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혼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22초

펀드투자자의 금융역량 :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Financial Capability of Fund Consumers focused on married women)

  • 김영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27-31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 및 결혼여부에 따라 펀드투자자를 기혼여성, 기혼남성, 미혼여성, 미혼남성 등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금융역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혼여성은 기혼남성, 미혼여성, 미혼남성보다 평균적으로 펀드용어 숙지, 펀드 및 일반금융 지식이 낮았다. 둘째, 기혼여성과 미혼그룹(여성 및 남성)의 평균 투자기간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투자실력평가에서도 기혼여성이 남성(기혼남성과 미혼남성)과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미혼여성보다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의 펀드수익률이 가장 낮았으며, 미혼여성과는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기혼남성과 미혼남성)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혼여성의 금융역량은 상대적으로 다른 그룹보다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 미혼과 기혼 비교를 중심으로 (Study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 : Comparing Single to Married Household)

  • 서명희;김영희;이현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18-727
    • /
    • 2017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혼과 기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미혼과 기혼의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자료로 30세 이상의 1인 가구이며, 미혼, 기혼(이혼, 사별)인 4,4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는 미혼과 기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보다 미혼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기혼에 비해 미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혼과 기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 기혼 모두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남녀의 부부간 문제해결 행동유형 (The Type of Marital Problem Solving Behaviors Among Korean Married Men and Women)

  • 노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262-27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녀의 부부간 문제해결행동을 유형별로 분류해보고 이 유형들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기혼남녀 506명(남자 275명, 여자 231명)을 대상을 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우리나라 기혼남녀의부부간 문제해결행 동 유형은 긍정적-부정적 적극적-소극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분류된다 2) 기혼남녀를 비교해 볼 때 수동적 문제해결행동 유형을 제외하고는 문제해결행동유형에 성차이가 있다 3) 기혼 남녀 모두 부부간 문제해결행동 유형별로 사회경제적 지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4) 기혼남 녀 모두 문제를 경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적극적-부정적 차원에 속하는 문제해결행동 유 형들을 보인다.

  • PDF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of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 지금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161-170
    • /
    • 1994
  • 본 연구는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에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과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1) 어머니의 전체적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2) 기혼딸의 전체적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어머니와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을 때 사회경제적 지 위나 어머니의 평가 능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3)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을 수록 기혼딸의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 PDF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employed Marri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87-20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업 기혼여성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혼여성의 직업교육에 요구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부산 양산지역에 거주하는 미취업 기혼여성 231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와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7개의 하위요인 중 '고용의 제약', '차별', '자녀양육환경' 요인 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연령, 학력, 막내자녀의 나이, 직업교육 수강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기혼여성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의 평균은 3.06으로,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분석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기혼여성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연령과 학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막내자녀의 나이와 직업교육 수강정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부적(-)상관관계가 있으며, 진로장벽 7개의 하위요인 중 '준비/기술부족' 요인과 '자녀양육환경'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영향을 주며, '고용의 제약'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진로장벽 7개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을 14%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과 자녀 교육 (The Effects of Children in School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 김대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2호
    • /
    • pp.73-102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에 있어서 취학 자녀가 지니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출산 및 저연령 자녀의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기혼 여성 노동공급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고학년 자녀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고학년 자녀가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을 제약할 가능성은, 최근 자녀 교육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적 경향과 연계되어 생각할 수 있다. 본 결과에 의하면 고학력 기혼 여성일수록,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취학 자녀로 인해 노동공급이 제약되는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기혼 여교수의 가족 및 직업역할 수행과 그 효과 및 인식 (The Effect of Doubles Roles and Perception of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About Combining their Career and Family)

  • Juhee Park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5-138
    • /
    • 2003
  • 한국기혼 여교수의 가족 및 직업역할 수행과 그 효과 및 인식 본 연구는 한국의 중상 층 기혼 여교수들의 그들의 가정과 직장생활의 균형을 위한 복수역할 수행에 따른 역할 긴장도 와 역할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과 한국 기혼 여교수들이 그들의 취업이 자신과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기혼여교수들과 4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남자교수들의 부인 및 한국과학 기술연구소의 연구원들의 부인인 전업주부들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여교수들은 전업주부들과 비교하여 더욱 높은 역할 만족도와 긴장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여교수들은 자신의 취업이 자녀들과 가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행동변화 분석: 1980-2005 (Chang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Korea: 1980-2005)

  • 권정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2호
    • /
    • pp.129-156
    • /
    • 2008
  • 이 논문은 1980~2005년까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행동의 변화에 대해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마이크로 샘플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꾸준한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고학력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빠르게 증가해 왔다. 또한 남성 배우자가 고학력인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해, 기존의 기혼 여성 경제활동의 주요 특징이었던 "고학력일수록 낮은 수준의 경제활동참가"와 다른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분석에 포함된 기혼 여성 가운데에서도 최근 코호트에게서 강하게 나타난다. 배우자의 특성이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에 있어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녀의 존재는 여전히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난다.

  • PDF

기혼직장여성의 부부특성, 근로특성, 건강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Marital Characteristics, Working Characteristics,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rking Women)

  • 두은영;송혜영;정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85-496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일반적 특성, 부부특성, 근로특성 및 건강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7차년도(2017- 2018)조사에 참여한 기혼직장여성 총 2,060명을 대상으로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혼직장여성의 일반적 특성, 부부특성, 근로특성 및 건강특성을 모두 투입한 결과, 가족의 경제상태, 진단받은 질환 유무, 스트레스 인지가 기혼직장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직장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의 경제 상태와 건강특성이 중요하고 이를 강화해야 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혼직장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혼직장여성 개개인의 건강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증진 프로그램 및 경제적 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부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함을 제언한다.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Female Teachers)

  • 정혜영;오윤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7-199
    • /
    • 2007
  • 교직이 점차 여성화됨에 따라 기혼 여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반면 여교사 자신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관한 정보는 지극히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교사를 개인 및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정도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심리적 복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초등학교 재직중인 기혼여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 경향은 전체영역은 3.32(5점 척도)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생활만족도는 3.82로 높게, 우울은 2.64로서 낮게 나타났다. 2) 기혼여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 결혼상태, 주관적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한 배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관적 생활수준, 가족관계 심리정서적 건강성, 주관적 행복도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더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복지수준이 높은 교사가 건강한 청소년교육 및 지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교사연수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