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환경계획

Search Result 46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Limits and improvements of the river master plan with the change of public water management system (물관리 체계 개편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한계 및 개선방안)

  • Lee, Du H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
    • /
    • 2020
  • 하천관리정책은 국가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각 나라에 맞는 고유한 방향으로 정착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수와 개발이 중심이 있는 되는 일본식 하천관리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왔으며 개별 하천의 관리에 기본이 되는 하천기본계획체계는 일본의 신하천법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관리체계는 2019년 6월에 시행된 물관리기본법에 의해 수량과 수질 통합관리 체계로 크게 개편되었다. 현행 물관리체계에서는 수질과 수량은 관리주체가 통합되었으나 하천관리는 하천시설물과 하천수의 관리주체가 분리되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선진국은 하천관리에서 치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하천의 치수관리에 대한 정책적 중요도는 떨어지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기본계획은 개별 하천에 대한 치수, 이수, 환경의 유일한 종합적 계획으로 광범위한 조사/분석/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타계획과의 연관성이나 활용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하천관리정책 수립, 일관성 있는 치수, 이수, 환경 계획의 수립, 정부의 효율적인 하천관리 실행 등의 관점에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한계를 살펴보고 변화하는 기후 및 사회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하천관리체계를 검토하고 도로, 상하수도 등 유사 분야의 계획 체계와 하천계획 체계를 비교하였다. 물관리 체계 개편을 고려한 현행 하천기본계획의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 현행 법체계와 사회환경을 고려하여 하천기본계획이 실질적인 하천에 대한 종합적 계획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체계 개편 방안과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장단기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nceptual process establishment of robust water resources planning strategy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a pilot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robust한 수자원 시설 계획에 대한 개념적인 기본 구상과 제언)

  • Ryu, Tae Sang;Cheong, Tae Sung;Kim, Sung Hoon;Lee, Woo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9
    • /
    • 2017
  • 한반도 기후변화 경향은 이미 기상 생태 환경 수자원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감지되고 있다(기상청, 2011a, 2011b).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강우패턴은 첨두강우가 7월에서 점차 8월로 이동 변화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양적으로 연강수량은 점차 감소가 전망되면서도 극한 값은 발생빈도와 크기가 점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래서 그간 기존댐에 대한 재평가(1998, 2010, 2012)와 발생 가능한 최대강우량 설계기준으로 기존 댐의 여수로 배제 능력을 증대시키는 비상여수로 설치 등 기존 댐 시설위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또는 적응 방안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상황은 전에 발생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기상이변과 재난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기상 변화에 하나의 시설로서 대응 하던 방식에서 한 번의 기상이변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재난을 발생하는 최근의 상황에 맞추어 수자원 시설을 계획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장래 전망되는 기후변화를 감안하여 이수와 치수 시설의 가뭄과 홍수에 대한 대처 능력을 유역 차원에서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Robust 하다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작동이 되는 것을 말하는 강건한 계획으로, 이와 같은 시설 계획을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시설물에 대한 회복력을 판단하는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용수공급이든 홍수 재난이든 회복력(복원력)에 대한 평가를 하고, 대안에 대한 로버스트 의사 결정 방법(RDM: Robust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여 우수한 대안을 찾으면 강건한 시설계획 수립이라는 절차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력(복원력)을 갖는 로버스트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과거 연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연구 수행 절차를 마련한 후에 장래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시범 유역에 적용하여 수자원 시설의 복원 또는 회복력을 분석하고, robust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로버스트 수자원 시설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와 함께 이수와 치수 시설의 종합적인 계획 등에 대한 개념적인 절차와 방법의 제시를 도모하였다.

  • PDF

Wind Road Analysis System Using GIS (GIS를 활용한 바람길 분석시스템)

  • Park, Tae-Og;Kim, Nam-Mi;Kim, Kyung-Jong;Kim, Do-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98-103
    • /
    • 2003
  • 환경이 하나의 도시계획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요소인 바람을 도시계획시 고려하여, 기존의 도시계획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해 주는 분석시스템이다. 기상자료 및 해당 도면의 속성자료를 토대로 GRID분석과 Kriging보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대상지역의 온도분포 및 바람흐름, 바람통로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기후지도를 이용하여 주요 바람길을 파악할 수 있으며 대상지내 신선한 공기가 시작되는 녹지들을 추출하여 녹지계획의 핵으로 정한다. 녹지의 핵으로부터 각각의 녹지로 연결되는 바랑의 길을 분석하여 도시계획업무추진 시 바랑통로가 단절된 곳이나 단절된 계획이 있는 곳을 파악한다. 그리고 바람통로를 위해서 보존할 곳과 올바른 바람을 유도할 곳 등을 생성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대구시를 대상지로 정하여 Landsat TM영상을 활용 도시의 열섬현상을 분석하고 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기후지도를 활용한 열섬 현상 저감방안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and Local Streams Using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이용한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적용성 검토)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3-313
    • /
    • 2019
  • 제방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홍수나 범람 등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방이 자연재해로부터 손상을 입게 되는 원인과 과정, 하천수의 침투로 인한 제체내부의 역학적 거동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지식을 함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에 대하여 제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침투거동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환경여건을 고려하는 제방의 취약성 분석 기술이 필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여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에 의한 취약성 평가기법을 새로이 개발 하였다. 대상지역을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대표 제방지점에서 현재의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고려한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활동 안전율과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구성하는 각각 인자들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들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of Mokgam Watershed considering the Climate and Landus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목감천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Hong, Won-Pyo;Bae, Yong-Hoon;Kim, Mun-Ki;Park, Jong-Be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24-928
    • /
    • 2012
  • 유역통합관리 계획 수립시 하천의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환경변화도 고려되어야 한다. 즉, 하천 유역에 발생될 미래의 강우량과 토지이용변화, 인구 증가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역통합관리 계획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환경변화를 고려한 유역통합관리 계획의 기초 연구로서, 미래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목감천 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목감천 유역의 장기유출모의를 2020년~2039년의 20년 동안의 수행하였다.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GCM의 A1B, A2를 사용하였고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는 ICM의 3단계, 즉, 불투수면적이 변하지 않는 경우(Case 1), 1 단계 증가하는 경우(Case 2), 2단계 증가하는 경우(Case 3)를 고려하였다. 모의 결과를 살펴보면, A1B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을 경우 최대 유출량은 $177m^3/s{\sim}190m^3/s$이 발생되며,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 증가율은 Case 1에서 Case 2으로 변할 경우 1.7%, Case 2에서 Case 3으로 변할 경우 5.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2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을 경우 최대 유출량은 $167m^3/s{\sim}173m^3/s$이 발생되며,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 증가율은 Case 1에서 Case 2으로 변할 경우 1.2%, Case 2에서 Case 3으로 변할 경우 2.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연에너지와 건축조경계획

  • Jo, Gyun-Hyeong
    • Solar Energy
    • /
    • v.13 no.2_3
    • /
    • pp.22-29
    • /
    • 1993
  •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are preferentially affected by the microclimate around buildings. It is the first method to improve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buildings and the ways to utilize natural energy for the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croclimate condition and the indoor thermal condition is made in minimum as far as possible. There are many factors to control and minimize the difference, but landscape element is the major one among the factors. In this respect, the report analyzes landscape elements and their function to control microclimate and presents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landscape planning mehtods to improve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buildings and to attain the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

  • Eu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4
    • /
    • pp.109-12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ssess vulnerability in urban thermal environments of Seoul by using indicators frequently used in previous studies as well as effective indicators for spatial planning like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For this purpose, fifteen indicators that influence urban thermal environments such as heat waves, urban heat island effects, and urban micro-clim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icators for presenting urban structure and spatial properties were included; for example, building volume as 'exposure to climate', buildings completed before 1980 as 'sensitivity', and green space areas as 'adaptive capacity'. Among them, twelve indicators were applied to assess vulnerability in urban thermal environments of Seoul by using a GIS spatial analysis combined with fuzzy logic. The results show that the Gangnam area is identified as more vulnerable to a heat environment as compared to the Gangbuk area. In the Gangnam area, Seocho-gu, Gangnam-gu, Dongjak-gu, Yeongdeungpo-gu, Gangseo-gu were relatively high in vulnerability, while Dongdaemun-gu, Gangbuk-gu, Gwangjin-gu, Jungrang-gu were relatively high in the Gangbuk area. Gwanak-gu, Dobong-gu, Eunpyeong-gu, and Nowon-gu, which include forested areas, have low vulnerability in the sectors of 'exposure to climate' and 'sensitivity' due to the impact of Gwanaksan and Bukhansan. However, some areas with high vulnerability like Seocho-gu and Gangnam-gu may have lower vulnerability if the indicator 'status of air conditioning' from the sector of 'adaptive capacity' is used.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able thermal environment policy and spatial planning to reduce heat-related risks in the field of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cusing on Urban Metabolism (도시 메타볼리즘 중심의 기후변화대응 도시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Lee, Sung Hee;Kim, Jong Ko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3
    • /
    • pp.279-29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cusing on urban metabolism. The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cases are selected for mixed-use housing estate in Europe, which established the plans for energy saving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waste.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which had four aspects that are 'to minimize energy input,' 'to use renewable energy sources,' 'to recycle waste,' and 'to reuse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in all the cases, analysis showed that the circular metabolism system was built for energy, waste and water resources and that the plan satisfying all the aspects of the framework was established. Moreover, main planning elements are different reflecting resource conditions for each case. In conclusion, in order to achieve urban metabolism,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to introduce planning elements that can maximize the regional potential.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the Age of Response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시대의 도시개발방향과 시사점)

  • Oh, Eun-Yeol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33-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urb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climate risk factors and environment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through a qualitative data survey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limate risk fac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conditions for urban development by establishing a damage prevention system for natural disasters and analyzing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by conducting analysis of the impact and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in urban planning.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side suggested the need for the promotion of public transport oriented development (TOD) in the form of urban planning to realize sustainable and practical urban developm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more quantitative and empirical findings.

Climate Change and Regional Land Use Planning : The Formulation of California Senate Bill No. 375 (기후변화와 광역토지사용계획: 캘리포니아의 Senate Bill No. 375의 사례)

  • Choi, Hyun-Sun;Choi, Simo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1
    • /
    • pp.3-29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how effectively the newly introduced planning process - California Senate Bill No. 375 will achieve the regional GHG emissions target under the California policy and planning framework and how well incentive based environmental policy might perform. The new legislation creates a future growth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with incentives as means of implementation of AB 32 - the Global Warming Solution Act of 2006 and includes five important policy and planning aspects: 1) the role of sustainable communities strategies (SCS) as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eir regional transportation plans; 2) planning for transportation and housing; 3) specified incentives for the implementation of SCS; 4) the regional planning approach toward reducing GHG emissions; and the role of the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to establish the regional GHG emissions target.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gional and environmental planning with incentives - resources allocation and approval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