긴급통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의무를 규정한 VoIP E911 고시(order)를 제정하였다. VoIP E911 고시는 고시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를 정의하고, 고시의 발표일이후 120일 이내인 2005년 11월 28일까지 E911 서비스 요구사항을 준수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후 2005년 11월 7일에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는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업체들에게 VoIP E911 고시의 이행현황에 대하여 2005년 11월 28일까지 제출하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연방통신위원회(FCC)의 VoIP E911 고시(order)를 중심으로 미국의 VoIP 긴급통화 정책동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Trend of VoIP Emergency Calling Service Policy and Standardization (VoIP 긴급통신서비스 정책 및 표준화 동향)

  • Park, S.Y.;Gang, S.G.;Hyun, 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5 s.95
    • /
    • pp.116-126
    • /
    • 2005
  •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 세계 여러 국가와 표준화 기구에서는 E911과 같은 긴급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기술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5월 미국 FCC가 인터넷전화 사업자의 E911 서비스 제공을 촉구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으며, 캐나다, 유럽, 아시아 등에서도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IP 기반의 긴급통신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표준화 활동은 IETF의 여러 WG과 NENA, TIA, ITUT등의 기구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IETF ecrit WG에서는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비상 호 라우팅을 위한 요구사항 개발 관련 작업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본 문서에서는 이와 같은 세계 여러 국가와 기구의 정책 및 표준화 활동을 비롯하여, 911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 해외 인터넷전화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A VoIP Emergency Service Model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무선이동통신 환경에서의 VoIP 긴급서비스 모델)

  • Kim, Jin-Hong;Lee, Kil-Sup;Lee,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27-1230
    • /
    • 2005
  •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의 융합(Convergence) 추세에 따라 기존 PSTN 서비스도 인터넷에서 VoIP 형태로 제공이 되고 있다. 하지만 VoIP 서비스는 인터넷망을 이용하므로 부여된 발신번호 정보를 송출하지 않아 발신자의 위치 및 해당지역의 공공구조기관(PSAP)의 식별이 불가능하여 긴급서비스 지원을 위한 위치정보 제공을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최근 측위기술의 활용이 다양해지고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서의 신호 차폐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높은 위치정확도 등을 제공하는 WLAN와 RFID 기술을 이용한 측위기술 연구가 활발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i-Fi, RFID, GPS를 이용한 측위기술을 사용하여 무선이동통신 환경에서 VoIP 긴급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델 제안과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세부적인 지원 절차를 설명하고, 위치정보의 획득 및 처리를 위한 운용 시나리오에 관한 구체적 방안과 제안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안된 모델은 무선이동통신의 긴급서비스 설계시 적용이 기대된다.

  • PDF

An Explo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Poverty (빈곤문화실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긴급구호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

  • Lee, J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4
    • /
    • pp.149-172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eality of culture of poverty that employees of emergent relief facilities recognize. For this purpose, it had been carried out questionnaire with employees of emergent relief faciliti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3. It was appli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this study.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wareness of employees to facilities in which they work is positive, 2) but their awareness to service user is negative(the degre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educational characteristic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 of service user is generally negative, while the degree of familial characteristic is generally positive), 3) the awareness to relationship with service user is posi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possibility that the culture of poverty can be expanded under the poor and psychic rehabilitation programs should be reinfor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