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위험 요인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m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 climate stress test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 Kim, Tae Hyeong;Kang, Boo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5-415
    • /
    • 2022
  • IPCC 제5차 보고서('14) 및 세계위험보고서('15) 등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위 위험요소로 '수자원 위기'를 꼽았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 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물 관리에서 기후변화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관리 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 취약성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수문자료 및 특정 기후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댐 인프라의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댐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취약성 평가 연구사례 및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수문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한 뒤, 월 강우량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분위별 강우량과 기온을 변경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와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유출 및 저수지 모형을 결합하여 충주댐, 용담댐, 합천댐, 섬진강댐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후 스트레스에 따른 유출 취약성 평가는 20분위 수 갈수량을 이용해 연중 보장확률을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며, 온도의 영향보다는 강우의 변동이 댐 이수안전도 취약성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isk assessment of water scarcity consider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Gwangju and Jeonnam (광주·전남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물부족 위험도 평가)

  • Hwang, Se Won;Park, Ju Young;Lee, Moon 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9
    • /
    • pp.599-613
    • /
    • 2024
  • Unlike other disasters, the water shortage problem caused by drought is characterized by the long-lasting ripple effect of the social and economic sectors in all regions of Korea, and the types and purposes of water mainly use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gion, so the factors and scale of water shortage damage are different.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risk of water shortage based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Gwangju and Jeollanam-do to analyze the results. To this end, 20 impact indicators for risk, exposure, and vulnerability it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limate risk concept of IPCC AR6. The results of the water shortage risk evaluation reflect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from the risk results considering only the exist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factors. The areas with the greatest risk of water shortage were calculated as Yeonggwang-eup in Yeonggwang-gun, Yeonsan-dong and Haean-dong 4-ga in Mokpo-si, Jeokryang-dong in Yeosu-si and Geumsan-myeon in Goheung-si.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risk factors and countermeasures for water shortage wer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can be used as data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reduce drought damage tailored to the region in the future.

Drought risk outlook using scenario planning and drought management according to drought risk levels in Korea (시나리오 플래닝을 적용한 한국의 가뭄 위험도 전망 및 가뭄 위험 단계에 따른 가뭄관리 방안)

  • Kim, Ji Eun;Kim, Min Ji;Kim, Seok-Woo;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1
    • /
    • pp.45-58
    • /
    • 2024
  • Drought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of droughts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Drought risk is related to not only hydro-meteorological factors, but also water supply and demand. Recently, along with climate change, socioeconomic factors have also been recognized to increase drought ris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utlook the drought risk considering various conditions for coping with future extreme droughts in a timely manner. In addition, considering various drought scenarios help reduce the uncertainty in future drought outlook. In this study, drought scenarios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population, and water demand were created to outlook drought risk for 160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then new levels of drought risk were as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drought risk outlook to suggest drought management 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ought risk will increase in the future in 2020, 2025, and 2030, compared to past. Especially the drought risk is likely twice as high in 2030 under the baseline and high scenarios. Applying the drought outlook results from this study to the new methodology for setting the risk levels shows that most regions are in Response (V) in 2020 and 2030 for baseline and high scenarios.

Quantification and propagation of climatic and human impacts on streamflow (하천에서의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 영향의 수치화 및 전달 분석)

  • Lee, Dongjun;Shin, Youngchul;Lim, Kyoung Jae;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8-148
    • /
    • 2015
  • 기후와 인간 활동의 변화는 하천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이 요소들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하천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수치화하여 관리해야한다. 또한 상류에서의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해 변화된 유량은 하천 하류까지 전달되어 적지 않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내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해 변화된 유량과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한 유량 변화를 정량화 하고 그 요소들이 상류에서 하류에 얼마나 많이 전달이 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리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하천에서는 인간 활동에 의한 유량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상류의 수리구조물에 의한 영향은 하천 하류에도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적인 요인에 의해 유량의 변화가 큰 지역은 그 외 지역보다 자연 재해에 의한 피해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효과적인 수자원관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Seasonal Importance of Construction Hazards Using 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건설공사 위험요소의 계절별 중요도 분석)

  • Park, Kichang;Kim, Hyoungk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3
    • /
    • pp.305-316
    • /
    • 2021
  • Construction accidents occur due to a number of reasons-worker carelessness, non-adoption of safety equipment, and failure to comply with safety rules are some examples. Because much construction work is done outdoors, weather conditions can also be a factor in accidents. Past construction accident data are useful for accident prevention, but since construction accident data are often in a text format consisting of natural language, extracting construction hazards from construction accident data can take a lot of time and that entails extra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tracted construction hazards from 2,026 domestic construction accident reports using text mining and performed a seasonal analysis of construction hazard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Of the 254 construction hazards defined by Korea'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 extracted 51 risk factors from the construction accident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hazard was "Formwork" in spring and autumn, "Scaffold" in summer, and "Crane" in winter. The proposed method would enable construction safety managers to prepare better safety measures against outdoor construction accidents according to weather, season, and climate.

Measuring the Corporate Readiness to Address Climate Challenges : Developing an Index of Climate Competitiveness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 : 경쟁력 결정요인과 측정지표 개발)

  • Lee, Myung-Kyoon;Kim, Hose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2
    • /
    • pp.383-411
    • /
    • 2010
  • Climate change and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firms in various ways. Climate change influences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physical impacts, GHG regulations, changes in asset values, demand shift, etc. Therefore, corporate competitiveness could be maintained by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adapting to new circumstances. Without effective responses to the challenges, the firms would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nd the cost of national economy will significantly increase as well. Even though it seems fairly eas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petitiveness, deriving the driving forces of and measuring changes in competitiveness are complicated and disputable processes. A common way to overcome it is to develop a 'competitiveness index'.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develop 'competitiveness index' reflecting those factors. The index will make contribution to enhance the response capacity of the firms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limate change policies for the industry by providing a quantitative tool to measure the changes in corporate competitiveness related to climate change.

  • PDF

A Basic Study on Disaster Mapping Techniques in Mountainous Watershed (산지유역 재해지도 작성 기법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Hyun Chae;Jun, Kye Won;Oh, Cha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9-179
    • /
    • 2017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는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산지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에 의해 태풍 및 집중호우가 빈번해 산지재해의 발생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대규모의 인적, 물적 등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지재해 같은 경우, 예측이 어려우나 그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지재해의 발생예상 지역, 피해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재해지도는 그에 따른 예측 자료로써 대상 지역의 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영향 등을 표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재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정량적 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결정론적 기법(SHALATAB, SINMAP, GEOtop-FS), 확률론적 기법(빈도비분석법, 우도비, 증거가중법 등), 통계적 기법(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기법 중 하나인 결정론적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실제 위험지역과 비교하였다. 추후에 확률론적 기법과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drought risk index for drought risk assessment (가뭄 위험도 평가를 위한 종합적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Jee, Hee Won;Kim, Young-Oh;Kim, Daeho;Kang,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4-124
    • /
    • 2019
  •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들과 달리 복잡한 자연의 순환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므로 시기가 명확하지 않으며, 사회 전반에 걸친 큰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가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가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강수량과 같은 가뭄의 원인을 중점적으로 다룬 가뭄지수 연구가 대다수이다. 한편, 실제 가뭄 피해에 대한 연구들은 위험 혹은 취약성 분석으로 지수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농업 가뭄에 집중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현상의 원인을 제공하는 기상학적 요인뿐 아니라 피해 대상과 대상의 내부시스템 능력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가뭄위험지수(Drought Risk Index, DRI)을 연구하였다. 또한,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를 고려하여 농업가뭄과 더불어 사회 경제학적 가뭄의 피해 평가가 가능한 통합 DRI를 산정하였다. 크론바흐 알파 계수를 통하여 지수 구성 요소들 간의 신뢰성과 DRI와 실제 가뭄 피해간의 스피어만 상관 계수를 사용하여 국내 유역에 대한 DRI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지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2030, 2050, 2080년대 통합 DRI를 제시하였다.

  • PDF

Inundation Analysis of Agricultural Lan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Cultivation Environment Change (기후변화 및 재배환경 변화를 고려한 농경지 침수 분석 연구)

  • Cho, Hyungon;Jeong, Seok Je;Lee, Jaenam;An, Hyunuk;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42-242
    • /
    • 2021
  • 지구온난화에 의해 야기된 기후변화로 인하여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기온, 강수량 등의 변화로 농경지 재배작물과 시설재배와 같은 재배방법의 변화 등 농경지의 재배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극한기상의 발생 빈도 및 강도의 증가와 농경지 재배환경의 변화는 홍수로 인한 하천수 범람, 지하수위 상승, 배수불량, 도달시간의 감소 등 저지대 재배지 및 농경지에서의 침수 위험을 증가 시키는 원인이다. 이로 인해, 매년 농경지 침수로 인하여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겪고 있으며 피해 규모와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농경지 침수 피해 저감을 위하여 다양한 관계기관과 연구자들이 배수개선사업 및 침수 예측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및 재배환경의 변화가 농경지 침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및 방재기상관측장비(AWS)의 지점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고 기후변화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농경지 재배 현황 및 침수 피해 발생 자료를 수집하여 농경지 재배환경의 변화와 농경지 침수 피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기후변화 및 농경지 재배환경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농경지 침수 피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추후 기후변화 및 재배환경 변화를 고려한 배수시설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Aquatic Ecology in Han River Basin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계 영향 평가)

  • Woo, So Young;Jung, Chung Gil;Kim, Jin U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43
    • /
    • 2018
  • 수생태계는 다른 여러 생태계 중에서 가장 위험에 처해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수문 수질의 변화는 수생태계와 담수 생물다양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 생태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적인 물 관리 패러다임에 따라 한강유역에서의 미래 수생태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생태 건강성 관측자료와 수질자료,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자료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8년간(2008년~2015년) 봄과 가을 2차례에 걸쳐 모니터링 한 부착돌말류(TDI), 저서형 대형무척추동물(BMI), 어류(FAI)에 대한 수생태 등급자료 및 해당 지점에 대한 수온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DB(T-N, $NH_4N$, $NO_3N$, T-P, PO4P)에 대한 수생태 등급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수온 수질인자에 따른 수생태 등급을 나타내어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건강성 평가 및 예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은 유역의 신뢰성 있는 유역 수문, 수질 모의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하여 활용되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한강유역의 다목적댐(3개), 발전용댐(1개), 다기능보(3개) 운영을 고려하였고, 237개의 표준유역으로 분할한 뒤 수문 및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댐 및 보의 유입량,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위, SS, T-N, T-P에 대하여 보정(2005~2009) 및 검증(2010~2015)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수질 및 수생태 평가를 위해 기상청의 HadGEM3-RA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기준년(1975-2005)년에 대해 2020s(2010-2039), 2050s(2040-2069), 2080s(2070-2099)의 수생태를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